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행환경 인식이 보행환경 만족도 및 건강증진 기대효과에 미치는 영향 - 건강 목적의 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
The Influence of Pedestrian Environment Perception on Pedestrian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Expected Health Promotion Effects - Focused on Park User for Health Promotion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6, 2016년, pp.137 - 147  

이경미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우성 (대구대학교 조경학과)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장철규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건강 유지 및 증진 목적 공원 이용자들의 보행환경 인식이 보행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건강증진 기대효과와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보행환경 인식을 평가한 결과, '완만한 경사'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아 공원까지 접근로의 경사가 완만하여 보행하는데 큰 불편함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혐오요소가 많음', '장애물이 많음', '이륜차의 위험성' 등 보행안전과 관련된 항목들의 평가가 낮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보행환경 인식 요소들이 보행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공기의 쾌적성', '주변경관의 아름다움', '보도의 연속성', '다양한 볼거리', '나무그늘 제공', '혐오요소가 많음' 등 6개 인식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수목식재로 쾌적한 대기환경 및 녹음을 제공하고, 가로환경 정비를 통해 혐오요소를 제거해야 한다. 또한 아름다운 경관 조성과 다양한 볼거리 요소를 도입하고, 보도의 연결성을 높이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거주지에서 공원까지의 보행환경 만족도와 건강증진 기대효과의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보행환경에 만족할수록 공원 이용이 늘어나고, 더 나아가 신체적, 정신적 건강증진 기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factors of a pedestrian environment that affect pedestrian environment satisfaction(PES) and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S and the expected effects of health promotion. The targeted areas of study are neighborhood parks in Suseong-gu,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 유지 및 증진 목적의 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거주지에서 공원까지 접근로의 보행환경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고, 보행환경 인식이 보행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보행환경 만족도와 공원 이용 및 건강증진 기대효과 간의 관계성을 규명하여 공원 이용과 건강증진 기대효과를 높이기 위한 보행환경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 유지 및 증진 목적의 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거주지에서 공원까지 접근로의 보행환경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고, 보행환경 인식이 보행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보행환경 만족도와 공원 이용 및 건강증진 기대효과 간의 관계성을 규명하여 공원 이용과 건강증진 기대효과를 높이기 위한 보행환경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강 유지 및 증진 목적 공원 이용자들의 보행환경 인식이 보행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보행환경 만족도와 건강증진 기대효과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건강 유지 및 증진 목적의 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보행환경 인식 요소가 보행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보행환경 만족도와 공원의 건강증진 기대효과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건강한 삶을 위한 공원 접근로의 보행환경 조성 및 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보행환경과 공원 이용의 건강증진 기대효과를 평가하는데 있어, 이용자의 주관적 인식에 의존하여 이루어진 한계점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공원은 시민들에게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하는가? , 2015). 또한, 도시공원은 도시민의 신체활동을 유발하여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스트레스 및 우울감 등의 정신장애를 저감시켜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한다(More and Payne, 1978; Orsega-Smith et al., 2004; Lee and Heo, 2004; Bedimo-Rung et al.
공원 이용자의 특성 중, 공원 이용이 많은 사람의 월 평균 소득과 주거형태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공원 이용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40대 이상의 중장년층 및 노년층의 비율이 높고, 전업주부와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월 평균 400만 원 이상 고소득자들의 이용이 가장 많았으며, 응답자의 대부분이 아파트 및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 이용행태의 경우 주 2~3회 공원을 이용하고, 1회 이용 시 30~60분 정도 공원에 체류하는 응답자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공원의 장점은 무엇인가? , 2015b). 도시공원은 도시민의 일상생활 장소로서 접근이 쉽고 산책로 및 다양한 운동시설이 조성되어 있어 경제적 부담없이 활동 친화적인 장소로 이용 가능하다는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Moon and Kim, 2009; Kim, 2011; Lee et al., 2015b;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Baek, S. K. and K. H. Park(2014) Associ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3): 1-12. 

