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경관색채의 시퀀스 분석기법과 공간 개방도에 따른 도시색채 특성연구 - 대구광역시 지상철 조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quence Analysis Technique of Urban Landscape Color and Urban Color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Spatial Openness - Focusing on the View of the Daegu Monorail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6, 2016년, pp.120 - 136  

구민아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관의 색채를 시간의 개념을 포함하는 연속적 지각의 시퀀스로 보고, 그 흐름과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기법과 그것을 활용하여 개방성에 따른 도시색채 변화경향을 연구한 것이다. 이는 매우 경험자의 체험에 근접한 리듬으로 대구시 도시철도 3호선인 모노레일 속에서 바라다보는 도시의 색채 시퀀스를 좌우 양쪽에서 동영상을 촬영하여 2초 간격의 프레임에서 대표색 데이터와 시각량을 산출하여 색상, 명도, 채도, 고채도 분포로 시퀀스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법들을 도출하였다. 공간의 개방성, 밝기 정도, 선명도 정도, 고채도 분포와 코드, 시각량의 우위, 지배적 노출인자, 한난색의 이미지, 각 세분별 시퀀스 리듬의 다이나믹 정도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기법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시퀀스 데이터 중 하늘의 시각량으로 공간 개방도를 결정하고, 개방도에 따른 도시 색채의 경향을 회귀분석하였다. 도시색채는 개방도가 높아질수록 명도는 낮아지고, 채도는 미세하게 증가하였으며, 한색계열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또한 린치의 공간 위요비례와도 매우 관계가 깊었으며, 도시 색채변화경향을 실제 경관을 통해 더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views the color of scenery not as a static state, but rather as a continuous sequence of perceptions that incorporates the concept of time. This study derived technique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flow and data from this sequence. By utilizing this, urban color trends can be based 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시퀀스 분석기법은 도시의 이미지 분석을 위한 새로운 경관분석 기법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실제 경관에서 보여지는 공간 개방성에 따른 도시색채의 특성은 시퀀스 데이터의 활용과 더불어 경관색채계획에 적용할 수 있는 객관적이며 정량적인 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관색채 연구의 시작은? 경관색채 연구의 시작은 랑클로(Lanclos)가 색채조사에서 도시를 색채를 갖는 건축군 환경으로 제안(Color Planning Center, 1988)하면서이며, 경관색채 연구의 초기 유럽에서는 환경적 색채언어를 목록화(Porter, 1982)하거나, 색채지도를 만드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는 단순 색채분포의 조사에 그치는 것으로, 연속적 색채에 좀 더 근접한 연구로 영국 템즈 강변의 수변색채 계획에서 구조물들의 색을 자연적 배경에서 구조물의 명도에 대한 ‘그림’으로 파악하여 연속적인 랜드마크 중심의 색채조성(Lancaster, 1996)과 남미 Cruz-Diez에서는 정지장면에 대한 색채 팔레트 대신 과학에 바탕을 둔 예술적 색채계획으로 색채인지과정에서 각도의 변화와 조망거리가 결부된 조도의 세기와 각도의 변화에 따른 색채변화 양상으로 관찰자의 행동, 움직임, 결정, 인식 등에 따른 또 다른 경험이 가능하도록 계획하였다(Porter, 1982).
도시경관계획의 색채에 관한 연구가 갖는 한계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도시경관계획에서 색채는 도시미관 차원을 넘어서 도시 이미지 측면에서 다양한 색들을 제안하고 배색하는 노력들이 끊임없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색채연구는 대부분 정지된 상태에서 색채를 바라보는 관점이 대부분으로 실제로 경관을 경험하는 4차원적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도시 이미지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도시 이미지는 연속적인 시선의 변화(sequence)에 따른 인간 활동의 연속성에 의해 결정(Lynch, 1960)되며, 진행 속도의 차이에 따라 환경지각도 달라지기에(Abernarty and Noe, 1966) 본 연구에서는 먼저, 경관을 ‘체험하는 대상’, ‘보여지는 대상’으로 경관 자체가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보행, 이동수단, 시선흐름과 같은 관찰자의 이동에 의해 시간의 개념을 포함하면서 수많은 프레임의 연속으로 인지되어지는 4차원적 대상으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연속적 색채경관은 연속적 인지리듬, 시각량과 같은 면적, 빛의 조건에 따른 거리에 의한 색채변화와 매우 거시적인 관점에서 장시간, 장거리동안 노출되어지는 경관색채의 흐름까지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이동을 전제로 하는 보행가로, 올레길, 관광코스, 골목길 투어나 최근 등장하고 있는 대중교통수단인 트램, 자기부상열차, 모노레일 등의 지상형 경전철 수단에서 보여지는 도시경관 계획에서 더욱 필요한 데이터가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bernathy, B. L. and S. Noe(1966) Urbanography. Progressive Architecture (April): 184-190. 

