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역량기반 치의학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역량모델 개발 사례
A Case of Developing a Competency model for the revision of the dentistry education curriculum on the competency-based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1, 2020년, pp.347 - 354  

황재연 (원광대학교 치의학교육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W치과대학의 역량기반 치의학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방법은 역량모델 개발절차를 3단계로 진행하였다. 역량모델 준비 단계는 구성원의 인식조사를 분석하고, 개발단계는 역량수준 등을 개발하였다. 평가단계는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그 결과 내용타당도지수(CVI: content validity index)는 .91로 높은 CVI를 나타났으며, 대학차원의 공통역량인 4개의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인 직무역량을 연계한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걸쳐 개발된 W치과대학의 역량모델 개발 사례는 앞으로 역량모델 개발이 필요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W치과대학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편에도 반영할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the revision of the dentistry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competency of W College of Dentistry. For this, this study made progress of the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procedure in three stages. The preparation stages of the compet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문헌분석 및 내부자료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개편의 방향성과 목적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현재 진행 중인 교육과정에 대한 활용과 교과목간의 연계성, 종합관리 시스템 입력과 관련해서 문제점이 제기되어 이를 개편하는 방안으로 개발 맥락을 잡고 진행하였다.
  •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이 연구는 고등교육 기관의 역량에 대한 기존 연구 동향과 특성을 토대로 하여, 역량의 개념을 대학에서 사용하는 역량과 직업교육에서 요구하는 역량의 포괄적 의미로 전제하고 있다. 나아가서 이 연구는 윤리 및 인성 측면을 내포하고 있는 W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 이와 같은 결과는 기존에 선정된 역량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구성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와 문헌 및 자료 분석에서 도출된 내용을 역량모델 개발에 반영하기로 하였다.
  • 이 연구는 W치과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역량모델 개발에 대한 사례 분석이다. 이를 위해 W치과대학의 역량모델 개발 절차와 결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 H. So(2007). 'Competency' in the Context of Schooling: It's Meaning and Curricular implication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2), 1-21. DOI : 10.15708/kscs.25.3.200709.001 

  2. S. E Lee.(2017). Exploring Alternatives i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Dentistry Curriculum: An Ontological Approach. Korean Medical review, 19(1), 25-35. DOI : 10.17496/kmer.2017.19.1.25 

  3. C. M Jung & J. G. Yoo.(2011). Towards a University Curriculum for a Supercomplex Society. Philosophy of education, 33(1), 185-202. DOI : 10.15754/jkpe.2011.33.1.008 

  4. J. G. Yoo & C. M Jung(2010). An Idea of a University in a Supercomplex Society: focused on R. Barnett's View. Philosophy of education, 50(50), 145-164. 

  5. K. T. Seo & Y. K Yun(2019).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cused on the Key Competencies of University and Departmen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7), 163-173. DOI: 10.5762/KAIS.2020.21.8.359. 

  6. N. J. Paik & J. D. Ohn(2014). An Idea of a University in a Supercomplex Society: focused on R. Barnett's View.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2(4), 17-46. DOI : 10.15754/jkpe.2010..50.007 

  7. H. J. Yoon, S. W. Park, K. & K H. Lee,(2008). A research on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national curriculum. Research Report RRC 2008-2. Seoul: KICE. 

  8. H. H. Cho.(2019). Exploring Typ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2(2), 1-30. DOI: 10.29221/jce.2019.22.2.1 

  9. L. Spencer & S. Spencer(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Wiley & Sons. 

  10. Wood, R & T. Paryne(1998). Competency-Based Recruitment and Selection.: A practical Guide.. NY: John Wiley. 

  11. R. W. White(1959).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Psychological Review, 66(5), 297-333. DOI/10.1037/h0040934 

  12. D .C. McClelland(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DOI: 10.1037/h0034092 

  13. J. L. Yoon, M. S. Kim, S .K. Kim & M. J Park.(2007).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competency as human ability, Kore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5(3), 233-260. 

  14. H. S. Lee & Y. H. Lee(2011). Competency Based Curriculum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the Implications. Educational Research, 34, 17-35. 

  15. J. K. Lee. (2002). Reflection on a Methodology of Develop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based on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Improving Marketing Competency.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18(4), 25-56. 

  16. Y. J. Kwak & S. Y. Jang(2015). A Case Study of an Educational System Development to Implement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t a Univers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12). 573-597. 

  17. M. J. Park(2008). A new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competence-based curriculum.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6(4), 173-197. DOI: 10.15708/kscs.26.4.200812.008 

  18. J. H Lee. & D. H. Han(2015). Exploring Directions for Implementing Competency-Based Approach into University Curriculum: A Case of Redesigning a Competency-based Undergraduate Dentistry Curriculum. Journal Educational technology , 31(3), 571-56. DOI :10.17232/KSET.31.3.571 

  19. J. K. Ko, M. A. Chung, M. S. Choe, Y. I. Park, K. S. Bang, J. A. Kim, M. S. Yoo & H. Y. Jang.(2013). Modeling of nursing competencie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87-96. DOI: 10.5977/jkasne.2013.19.1.87 

  20. J. T. Lee, B. D. H. Hhee & H. R. Roh(2013). Outcome-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t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15(1), 31-38. 

  21. Y. H. Park, J. S. Jun & J. M. Baik.(2014). Development of a Competency Model for the National University Employee and Educational Needs Analysis of the Competencies. Journal of Korean HRD Research, 9(2), 51-67. 

  22. H. Y. Kim. & S. J. Lee(2012). Diagnosis and Direction of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al Model: Based on the Courses and Effec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4) ,11-40. 

  23. S. E. Dreyfus. & H. L. Dreyfus(1980).A Five-Stage Model of the Mental Activities Involved in Directed Skill Acquisition. Washington, DC: Storming Media. Retrieved June 13, 2010. DOI : 10.21236/ada084551 

  24. J. Y. Han & K. S. Park(2014). Content Validity of Functional Communication Index-Vacational Evaluatio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3(2), 231-251. DOI : 10.15870/jsers.2014.06.53.2.231 

  25. M. H. Shon. & H. Y. Cho.(2016). The post-functionalist Curriculum Model and a Metaphor of Identity : A Design for a Competence-based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4(2), 141-1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