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도 및 CO2 상승이 고추의 생육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levated Temperature and CO2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Pepper (Capsicum annuum L.)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8 no.4, 2016년, pp.179 - 187  

송은영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문경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손인창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위승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김천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임찬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  오순자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예측되는 온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상승조건에서 노지채소인 '무한질주' 고추의 생육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SPAR (Soil Plant Atmosphere Research) 챔버에서 수행하였다. 대조구인 대기온도는 노지고추 주산지인 안동지역의 평년(1971~2000; 30년) 5~10월의 생육기 평균기온($20.8^{\circ}C$)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대기온도, 400ppm $CO_2$), 이산화탄소 상승구(대기온도, 800ppm $CO_2$), 온도 상승구(대기온도+$6^{\circ}C$, 400ppm $CO_2$), 이산화탄소+온도 상승구(대기온도+$6^{\circ}C$, 800ppm $CO_2$) 등 4수준으로 설정하였다. 대조구보다 고온 및 상승 이산화탄소 농도 조건에서 재배하였을 때 초장, 분지수, 엽수 등이 증가하였으나, 엽면적과 SPAD값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개화 및 꽃봉오리수도 온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할수록 급격히 감소되었다. 또한, 개체당 총 착과수와 총 착과중도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는데 과실무게도 약간 적었고 과실 길이와 과실 두께도 약간 줄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기후변화시나리오에 근거로 대기 중 $CO_2$ 농도는 2배, 기온은 $6^{\circ}C$ 높은 환경 조건에서는 고추의 착과가 저해되고 과실 수량도 크게 감소하였으나, 완숙 과실의 비율은 증가하여 수확시기가 다소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elevated temperature and $CO_2$ concentration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pepper (Capsicum annuum L. cv. Muhanjilju) with SPAR (Soil Plant Atmosphere Research) chamber. The intraday temperatures of c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 노지채소인 고추를 전 생육기간 동안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고온(+6℃)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800ppm) 상승 조건에서 재배하였을 때 생육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향후 온난화 기후 하에서 작물의 안정생산 및 품질향상을 위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고추가 가지는 의미는? 고추는 한국의 채소류 재배면적 292,000ha의 약 20%를 차지하는 중요한 경제작물이며, 안동을 중심으로 한 경북지역은 한국 최대의 고추 생산지이다(Seo et al., 2011). 고추의 수량 및 품질은 착과 및 성숙기의 일조량, 강우량, 기온 등과 같은 기상환경과 재배지 토양조건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는다(Hwang and Lee, 1978; Kim et al.
고추의 수량 및 품질이 영향을 받는 인자는? , 2011). 고추의 수량 및 품질은 착과 및 성숙기의 일조량, 강우량, 기온 등과 같은 기상환경과 재배지 토양조건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는다(Hwang and Lee, 1978; Kim et al., 1995; Jang et al.
고추의 생육 특성중 분지수 측정방법은? 고추의 생육 특성은 정식 후 20, 40, 60, 80, 100일에 각 처리구별로 3주씩 무작위로 선발하여 초장, 분지수, 엽수, 총 엽면적, 개당 엽면적, SPAD값을 조사하였다. 초장은 지면에서 식물의 정단부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으며, 분지수는 가장 길게 신장된 가지를 선정해 처음 갈라지는 위치에서 그 가지의 마지막으로 갈라지는 부분의 개수를 조사하였다. 엽수는 잎의 길이가 1cm 이상인 것을 모두 조사하여 개체당 총 엽수로 나타내었으며, 총엽면적은 이들 잎을 엽면적 측정기(LI-3100, LI-COR,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FAO, 2004: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e in Asia and the Pacific. Twenty-seventh FAO Regional Conference for Asia and the Pacific. Beijing, China, 17-21. 