  2. Besenyi, G. M.(2003) Park Environments and Youth Physical Activity: Exploring the Influence of Proximity and Features Across Kansas City Missouri. Master's Degree Dissertation, Kansas State University. Manhattan, Kansas, USA. 

  3. Byeon J. H., K. H. Park and S. R. Choi(2010) The effect of physical pedestrian environment on walking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case of Jinhae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6):57-65. 

  4. Cervero, R. and K. Kockelman(1997) Travel demand and the 3Ds: density, diversity and desig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2:199-219. 

  5. Choi, Y. M., H. L. Seo and S. Y. Park(2011) Walking distinations and boundaries of everyday lives in residential areas.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8): 91-102. 

  6. Cohen, D. A., J. S. Ashwood, M. M. Scott, A. Overton, K. R. Evenson, L. K. Staten, D. Porter, T. L. Mckenzie and D. Catellier(2006) Public parks and physical activity among adolescent girls.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118(5): 1381-1389. 

  7. Cohen, D. A., T. L. Mckenzie, A. Sehgal, S. Williamson, D. Golinelli and N. Lurie(2007) Contrivution of public parks to physical activit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7(3): 509-514. 

  8. Coombes, E. A., P. Jones and M. Hillsdon(2010)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and overweight to objectively measured green space accessibility and us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70: 816-822. 

  9. Daegu metropolitan city(2014) The Status of Park and Recreational Park in 2014. 

  10. Daegu metropolitan city(2015) Report on Daegu Social Survey by Gu. Gun 2014. 

  11. Frank, L. D., J. F. Sallis, T. L. Conway, J. E. Chapman, B. E. Saelens and W. Bachman(2006) Many pathways from land use to health.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2(1): 75-87. 

  12. Hamilton, K. L.(2011) Park Usage and Physical Activity: An Exploration of Park Features, Neighbourhoods, and Park Programs. Master's Degree Dissertation, Queen's University. Kingston, Canada. 

  13. Han, S. J.(2015) Pedestrian-friendly city. World & Cities 10: 18-23. 

  14. Ho, C. H., L. Payne, E. Orsega-Smith and G. Godbey(2003) Parks, recreation and public health. Parks and Recreation 38(4): 18-27. 

  15. Jang, C. K., S. G. Jung and W. S. Lee(2016)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 perception on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 Focused on neighborhood parks in Suseong-gu, Daegu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5): 68-80. 

  16. Ji, O. S. and Y. S. Gu(2008) A study on satisfaction for pedestrian environment. Gyeong gi Research Institute 2008(11): 3-4. 

  17. Jung, S. G., S. G. Lee and D. H. Kang(2014) A study on user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neighborhood parks within walking distance with consideration for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s: Focusing on the case study Hwarang and Gwanum park, Daegu.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5): 110-123. 

  18. Kaczynski, A. T., L. R. Potwarka and B. E. Saelens(2008) Association of park size, distance, and features with physical activity in neighborhood park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8(8): 1451-1456. 

  19. Kim, H. W.(2007) A study on the user's behavior and satisfaction level of a neighborhood parks in Gwang-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4): 16-31. 

  20. Kim, S. H.(2011) A Study of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roposals for Outdoor Exercise Equipments in Neighborhood Park. Master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21. Kim, T. H., E. J. Kim, K. H. Park, W. S. Lee, G. W. Koh, G. Y. Kim, E. W. Nam, B. O. Lee and S. J. Ha(2013) Creating a healthy and active city. Urban Information Service 272: 3-19. 

  22. Lee, C. and A. V. Moudon(2004) Physical activity and environmental research in the health field: Implications for urban and transportation planning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of Planning Literature 19(2): 147-181. 

  23. Lee, C. and A. V. Moudon(2006) The 3Ds+R: Quantifying land use and urban form correlates of walking. Transportation Research 11(3): 204-215. 

  24. Lee, C.(2004) Activity-Friendly Communities: Physical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Walking and Biking and Their Policy. Ph.D. Thesi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Washington, USA. 

  25. Lee, I. S. and H. O. Kim(1998) Pedestrian path- choice behavior in urban residential area : Analysis of environmental satisfaction using GI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3(5): 117-129. 

