$\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해구호기금 적립 및 사용 규정 개선에 관한 연구 -광역지방자치단체 조례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saster Relief Fund Ordinances in Metropolitan Government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2 no.4 = no.34, 2016년, pp.350 - 357  

Jung, Jaehan (Institute of Government & Governance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Lee, Teaho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초록

본 연구는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재해구호기금 적립 및 사용 조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수의 지방자치단체 조례에서 재해구호기금을 통합관리기금에 예탁하도록 규정하거나 지급할 수 없는 유족 또는 부상자 위로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규정하는 등 법령의 내용을 벗어난 규정이 발견되었으며 주무부처가 현행화 되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았다. 조례는 지방정부 활동의 근거가 되는 것으로 제대로 된 재해구호기금의 활용을 위해서는 조례의 정비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disaster relief fund Ordinances in metropolitan govern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ordinances of the large number of metropolitan governments are in violation of the statute. The ordinances are based on the local government activi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재해구호법 시행령 및 광역자치단체별 재해구호기금 관련 조례를 분석하여, 현 재해구호기금의 적립 및 사용규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재해구호기금과 관련된 조례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체적으로 제정되기 때문에 지자체의 특성에 따라 재해구호기금을 관리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지만, 법질서의 통일을 위해서 상위 법령의 범위내에서만 인정된다.
  • 그러나 재해구호기금의 적립 방법 및 사용 용도에 대한 조례 규정이 상위법령의 규정을 벗어나는 등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구호기금의 적립 방법 및 사용 용도에 관한 광역자치단체의 조례 분석을 통해 현행 규정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회재난의 범위에 포함되는 피해자, 재난 약자, 재해구호전문인력 양성과 관련한 시행령이 추가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였고, 표준조례안을 제시하여 재해구호법 시행령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유도하고, 자치단체 내의 조례의 중복을 조정해주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법령 및 조례는 정부활동의 근거가 되는 매우 중요한 규정이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명확한 정비는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추가로 재해구호법 제1조에 따르면, 재해구호법의 목적을 “이재민(罹災民)의 구호와 의연금품(義捐金品)의 모집절차 및 사용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이재민 보호와 그 생활안정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해구호기금이란? 우리나라의 재해구호 역사는 삼한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삼한시대의 계로부터 출발하여 조선에 이르러 농경 문화이후 발달한 공동체적 가치가 중심이 된 두레 등에 이르기까지 재해구호는 일종의 공동체적 상부상조와 상호 부조의 성격을 갖는 우리 고유의 미풍양속으로 이해할 수 있다(Lee, 2009). 재해구호기금은 재해구호에 필요한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재원을 모은 기금으로서 재해구호기관인 광역지방자치단체가 재해구호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매년 법률이 정한 금액만큼 적립하는 기금을 의미한다.
재해구호법 제3조에 따라 재해구호기금의 지원대상인 이재민, 일시대피자는 누구인가? 재해구호기금의 지원대상은 재해구호법 제3조에 따라 이재민과 일시대피자로 규정하고 있다. 이재민이란 자연재난에의한 피해를 입은 사람을 뜻하며 일시대피자는 자연재난으로 인한 재해 피해가 예상되어 일시대피한 사람을 뜻한다.2)
우리나라 재해구호 역사는 언제부터 시작되는가? 우리나라의 재해구호 역사는 삼한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삼한시대의 계로부터 출발하여 조선에 이르러 농경 문화이후 발달한 공동체적 가치가 중심이 된 두레 등에 이르기까지 재해구호는 일종의 공동체적 상부상조와 상호 부조의 성격을 갖는 우리 고유의 미풍양속으로 이해할 수 있다(Lee, 2009). 재해구호기금은 재해구호에 필요한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재원을 모은 기금으로서 재해구호기관인 광역지방자치단체가 재해구호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매년 법률이 정한 금액만큼 적립하는 기금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Disaster Relief Act (Act No. 12844) and Enforcement Ordinance ( Presidential Decree No. 25753), 2015 

  2. Disaster Relief Fund Ordinance of Busan Metropolitan City (Busan Metropolitan City Ordinance No. 5078), 2015 

  3. Disaster Relief Fund and Operation.Management Ordinance of Daegu Metropolitan City(Daegu Metropolitan City Ordinance No. 4411), 2012 

  4. Disaster Relief Fund Management Ordinanc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Gwangju Metropolitan City Ordinance No. 4164), 2012 

  5. Disaster Relief Fund Management Ordinance of Daejeon Metropolitan City(Daejeon Metropolitan CityOrdinance No. 4058), 2012 

  6. Disaster Relief Fund Ordinance of Ulsan Metropolitan City(Ulsan Metropolitan City Ordinance No. 1525), 2015 

  7. Disaster Relief Fund Operation.Management Ordinance of Gyeonggi-do Province) Gyeonggi-do Province Ordinance No. 4948), 2015 

  8. Disaster Relief Fund Management Ordinance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Chungcheongnam-do Province Ordinance No. 3567), 2011 

  9. Disaster Relief Fund Management Ordinance of Jeollabuk-do Province(CJeollabuk-do Province Ordinance No. 3669), 2011 

  10. Disaster Relief Fund Operation.Management Ordinance of Jeollanam-do Province (Jeollanam-do Province Ordinance No. 3685), 2013 

  11. Disaster Relief Fund Operation.Management Ordinance of Gyeongsangbuk-do Province (Gyeongsangbuk-do Province Ordinance No. 3228), 2011 

  12. Disaster Relief Fund Operation.Management Ordinance of Gyeongsangnam-do Province (Gyeongsangnam-do Province Ordinance No. 3930), 2014 

  13. Disaster Relief Fund Ordinance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rdinance No. 464),2009 

  14. Establishment of Disaster Management Fund and Operation Ordinance of Seoul Special Metropolitan City ( Seoul Special Metropolitan City Ordinance No. 5846), 2015 

  15. Establishment of Disaster Relief Fund and Operation Ordinanc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Incheon Metropolitan City Ordinance No. 5524), 2015 

  16. Establishment of Disaster Relief Fund and Operation Ordinance of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Ordinance No. 496), 2014 

  17. Establishment of Social Welfare Fund and Operation Ordinance of Gangwon-do Province(Gangwon-do Province Ordinance No. 3875), 2015 

  18. Establishment of Social Welfare Fund and Operation Ordinance of Chungcheongbuk-do Province (Chungcheongbuk-do Province Ordinance No. 3779), 2014 

  19. Donghyun Kim, Beomjun Park, Juyoung Lim, Hyungjun Park (2013) Discussion of budget allocation for natural disaster,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vol.2013, No.1, pp.559-586 

  20. Hodong Lee (2009) Disaster Relief Act and the structure of Budget.Fund : Principles and Facts, Seoul : Daeyoung Company 

  21. Jongse Kim (2011) A study on Local government funds for efficient management, The Korean Law Association, vol.42, pp.25-43 

  22.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5) Guidelines of Disaster Relief Plan 

  23. Minstry of the Interior (2015) The criteria of management for budgetary process and criteria of establishment for management of the fund on local government 

  24. Pyoengryang Wi (2007) A Study on The Efficient Allocation and Use for Korea Disaster Budget and Funds,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heory and Praxis, Vol.3, No.2, pp.56-68 

  25. Sunje Seo, Eunju Kim, Junpil Yang, Suho Bae (2011) A study on fund management for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on local government,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Vol.2011, No.6, pp.1969-1992 

  26. Wonhee Lee (2007) The assignment for reforming budget management on disaster, Korean Journal of National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Vol.1, No.1, pp.75-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