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헌정보학과의 인재상 및 전공역량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Talent Model and Major Competence of the LI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7 no.4, 2016년, pp.21 - 62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신영지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재상 및 핵심역량 기반 교육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K대학 문헌정보학과의 인재상 및 전공역량을 개발하고, 이에 적합한 교과목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분석, 전문가 의견수렴, 그리고 수요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정보학과에 요구되는 인재상은 큐레이션 인재, 지능 인재, 서비스 인재, 기술 인재, 전문 인재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인재상별 요구역량은 문헌정보 수집능력, 조직능력, 보존능력 등 15개의 전공역량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대학의 교과목은 이러한 인재상 및 전공역량을 실현하기 위해서 교과목의 추가가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에는 국가차원에서 사서의 인재상 및 전공역량 개발이 요구되며, 더불어 NCS 기반 교육과정의 개발과 도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alent model and core competence based training are in deman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proper talent model and major competencies for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 at K University and propose appropriate educational subjects based thereon. To this end, related documen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서의 핵심역량 선언에 있는 사서의 8대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ALA도 10년 이상 논의를 지속하여 2005년 7월 발표한 초안을 수정․보완하여 2009년 1월‘사서의 핵심역량 선언’을 발표하였다. 이 선언에 있는 사서의 8대 핵심역량은 전문직의 기초, 정보자원, 기록된 지식과 정보의 조직, 기술에 대한 지식과 활용능력, 참고봉사와 이용자서비스, 연구, 계속교육과 평생학습, 그리고 관리와 경영이다.
인재상이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인재상, 기초직무능력, 전공역량에 대해 간단히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재상(Talent Model)이란 특정 조직의 바람직한 조직구성원에 대한 이미지를 말하고(박원우, 권석균 1996), 기초직업능력(Key Skills, Key Competencies)은 직무를 수행하는데 기초가 되는 능력을 모두 포함하는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능력을 말한다(나승일 2003). 또한 전공역량(Major Competency)은 전공 공부를 지속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말한다(정찬기오, 박신렬, 김훈희 2013).
기초직업능력이란 어떠한 능력인가?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인재상, 기초직무능력, 전공역량에 대해 간단히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재상(Talent Model)이란 특정 조직의 바람직한 조직구성원에 대한 이미지를 말하고(박원우, 권석균 1996), 기초직업능력(Key Skills, Key Competencies)은 직무를 수행하는데 기초가 되는 능력을 모두 포함하는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능력을 말한다(나승일 2003). 또한 전공역량(Major Competency)은 전공 공부를 지속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말한다(정찬기오, 박신렬, 김훈희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곽병선. 2014. 미래사회의 인재상과 새 교육과정의 방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학술대회", 13-30. (Kwack, Byong-Sun. 2014. "The Talent Mode for Future Society and the Direction of New Curriculum." Proceedings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3-30.) 

  2. 김귀영, 박수연. 2011. "서울시 인재상 및 역량체계 재설계 방안". 서울: 서울연구원. (Kim, Guiyoung and Suyeon Park. 2011. Redesign of a Desirable Public Officials Image and the Competency Framework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The Seoul Institute.) 

  3. 김규원. 2015. 미래의 대학교육과 인재상. "사회사상과 문화", 18(2): 287-323. (Kim, Gyu-Won. 2015. "Higher Education and the Type of Talented People in the Future: A Discourse on the Shift Towards the Education-for-All-the-Talented Regime." Journal of Social Thoughts and Culture, 18(2): 287-323.) 

  4. 김수훈. 2009. 기업이 원하는 문화 컨텐츠 인재상. "인문콘텐츠학회 학술심포지움", 68-77. (Kim, Soo Hoon. 2009. "Talent Model of Cultural Contents Required for The Enterprise." Scholarship Symposium of Korea Humanities Content Society, 68-77.) 

  5. 나승일. 2003.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설정과 표준 개발". 서울: 중앙고용정보원. (Na, Seung-il. 2003. Establishment of standards and standard development of basic skills. Seoul: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6. 류청산. 2012. 의식기술시대의 인재상과 실과교육의 발전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23. (Ryu, Cheongsan. 2012. "The Leadership Model of Cyberdelics Times and the Direction of Practical Science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3-23.) 

  7. 박원우, 권석균. 1996. 인사.조직: 인재상 정립의 방법과 내용: 한국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243-275. (Park, Won-woo and seokgyun Kwon 1996. Personnel?Organization: Method and contents of establishing talented person: A Case of Korean Companies. Proceedings of Spring Conference, 243-275.) 

  8. 백평구. 2013. 대학생 핵심역량 수준과 대학생 개인 변인의 관계 및 특성. "교양교육연구", 7(3): 349-387. (Baek, Pyoung-Gu.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nd Undergraduates' Individual Variant Factor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7(3): 349-387.) 