  26. Lee, K. H. and K. H. Ahn(2007) The correlation between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walking of residents: A case study of 40 areas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2(6): 105-118. 

  27. Lee, K. H.(2012)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ity's built environment and residents' health: A case study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7): 3237-3243. 

  28. Lee, S. G., W. S. Lee, S. K. Baek, S. G. Jung and K. H. Park(2013) The influence of neighborhood-based physical environment on park usage for physical activity: Focused on Changwon-si in Korea.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7): 5-22. 

  29. Lee, S. Y. and J. Heo(2004)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by benefit sought in neighborhood park: Focused on the neighborhood park in the city of Taeje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3): 114-123. 

  30. Lee, W. S., K. H. Park, E. J. Kim and T. H. Kim(2015a) The correlates of neighborhood-based physical environment on park us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Focused on Uichang and Seongsan in Changwon city.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50(6): 71-88. 

  31. Lee, W. S., S. G. Jung and Y. E. Park(2015b) The effect of neighborhood environmental perception on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 The case of Suseong-gu in Daegu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6): 98-108. 

  32. Ministry of Health-Welfare(2014) Community Health Survey 2014, Seoul. 

  33. Ministry of Health-Welfare(2015)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Seoul. 

  34. Moon, H. S. and S. B. Kim(2009)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green spaces in Daegu city as the place for physical activities improving health.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8(11): 1199-1206. 

  35. More, T. and B. Payne(1978) Affective responses to natural areas near citi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0(1): 7-12. 

  36. Oh, S. H.(2010) Strategies for activating walking in the UK through walking map. AURI BRIEF 20.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37. Orsega-Smith, E., A. J. Mowen, L. L. Payne and G. C. Godbey (2004) The interaction of stress and park use on psycho-physiological health in older adult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6(2S2): 232-256. 

  38. Paquet, C., T. P. Orschulok, N. T. Coffe, N. J. Howard, G. Hugo, A. W. Taylor, R. J. Adams, and M. Daniel(2013) Are accessi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open spaces associated with a better cardiometabolic health?.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18: 70-78. 

  39. Park, S. H., H. L. Seo and Y. M. Choi(2007b) Measuring Walkability in Residential Neighborhoods. Seoul. 

  40. Park, S. H., Y. M. Choi and H. L. Seo(2008) Neighborhood Walkability Indicators for Health Promotive Community Design. Seoul. 

  41. Park, Y. E., W. S. Lee, S. G. Jung and K. H. Park(2015)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erception in neighborhood park on user's recognition of health improvement: Focusing on 8 neighborhood parks in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1): 54-68. 

  42. Park, K. H., J. W. Park, S. G. Jung and J. H. You(2007a) Developing the evaluation indicator of pedestrian environment for promoting walking activity.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6(11): 1231-1238. 

  43. Park, S. H., Y. M. Choi, H. L. Seo and J. H Kim(2009) Percep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of neighborhood walking: An impact study based on four residential communities in Seoul, Korea.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8): 253-261. 

  44. Park. K. H., W. S. Lee and J. H. Byeon(2010) An evaluation of the neighborhood walking environment using GIS method: Focus on the case study of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4): 78-90. 

  45. Doyle, Scott, Alexia Kelly-Schwartz, Marc Schlossberg and Jean Stockard(2006) Active community environments and health: The relationship of walkable and safe communities to individual health.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2(1): 19-31. 

  46. Statistics Korea(2014) Living Time Study 2014. Daejeon. 

  47. Stevens, R. D.(2005) Walkability around Neighborhood Parks: An Assessment of Four Park in Springfiled, Oregon. Master thesis, University of Oregon. Eugene, Oregon, USA. 

  48. Witten, K., R. Hiscock, J. Pearce and T. Blakely(2008) Neighbourhood access to open spaces and the physical activity of residents: National study. Preventive Medicine 47(3): 299-303. 

  49. http://www.daejeon.go.kr 

  50. http://www.suseong.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