  2. Hadley, P., G. R. Batts, R. H. Ellis, J. I. L. Morison, S. Pearson, and T. R. Wheeler, 1995: Temperature gradient chamber for research on global environment change. II. A twin-wall tunnel system for low-stature, field-grown crops using a split heat pump. Plant, Cell & Environment 18, 1055-1063. 

  3. Hansen, W. J., Sato, M., Ruedy, R., Lacis, A., and V. Oinas, 2000: Global warming in the twenty-frist century: an alternative senario. Proc. Natl. Acad. Sci. USA 97: 9875-9880. 

  4. Heo, Y., E. G. Park, B. G. Son, Y. W. Choi, Y. J. Lee, Y. H. Park, J. M. Suh, J. H. Cho, C. O. Hong, S. G. Lee, and J. S. Kang, 2013: The Influence of abnormally high temperature on growth and yield of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7(2), 9-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oughton, J. T., L. G. Meira Filho, B. A. Callander, N. Harrirs, A. Katenberg, and K. Maskell, 1996: Climate change 1995.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6. Hwang, J. M., and B. Y. Lee, 1978: Studies on some horticultural characters influencing quality and yield in the pepper (Capsicum annuum L.). II. Correlations and selection.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19, 48-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I. contribution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New York, USA. 

  8.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9. Jang, K. S., D. J. Choi, D. H. Pae, J. T. Yoon, and S. K. Lee, 2000: Effects of altitudes on growth and fruit quality i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41(5), 485-4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B. S., K. Y. Kim, S. K. Kim, and J. K. Sung, 1995: Pepper profitable techniques and marketing strategy. Nongminshinmunsa. 

  11. Kim, S. H., H. You, E. G. Park, B. G. Son, Y. W. Cho., Y. J. Lee, Y. H. Park, J. M. Suh, J. M. Suh, J. H. Cho, C. O.Hong, S. G. Lee, and J. S. Kang, 2013: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mino acid and polyamin on pollen germination of pepper (Capsicum annuum L.).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7(2), 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S. O., D. J. Kim, J. H. Kim, and J. I. Yun, 2012: Freeze risk assessment for three major peach growing areas under the future climate projected by RCP8.5 emission scenario.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3), 124-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NIMR, 2011: Climate change scenario report.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79-99. 

  14. Paul, M. J. and C. H. Foyer, 2001: Sink regulation of photosysthesis.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52(360), 1383-1400. 

  15. Poster, J. R., and M. A. Semenov, 2005: Crop response to climatic variation.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360(1463), 2021-2035. 

  16. Reddy, K. R., H. F. Hodges, and J. M. Mckinion, 1993: A temperature model for cotton phenology. Biotronics 22, 47-59. 

  17. Reddy, K. R., H. F. Hodges, and J. M. Mckinion, 1995: Carbon dioxide and temperature effects on pigma cotton growth.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54, 17-29. 

  18. Seo, J. A., Y. K. Yi, B. S. Kim, J. M. Hwang, and S. W. Choi, 2011: Disease occurrence on Red-pepper plants surveyed in Northern Kyungbuk Province, 2007-2008. Research in Plant Disease 17(2), 205-210. 

  19. Shin, J. W., and S. C. Yun, 2011: Impact of climate change on fungicide spraying for Anthracnose on hot pepper in Korea during 2011-2100.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1), 10-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Song, E. Y., K. H. Moon, I. C. Son, S. H. Wi, C. H. Kim, C. K. Lim, and S. J. Oh, 2015: Impact of elevating temperature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3), 248-2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Willits, D. H, and M. M. Peet, 1981: $CO_2$ enrichment in a solar collection/storage greenhouse. Paper 81-4525, 1981 Winter Meeting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meeting. Chicago, IL, USA. 

  22. Wolfe, D. W., M. D. Schwartz, A. N. Lakso, Y. Otsuki, R. M. Pool, and N. J. Shaulis, 2005: Climate change and shifts in spring phenology of three horticultural woody perennials in northeastern USA.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9, 303-3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