  9. 유태용, 김영주, 김현욱, 박혜진, 심윤희, 김정수, 김사라, 김솔이, 안여명. 2008. 국내기업 인재상의 내용분석.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8(1): 264-265. (Yoo, Tae-Yong, Young Joo Kim, Hyeonwook Kim, Hyejin Park, Yoon Hee Sim, Jung Su Kim, Sara Kim, Sol Yi Kim, and Yeo-Myeong Ahn. 2008. "The Content Analysis of Desirable Talent in Korean Compan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8(1): 264-265.) 

  10. 이경언. 2011.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에서 핵심역량 논의의 방향. "음악교육공학", 13: 1-15. (Lee, Kyung-Eon. 2011. "Direction of Discussions on the Key Competence in Developing the Music Curriculum." Journal of Music Eduacation Science, 13: 1-15.) 

  11. 이명희. 2012. 대학생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독서지도 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3): 79-102. (Lee, Myeong-Hee. 2012. "Development of the Reading Guidance Course for Strengthening Core Competencie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3): 79-102.) 

  12. 이은영. 2012. 기록관리전문직의 핵심역량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1): 117-139. (Lee, Eun Young. 2012. "A Study on Core Competencies of Archivists & Records Manag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1): 117-139.) 

  13. 이임정, 진정오, 윤관호. 2006. 우리나라 기업이 선호하는 인재상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저널", 10: 71-102. (Lee, Im-Jeong, Jeong Oh Jin, and Kwan-Ho Yoon. 200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esources Required in Korean Companies." The Business Education Journal, 10: 71-102.) 

  14. 이장익. 2012. 대학입학 전형제도 유형과 대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2): 73-96. (Lee, Jang Ik. 2012.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Essential Skills and University Admission Method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4(2): 73-96.) 

  15. 이재훈, 양현주. 2011. 국제기업가정신, 핵심역량 그리고 국제화 간 관련성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4(6): 3247-3271. (Rhee, Jae-Hoon and Hyun-Joo Yang. 2011. "Relationships Among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Core Competence, and Internationalization." Korean Jouran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4(6): 3247-3271.) 

  16. 李鍾京, 李承實, 吳姃炫. 2013. 역사과 핵심역량 중심의 창의.인성 교육 수업 모델 개발. "역사교육", 128: 37-67. (Lee, Chong-Kyung, Seung-Sil Lee, and Jeong-Hyun Oh. 2013. "The Development of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Model in History Class Focusing on the Key Competencies: the Model of Communication Skills by Re-enactment." The Korean History Education Review, 128: 37-67.) 

  17. 이태숙, 임현주, 김철원. 2012. 컨벤션기획업(PCO) 종사자의 핵심역량이 이해관계자의 만족도와 사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4(6): 405-421. (Lee, Tae-Sook, Hyun-Joo Lim, and Chul-Won Kim. 2012. "Effects of Core Competencies of PCO Employees on the Satisfaction Level and Post Conference Behavior of Stakeholders." Journal of Tourism&Leisure Research, 24(6): 405-421.) 

  18. 정찬기오, 박신렬, 김훈희. 2013. 자연계열 대학생들의 전공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 "중등교육연구", 25: 105-129. (Chuang, Chang Gi Ho, Sin Yeol Park, and Hoon Hee Kim. 2013. "A Study on Creativity Factors Related with the Type of Self-Report Influencing Major Competency of Students." Secondary Institute of Education, 25: 105-129.) 

  19. 최태영. 2014. 영남신학대학교의 특성화 방향과 미래 인재상에 기초한 교육방향과 목적 및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 "신학과 목회", 42: 31-58. (Choi, Tae-Young. 2014. "Goal and Curriculum of Theology Department in Youngnam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Theology and Ministry, 42: 31-58.) 

  20. 한춘희, 신범식. 2009. 핵심역량을 통한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의 가능성과 한계. "사회과교육", 48(4): 123-144. (Han, Choon Hee and Bum Sik Shin. 2009. "Possibility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Development via Core Competence." Social Studies Education, 48(4): 123-144.) 

  21. 홍성민, 김형주, 조가원, 박기범, 김선우, 정재호. 2013. 미래 과학기술 인재상과 이공계대학 지원정책의 전환방향. "정책연구", 1-249. (Hong, Seong-Min, Hyung Joo Kim, Ga-Won Cho, Kibeom Park, Sun Woo Kim, and Jaeho Chung. 2013. "The Talent Mode for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Direction of Supporting Policy of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Policy Research, 1-249.) 

  22.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09. ALA's Core Competencesof Librarianship [cited 2016.8.15]. . 

  23. Boyatzis, Richard E. 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John Wiley & S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