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속열차의 공기저항 저감을 위해 KTX-산천의 구성요소별 공기저항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전체 공기저항의 약 42.9%는 동력차(선두차, 후미차)에서 그리고 약 10.1%는 대차에서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두부의 공기저항 저감을 위해 Broyden-Fletcher-Goldfarb-Shanno 기법을 이용한 전두부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차체 공기저항 저감을 위해 동력차 형상 변화 및 대차커버를 적용하였다. 공기저항 저감을 위해 최적설계된 편성열차의 공기저항은 KTX-산천 대비 약 15.0% 저감되었으며, 주행저항은 속도 350km/h에서 약 12%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reduce the aerodynamic drag of high speed trains, aerodynamic drag of KTX-Sancheon was analyzed in detail according to individual components. Aerodynamic drag values of the power cars (front car, rear car) and bogies are about 42.9% and 10.1% of the total aerodynamic drag, respectively. For th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많은 연구들이 공기저항 유발 수준이나, 구성요소별 접근방법에 대한 분석 없이 일부 구성요소에 국한되어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속열차 편성열차에 대한 공력설계 과정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전산해석을 통해 각 구성요소별 공기저항을 상세하게 분석하고, 이에 따른 공기저항 저감 방법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전체 편성열차 중심으로 공기저항 저감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최적설계된 편성열차에 대한 공기저항 향상 수준을 KTX-산천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속열차의 공기저항은 어디에서 유발되는가? 고속열차의 공기저항 저감을 위해 KTX-산천의 구성요소별 공기저항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전체 공기저항의 약 42.9%는 동력차(선두차, 후미차)에서 그리고 약 10.1%는 대차에서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두부의 공기저항 저감을 위해 Broyden-Fletcher-Goldfarb-Shanno 기법을 이용한 전두부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고속열차의 최고운영속도의 역할은 무엇인가? 고속열차의 최고운영속도는 단순한 속도의 의미를 넘어, 고속철도 시스템의 기술수준과 신뢰성을 대변하는 주요지표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 일본, 프랑스 그리고 중국은 고속철도 운영속도를 320km/h 혹은 350km/h로 향상시켜 세계 고속철 도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고속열차의 운영속도를 효율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공기저항 저감이 필수적인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 이 때, 고속열차의 운영속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상승 시키기 위해서는 공기저항 저감이 필수적이다. 특히, 350 km/h로 주행하는 고속열차에서는 주행저항의 대부분이 공기저항에 의 해 나타나기 때문에 공기저항 저감을 위한 연구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항공분야에서는 공기저항 저감이 연료비 절감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양한 공기저항 저감기법이 연구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 Miyako, Y. Yamamoto (1997) Investigation of running resistance of high-speed train, Proceeding of WCRR 97 Italy, Florence, pp. 577-579. 

  2. S.H. Yun, M.H. Kwak, S.W. Nam, H.K. Oh, S.W. Kim (2015) Analysis and validation of a general expression for high-speed train resistrance, a coasting test,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2015 Spring conference, Mok-po pp. 166-171. 

  3. S.W. Nam, S.H. Yun (2014) A study on the equation of running resistance for honam high speed train,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2014 Fall Conference, Je-ju, pp. 208-211. 

  4. H.B. Kwon, S.W. Kim, H.K. Oh (2014) Assessment of running resistance of a high-speed train using a coasting t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7(3), pp. 279-288. 

  5. Heine. Ch., Matschke G. (2001) The influence of the nose shape of high speed trains on the aerodynamic coefficients, Proceeding of WCRR2001 Germany, Cologne, 507. 

  6. G. Mancini, A. Malfatti, Angelo G., A. G. Violi, G. Matschke (2001) Effects of experimental bogie fairings on the aerodynamic drag of the ETR 500 high speed train, Proceeding of WCRR2001 Germany, Cologne, 71. 

  7. J.S. Moon, S.W. Kim, H.B. Kwon (2014) A study on the aerodynamic drag reduction of high-speed train using bogie side fairing, Journal of Computational Fluids Engineering, 19(1), pp.41-46. 

  8. S.H. Yun, M.H. Kwak, S.W. Nam, C.S. Park (2014) Research for Aerodynamic drag reduction method of KTX-sanchon,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2014 Fall Conference, Je-ju, pp. 208-211. 

  9. S.H. Yun, T.Y. Kim, T.H. Ko, H.B. Kwon, D.H. Lee (2004) The numerical analysis of the flow-filed around the korean tilting train expr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7(3), pp. 77-83. 

  10. M.E. Johnson, L.M. Moore, D. Ylvisaker (1990) Minimax and maximin distance designs, Journal of Statistical Planning and Inference, 26(2), pp. 131-148. 

  11. S.O. Jun, Y.H. Jeon, J.H. Kim, and D.H. Lee, (2006) Application of the robust and reliability-based design optimization to the aircraft wind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34(8), pp. 24-32. 

  12. G.N. Vanderplaats (1999) Numerical optimization techniques for engineering design 3rd edition, Vanderplaats Research & Developments, Inc. Colorado Springs, Co. 

  13. M.H. Kwak, S.H. Yun, C.S. Park (2015) Optimal design for the nose shape of commercial high-speed train using function of train configu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8(4), pp. 279-2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