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공공보건조직의 역량과 조직성과
Organizational Capacity and Performance of Local Public Health in Korea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1 no.4, 2016년, pp.183 - 194  

김재희 (대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capacity of local health organization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apac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thods: The study used the secondary data for 160 local public health organiz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록 상기 연구들에서 조직성과가 본 연구와 다르게 설정되었다고 하더라도 인력과 예산이 조직성과의 영향요인이라는 결과는 본 연구결과와 동일한 의미를 내포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전체 인력과 예산의 확대를 통해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이용률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고 하겠다. 특히 보건소에서 간호사는 가장 많은 인력을 차지하고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인력임을 고려할 때[15], 간호사의 양적 강화는 더욱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 따라서 보건소는 국가보건의료체계의 목표인 건강형평성과 이용자의 요구충족을 위해 서비스를 양적으로 뿐 아니라 질적으로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서비스 증진에 선결과제라 할 수 있는 조직역량을 인력의 규모와 예산의 규모 측면에서 확인하고, 이런 조직역량이 서비스 만족도와 이용률 등의 조직성과에 영향을 주는 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공공보건조직 역량의 서비스 만족도와 이용률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조직 성과로 서비스 만족도와 서비스 이용률을 설정하고 인력규모, 예산규모 등의 조직 역량이 성과에 영향을 주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공공보건조직의 성과강화방안을 조직성과 측면에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역공공보건조직을 대상으로 지역특성에 따른 조직역량, 조직성과에 대한 조직역량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은 160개 보건소이며,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보건소의 “제 5기 지역보건의료계획”과 “2009 지역사회건강조사” 보고서에서 추출한 2차 자료이었다.

가설 설정

  • 보건소와 보건지소에 근무하는 전체 인력 수, 간호사 수 및 의사 수를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건강증진재단으로부터 확보한 전국 253개 보건소의 제5기 지역보건의료계획(2010-2014)에 기술된 수를 해당 지역의 2010년 인구 100,000명당으로 나타냈다. 대부분의 보건소가 정규인력만을 공식 자료에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번 연구에서 인력은 정규인력으로 한정하였다. 단, 계약직 중 기간제는 제외하였으나 무기계약직은 정규인력에 포함하였으며, 공중보건의 역시 포함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보건의료에서 조직역량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이유는? 조직역량이란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능력으로서 조직성과에 결정적인 요소이자 조직성과의 개선에 핵심 역할을 한다[2-4]. 이에 따라 공공보건의료에서 조직역량은 다른 공공영역에서보다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 및 이용률로 이어져 공공보건의료의 목표인 형평성 제고에 방향성을 제시해 준다[5].
국내 보건소의 조직역량 자체에 초점을 둔 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운 이유는? 국내에서 공공보건조직인 보건소의 조직역량 자체에 초점을 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지역사회 역량과 지역사회 건강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가 있었으나[10], 지역사회 이웃관계, 응집성, 핵심 단체 및 활동가, 사이성, 사업참여 정도 등 서비스 제공 조직의 역량이 아니라 지역사회 역량에 초점을 두고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보건소 조직역량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 연구가 있었는데, 장명화 등[11]의 연구에서는 지역보건의료계획이 사업 및 조직 전반에 대한 관리, 이해관계자와의 관계구축 등을 포함함으로써 사실상 조직역량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조직역량이란? 조직역량이란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능력으로서 조직성과에 결정적인 요소이자 조직성과의 개선에 핵심 역할을 한다[2-4]. 이에 따라 공공보건의료에서 조직역량은 다른 공공영역에서보다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 및 이용률로 이어져 공공보건의료의 목표인 형평성 제고에 방향성을 제시해 준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ajat A, Cilenti D, Harrison LM, MacDonald PD, Pavletic D, Mays GP, Baker EL. What predicts local public health agency performance improvement? A pilot study in North Carolina. J Public Health Manag Pract 2009;15(2):E22-E33 

  2. Anderson D, Raine KD, Plotnikoff RC, Cook K, Barrett L, Smith C. Baseline assessment of organizational capacity for health promotion within regional health authorities in Alberta, Canada. Promot Educ 2008;15(2):6-14 

  3. Bagley P, Lin V. The development and pilot testing of a rapid assessment tool to improve local public health system capacity in Australia. BMC Public Health [Internet]. 2009;[Cited 2016 Feb 10]. Available from: http://bmcpublichealth.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1471-2458-9-413. 

  4. Meyer AM, Davis M, Mays GP. Defining organizational capacity for public health services and systems research. J Public Health Manag Pract 2012;18(6):535-544 

  5. Cohen BE, Schultz A, McGibbon E, VanderPlaat M, Bassett R, GermAnn K, Beanlands H, Fuga LA. A conceptual framework of organizational capacity for public health equity action. Can J Public Health 2013;104(3):e262-e266 

  6. Schenck AP, Meyer AM, Kuo TM, Cilenti D. Building the evidence for decision-ma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public health capacity and community mortality. Am J Public Health 2015;Suppl2:S211-216 

  7.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nd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Local Public Health System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Cited 2016 Jan 15]; p.57-61.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nphpsp/documents/local/local.bookleta.pdf. 

  8. Erwin PC, Greene SB, Mays GP, Ricketts TC, Davis MV. The association of changes in local health department resources with changes in state-level health outcomes. Am J Public Health 2011;101(4):609-615 

  9. Mays GP, Smith SA. Evidence links increases in public health spending to declines in preventable deaths. Health Affairs [Internet]. 2011;309(8): 1585-1593 [Cited 2016 Feb 28]. Available from: http://content.healthaffairs.org/content/early/2011/07/19/hlthaff.2011.0196.full. 

  10. Jung M, Cho BH. The measurement of individuallevel and community-level community capacity and their association with self-rated health status: a comparison of D-gu and Y-gu in Seoul.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12;29(1):39-57 (Korean) 

  11. Jang MW, Kim CY, Lee HK, Park SH, Na BJ. The effect of community health planning on public health centers' organizational performance. Korean J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2012;22(2):225-248 (Korean) 

  12. Kim CM. Duties of nurse practitioners in the community and management of primary health care pos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2009;4(1):41-50 (Korean) 

  13. Han GS. Utilization and factors associated in public health cent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J Dent Hyg Sci 2015;15(6):728-735 (Korean) 

  14. Chang DM, Yang JH. An efficiency evaluation of Gyeongnam public health center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12(8):3563-3571 (Korean) 

  15. Cho CM, Kim KS, Kim MH. Health Problems and work impairment in nurses working at community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09;23(1):69-77 (Korean) 

  16. June KJ, Kim HG, Kim SY, So AY, Sohn SY, Park E. Analysis of working time of nurses in urban public health center branches in South Korea.: focused on nurses for visiting health service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8;19(4):649-659 (Korean) 

  17. Cha BJ, Park JY. Factors related to the output of health centers. Korean J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1996;6(1):29-58 (Korean) 

  18. Lee SJ, Na BJ. Factors Related to the Medical Service Performance of Rural Health Sub-centers. J Agric Med Commun Health 2010;35(4):350-360 (Korean) 

  19. Kim HS, Park YH. Related factors on health servic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health center clients-using '2010 Community Health Surve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3;7(3):95-109 (Korean) 

  20. Park JS. The causal relationship of health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intention to revisit and intention to recommend perceived by health center visitors. Korean J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2005;15(3):60-78 (Korean) 

  21. Kim MR, Kim KH, Kwak YH, Kim YJ. The need for satisfaction with, and availability of local healthcare services for elderly individuals receiving home-care service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15;26(1):5-18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