  2. Color Plannig Center(1998) Environment Design-To Survey From Design. Translated by Chang, J. H. Seoul: Kukjea Press. 

  3. Han, G. J.(2001) A study on the color improvement of the city environment - in case of Ichon-1dong, Yongsangu, Seoul-. The Science of Design 4(1): 1-8. 

  4. Im, S. B.(2008) Theory of Urban Landscape Planning. Seoul: Jipmundang. pp. 23-165. 

  5. Im, S. B.(2009) Theories in Landscape Analy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5-137. 

  6. Kim, C. S.(2014) Mordern Urban Planning. Seoul: Kimundang. pp. 190-194. 

  7. Kim, J. H. and S. W. Kim(2001) A study on the current color state and the improvement for the representative streetscape in Daegu city.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15(2): 47-55. 

  8. Kim, J. H.(1999)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tance and change of color on panels. Journal of Korea Socirty of Color Studies. 11(1): 1-10. 

  9. Koo, M. A.(2016) A Study on the Animation Model of Landscape Experience and the Analysis Method of Visual Landscape Sequence. Ph. D. Dissertation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pp. 22-78. 

  10. Lancaster, M.(1996) Colourscape. USA: John Wiley and Son Ltd. pp 6-7. 

  11. Lee, J. S., O. Y. Yim and D. H. Lee(2006) A study on the area effect of color by the observing distance and the sight angle. Journal of Korea Institude of Interior Design. 15(4): 123-128. 

  12. Lee, K. E., J. K. Lee, and P. J. Park(2010) A study on environmental lighting design of pedestrian space in urban street in connection with sequence of ligh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5(4): 135-145. 

  13. Lee, S. H.(2008) Theory and Practice of Landscape Color Planning. Seoul: Miseaum. pp. 70-80. 

  14. Lee, Y. H. and J. K. Lee(2010) A study on the visual-perceptive seqence by the color contrast in space design.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pacial Design. 5(2): 91-101. 

  15. Lynch, K.(1960) The Image of the City. Cambridge Mass: MIT Press. pp.1-50. 

  16. Lynch, K.(1975) Site Planning. Cambridge Mass: MIT. pp. 192-194. 

  17. Motloch, J. L.(1990) Introduction to Landscape Design. Park, C. Y. and J. Y. Hyun Trans. Theory of Landscape Design. Seoul: Daewoo Press. pp. 7-187. 

  18. Osaka City(1996) Color of Osaka City Colored Landscape Planning Guide Book. Planning Division, Osaka City Planning Department. 

  19. Park, C. I. and T. Y. Jo(2013) A study on urban river footbridge by pedestrian sequence. Journal of Korean Institude of Spatial Design 8(1): 21-31. 

  20. Park, S. J., J. A. Ha, and C. W. Lee(2004) A study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outer wall of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according to visual rang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45(4): 1-8. 

  21. Portor, T.(1982) Architectural Color - The Outside Color in Architecture. USA: Whitney Libray of Design Press. pp. 45-47. 

  22.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2004) Urban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Seoul: Munundang. pp. 81-260. 

  23. Trancik, R.(1986) Finding Lost Space.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pp. 60-98. 

  24. http://map.naver.co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