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보건의료복지 서비스제공자와 지역주민의 커뮤니티케어에 대한 인식
Community care perceived by medical welfare service providers and residents dwelling in the communit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6, 2020년, pp.200 - 208  

손미선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김형수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조종희 (서울특별시 북부병원 의료복지통합지원센터) ,  고영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  김미예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보건의료복지 서비스제공자와 정책대상자인 지역주민의 커뮤니티케어에 대한 인식을 파악 및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J구의 보건의료복지 서비스제공자 68명과 지역주민 95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2월에 이루어졌으며,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서비스제공자가 지역주민에 비해 커뮤니티케어 정책의 필요성, 방문의료, 방문간호, 방문간병에 대한 동의 정도가 높았다. 돌봄이 필요한 지역주민을 지역사회자원에 연계해 줄 수 있는 정도에 대해서는 서비스제공자가 지각하는 수준이 높았으나, 자립생활을 위한 지역주민 간 자조모임의 활성화 정도는 지역주민이 높게 나타났다. 커뮤니티케어에 소요되는 비용을 위한 건강보험에 일정 보험료를 추가 방식에 대한 동의 정도는 지역주민에서 낮게 나타났다. 두 군 모두에서 커뮤니티케어 정책 실행을 위해 재원 마련과 지역공동체 돌봄 문화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므로 커뮤니티케어 정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정책대상자인 지역주민의 인지 수준을 높이고, 정책현황과 정책대상자의 견해 차이를 줄이기 위한 활발한 교류를 통해 지역사회의 돌봄 문화를 정착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health, medical and welfare service providers' and local residents' perception on community care. The participants were 68 service providers and 95 local resi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The resul...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부는 지속적인 재활치료를 위해 재활의료기관을 지정 및 운영하여 회복기 환자를 대상으로 집중재활을 지원하고, 지역사회로 복귀한 이후에는 방문재활치료를 계속적으로 지원하여 장애를 최소화하고 일상으로의 조기 복귀를 이루고자 커뮤니티케어를 추진 중이다[5]. 또한 민간의 보건의료기관 및 사회복지기관 등을 통해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보건소 등의 공공기관을 활용 및 연계하여 공공성을 강화하고자 한다[5]. 시설에서 지역사회로의 복귀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공간에 사는 사람들을 위한 지원서비스가 확보되어야 하며, 취약한 사람들을 위해 지역사회가 긍정적 상호작용의 공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12].
  • 이 연구는 보건의료복지 서비스제공자와 정책대상자인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커뮤니티케어에 대한 인식을 파악 및 비교하여 커뮤니티케어 관련 정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보건의료복지 서비스제공자와 정책대상자인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커뮤니티케어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한 단면적 기술연구이다.
  • 고령화에 따른 돌봄 수요 증가 및 의료비 증가로 인한 사회보장제도의 지속가능성 저하, 불충분한 재가서비스로 인한 사회적 입원 등의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정부는 커뮤니티케어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커뮤니티케어 정책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보건의료복지 서비스제공자 및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현재 추진 중인 커뮤니티케어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커뮤니티케어에 관해 서비스제공자와 지역주민의 인식 정도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뮤니티케어 정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 두 군 모두에서 커뮤니티케어 정책 실행을 위해 재원 마련과 지역공동체 돌봄 문화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므로 커뮤니티케어 정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정책대상자인 지역주민의 인지 수준을 높이고, 정책현황과 정책대상자의 견해 차이를 줄이기 위한 활발한 교류를 통해 지역사회의 돌봄 문화를 정착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정부에서 '지역사회 중심 복지구현을 위한 커뮤니티 케어 추진방향'을 발표한 배경은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도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의 가속화로 인해 돌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5], 만성질환, 정신적 건강문제, 사회 양극화 등으로 인해 복합적인 돌봄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6, 7]. 그러나 보건의료서비스와 복지서비스의 제공이 중복되거나 필요한 서비스가 적시에 제공되지 못하는 등 분절적인 서비스로 인해 대상자들의 복합적인 욕구를 적절하게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8]. 또한, 불충분한 재가 서비스로 인한 사회적 입원과 가족의 돌봄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였으며, 의료비 증가 등 사회보장제도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9].
커뮤니티케어란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들의 심각성이 국가적 문제로 주목받으면서 정부는 ‘지역사회 중심 복지구현을 위한 커뮤니티 케어 추진방향’을 발표하였으며[9], 커뮤니티케어를 ‘지역사회 통합 돌봄’이라 칭하면서, 돌봄이 필요한 주민들이 자기 집이나 그룹홈 등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복지급여와 서비스를 누리고 지역사회와 함께 어울려 살아가며 자아실현과 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서비스 체계라고 정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 Vasunilashorn, B. A. Steinman, P. S. Liebig, & J. Pynoos. (2012). Aging in place: Evolution of a research topic whose time has come. Journal of Aging Research, 2012, 1-6. DOI : 10.1155/2012/120952 

