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기념물 제63호로 지정된 산굼부리 분화구은 기존 마르형 분화구로 인식되었지만, 새로운 정밀지질도 작성과 함께 야외에서의 지질학적 특징들이 산굼부리 분화구가 두 번에 걸친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함몰분화구(pit crater)임을 지시한다. Stage 1 단계에서는 비현정질휘석현무암 I와 화산재와 래필리로 구성된 화성쇄설물 I가 동시에 형성되었고, stage 2 단계에서는 침상장석감람석현무암 형성 후 비현정질휘석현무암 II와 집괴암으로 구성된 화성쇄설물 II가 동시에 형성되었다. Stage 2의 침상장석감람석현무암을 Ar-Ar 연대측정 결과 산굼부리 함몰분화구는 7만3천 년 전에 형성되었다. 산굼부리 분화구는 함몰분화구(pit crater)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하부로 빠져나간 마그마의 방향을 알 수 없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ngumburi crater,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No. 63, recognized as a maar, but precise geological mapping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field indicate that Sangumburi crater is a pit crater. Two stages of volcanic activities created Sangumburi pit crater. Lava flow (aphanitic pyroxene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굼부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는 문화재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산굼부리 분화구에 대한 자세한 지질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산굼부리 분화구와 인근 지역 용암류에 대한 정밀 지질조사를 수행하여 산굼부리 분화구가 형성된 과정을 밝히는데 있다.

가설 설정

  • 7). 만약 부분용융 동안 이들 미량원소비가 변화하지 않았다고 가정 한다면 화산암을 형성한 마그마는 결핍 맨틀(DMM)과 부화된 맨틀(EM)에서 기원한 마그마들 사이의 지화학적 영역에 도식된다. 그러므로 산굼부리 화산암을 형성한 마그마는 결핍 맨틀과 부화된 맨틀의 지화학적 특성이 혼합된 근원물질로부터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몰분화구란 무엇인가? 함몰분화구란 용암 분출 후 지하에 있던 마그마의 공급이 중단되거나 다른 곳으로 이동함으로써 생기는 지하의 빈 공동에 의해 지반 암석들이 함몰되어 생기는 분화구이다. 일반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분화구 직경이 2 km 이상이면 칼데라(caldera)라고 하며, 1 km이하이면 함몰분화구라고 한다.
산굼부리는 언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는가? 산굼부리는 1979년 국내 유일의 마르(maar)형 분화구로 지질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천연기념물 제63호로 지정되었다. Park et al.
산굼부리 분화구의 형성 과정은 어떠한가? 산굼부리 분화구의 정밀지질도 작성과 Ar-Ar 연대 측정을 통해 산굼부리 분화구는 7만3천 년 전 두 번에 폭발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Stage 1에서는 비현정질휘석현무암 I의 용암과 화산재와 래필리로 구성된 화성쇄설물 I이 동시에 형성되었다. Stage 2에서는 침상장석감람석현무암 분출 후 비현정질휘석 현무암 II와 집괴암으로 구성된 화성쇄설물 II가 동시에 형성되었다. 새로이 작성된 지질도상의 암상 및 층서는 산굼부리 인근 시추공(well 54)의 층서와 잘 일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i, H.-O., Choi, S.H. and Yu, Y., 2014, Isotope geochemistry of Jeongok basalts, northernmost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enriched mantle end-member component.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91, 56-68. 

  2. Harris, A.J.L., 2009, The pit-craters and pit-crater-filling lavas of Masaya volcano. Bulletin of Volcanology, 71, 541-558. 

  3. Jejudo, 2003, Academic project on the natural heritage of Juju Island. Juju-do and the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assets of Jeju cultural and art foundation, 332p. 

  4. Kil, Y., 1995, The stratigraphy and petrology of volcanic rocks in the Northeastern-slope, Cheju Island.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07p. 

  5. Kil, Y. and Jung, H., 2015, LA-ICP-MS analysis of natural rock samples using XRF glass beads. Geosciences Journal, 19, 45-52. 

  6. Kim, J., Choi, J.-H., Jeon, S.I., Park, U.J. and Nam, S.S., 2014, 40Ar-39Ar Age Determination for the Quaternary Basaltic Rocks in Jeongok A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3, 385-391. 

  7. Kuno, H., 1966, Lateral variation of basalt magma across continental margins and island arcs. Bulletin of Volcanology, 29, 195-222. 

  8. Lebas, M.J., LeMaitre, R.W., Streckeisen, A. and Zanettin, B., 1986,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silica diagram. Journal of Petrology, 27, 745-750. 

  9. Lee, M.W., 1982,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Jeju volcanic island, Korea. The science reports of the Tohoku University, 15, 177-256. 

  10. Longpre, M.A., Staudacher, T. and Stix, J., 2007, The November 2002 eruption at Piton de la Fournaise volcano, La Reunion Island: ground deformation, seismicity, and pit crater collapse. Bulletin of volcanology, 69, 511-525. 

  11. Okubo, C.H. and Martel, S.J., 1998, Pit crater formation on Kilauea volcano, Hawaii.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86, 1-18. 

  12. Park, K.-H., Song, K.Y., Hwang, J.H., Lee, B.-J., Cho, D.L., Kim, J.C., Cho, B.W., Kim, Y.B., Choi, P.-Y., Lee, S.-R. and Choi, H.I., 1998, Geological Report of the Cheju-Aewol sheet(1:50,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290p. 

  13. Park, K.-H., Park, J.-B., Cheong, C.-S. and Oh, C.H., 2005, Sr, Nd and Pb isotopic systematics of the Cenozoic basalt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Permo-Triassic continental collision boundary. Godwana Research, 8, 529-538. 

  14. Rollinson, H.R., 1993, Using Geochemical Data: Evaluation, Presentation, Interpretation. Longman, UK. 352p. 

  15. Rymer, H., Wyk de Vries, B.V., Stix, J. and William-Jones, G., 1998, Pit crater structure and processes governing persistent activity at Masaya volcano, Nicaragua. Bulletin of volcanology, 59, 345-355. 

  16. Saunders, A.D., Norry, M.J. and Tarney, J., 1988, Origin of MORB and chemically depleted mantle reservoirs: trace element constraints. Journal of Petrology, Special Lithosphere Issue, 415-445. 

  17. Tatshumi, Y., Shukuno, H., Yoshikawa, M., Chang, Q., Sato, K. and Lee, M.W., 2005, The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volcanic rocks on Jeju Island: Plume magmatism along the Asian continental Margin. Journal of Petrology, 46, 523-553. 

  18. Weaver, B.L., 1991, The origin of ocean island basalt endmember compositions: trace element and isotopic constraint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104, 381-397. 

  19. Weyer, S., Munker, S. and Mezger, K., 2003, Nb/Ta, Zr/Hf and REE in the depleted mantle: implications for the differentiation history of the crust-mantle system.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05, 309-324. 

  20. Won, C.K., Kil, Y. and Lee, M.W., 1998, The petrology of volcanic rocks on the Northeastern slope, Cheju Island.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9, 329-342. 

  21. Wood, D.A., 1980, The application of a Th-Hf-Ta diagram to problems of tectonomagmatic classification and to establishing the nature of crustal contamination of basaltic lavas of the British Ternary volcanic province.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50, 11-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