  2. Y. H. Chon. (2012).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care management system in the UK.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7, 1-24. 

  3. E. J. Kim. (2014). The public finance provision and quality management system on "home and community based social services" in the US: Implications on Korean social policy.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8(3), 335-354. 

  4. S. W. Oh. (2015). The present conditions and tasks of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for the construction of integrated community care systems in Japan : A focus on institutionalized, local community-based, and housing support services. The Journal of Long Term Care, 3(1), 58-90.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Basic plan for integrated community care (plan). Sejong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6. G. Y. Choi. (2018). The role of nurses and the paradigm shift of nursing education : Focused on community care.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Resarch, 2(4), 73-82. 

  7. H. J. Kim. (2015). A study on a policy collaboration of health care and welfare sectors in community welfare service delivery scheme.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54(3), 95-130. DOI : 10.15300/jcw.2015.54.3.95 

  8. Y. S. Shin et al. (2017).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Seoul : Seoul National University.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Community care promotion for community-based welfare implementation. Sejong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0. Y. Y. Kim & H. Y. Yoon. (2018). Case study of community care : Poilcy implications from Japan and UK. Journal of Critical Social Welfare, 60, 135-168. 

  11. K. N. Park. (2011). Policy for elderly care and the role of voluntary organizations in UK. Korea Social Policy Review, 18(1), 121-145. DOI : 10.17000/kspr.18.1.201103.121 

  12. Y. D. Kim. (2018). Deinstitutionalization and building community-based personal social services: Community care that connects independence and interdependenc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8(3), 492-520. DOI : 10.15709/hswr.2018.38.3.492 

  13. K. H. Roh. (2013).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regional comprehensive care system in elderly welfare administration -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revision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act of Japan in June 2011 -. Law Review, 54(4), 229-259. 

  14. Y D. Kim. (2005). Issues on user participation in Korean disability services : Implications from UK community car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7(3), 363-387.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The first public health care basic plan(2016-2020). Sejong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6. K. S. Lee. (2018). Health care perspectives on community car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 61(10), 586-589. DOI : 10.5124/jkma.2018.61.10.586 

  17. H. S. Ryu & K. Arita. (2015). Policy implications for home-visit nursing(HVN) of the Korean long term care insurance through the implications of the Japanese HV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3), 403-411. DOI : 10.5932/jkphn.2015.29.3.403 

  18. S. B. Kang & H. S. Kim.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visit nursing service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among nursing service recommended beneficiaries of the public long-term care insurance.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4(3), 283-290. DOI : 10.4332/kjhpa.2014.24.3.283 

  19. Y. I. Kim. (2018). Major statistics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n the first half of 2018. Wonju :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 Y. K. Lee et al. (2017).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second long-term care plan.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1. S. Y. Kim, C. O. Oh, K. J. Moon, & J. C. Ryu. (2014). Analysis of the community building system.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49(2), 337-381. DOI : 10.15300/jcw.2014.49.2.3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