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ermann Funnel법의 선충 분리 여과지 선발
Screening of Tissue Papers for Nematode Extraction for the Baermann Funnel Method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5 no.4, 2016년, pp.377 - 381  

강헌일 (부산대학교 식물생명과학과) ,  은근 (부산대학교 식물생명과학과) ,  하지혜 (부산대학교 식물생명과학과) ,  이재현 (부산대학교 식물생명과학과) ,  김동근 (부산대학교 생명산업융합연구원 선충연구센터) ,  김용철 (부산대학교 식물생명과학과) ,  최인수 (부산대학교 식물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ermann funnel법을 이용하여 비교적 선명한 선충 분리를 위해서는 Kimwipes 4매 정도를 여과지로 사용하여야 한다. 더욱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선충 분리용 여과지를 찾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15개의 제품을 Kimwipes와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선충 분리 효율 검정에는 Heterodera sp.의 유충, Meloidogyne sp.의 유충, Pratylenchus sp., Rhabditis sp., Acrobeloides sp., Panagrolaimus sp., Poikilolaimus sp. 그리고 Diplogasterida 등 8속의 선충을 이용하였다. 전체 선충 분리 효율은 42.0 - 88.8%로 나타났다. 1회 비용, 선충 분리 효율 그리고 선명도를 고려하였을 때, 선명도는 A이고 분리 효율은 69.4%로 Kimwipes 4장과 비슷하며(P=0.05), 비용은 50% 저렴한 국내 업체 모나리자 사의 Pulling Kitchen Towel 1매 사용이 가장 적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aermann funnel method requires approximately four Kimwipe tissues for research a nematode count under a stereo microscope. To select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nematode extraction paper for nematode extraction, 15 different kinds of tissue papers were tested and compared with Kimwipe tissu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국내 연구로서는 1985년 Cho와 Choi는 Crown Hankie 4매를 Baermann funnel 여과지로 선발하였으나 Crown Hankie는 30년 전 제품으로 더 이상 구입이 불가능하다(Cho and Choi, 198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화장지류 중에서 Kimwipes에 비하여 선충 분리 효율이 비슷하거나 높으면서 이용성 및 경제적으로 가장 적합한 선충 분리용 여과지를 구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 내 선충 상을 분석하면 토양 생태계를 이해할 수 있는 이유는? , 2012). 토양 중에는 약 75만 마리/m2의 선충이 서식하고 있는데(Park et al., 1999), 선충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무기태 질소를 공급함으로서 토양생태계의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Yeates, 1979; McSorley, 2004). 따라서 특정 지역의 토양 내 선충 상을 분석한다면 토양 생태계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이해도 가능할 것이다(de Ruiter et al.
선충은 어디에 속하는가? 동물계 선형동물문에 속하는 선충은 약 20,000여종이 기록 되어 있으며, 식이습성이 식세균성(bacteriovorous), 식균성(fungivorous), 잡식성(omnivorous), 포식성(predatory), 식물 기생성(plant parasitic), 동물기생성(animal parasitic) 등으로 다양하며 아울러 크기와 움직임도 서로 다르다(Yeates, 1993; Kim et al., 2012).
선충을 식이습성에 따라 분류하면? 동물계 선형동물문에 속하는 선충은 약 20,000여종이 기록 되어 있으며, 식이습성이 식세균성(bacteriovorous), 식균성(fungivorous), 잡식성(omnivorous), 포식성(predatory), 식물 기생성(plant parasitic), 동물기생성(animal parasitic) 등으로 다양하며 아울러 크기와 움직임도 서로 다르다(Yeates, 1993; Kim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youb, S.M., 1977. Plant Nematology: An agricultural training aid. Sacramento: State of California, Dept. Food and Agriculture. 

  2. Cho, M.R., Choi, Y.E., 1985. Selection of tissue papers for nematode extraction from soil in combined screening-funnel method. Korean J. Plant Prot. 24, 39-44. 

  3. de Ruiter, P.C., Neutel, A.M., Moore, J.C., 2005. The balance between productivity and food web structure in soil ecosystems, in: Bardgett, R.D., Usher, M.B., Hopkins, D.W. (Eds.), Biological Diversity and Function in Soil.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England, pp. 139-153. 

  4. Hallmann, J., Viaene, N., 2013. Nematode extraction. Bull. OEPP. 43, 471-495. 

  5. Kim, D.G., Park, B.Y., Ryu, Y.H., 2012. Soil nematode fauna in Dokdo island of Korea. Res. Plant Dis. 18, 381-386. 

  6. McSorley, R., 2004. Soil-Inhabiting Nematodes. The University of Florida. http://entnemdept.ufl.edu/creatures/nematode/soil_nematode.htm. 

  7. Park, H.C., Kim, S.M., Kim, Y.C., Lee, C.Y., Choi, I.S., 1999. Occurrence of nematodes in carrot fields. J. Agri. Tech. & Dev. Inst. 3, 31-34. 

  8. SAS. 2014. SAS/STAT Software for PC. Release 9.4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9. Southey, J.F., 1986. Laboratory methods for work with plant and soil nematodes.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London, UK, pp. 202. 

  10. Whitehead A.G., Hemming, J.R., 1965. A comparison of some quantitative methods of extracting small vermiform nematodes from soil. Ann. Appl. Biol. 55, 25-38. 

  11. Yeates, G.W., 1979. Soil nematodes in terrestrial ecosystems. J. Nematol. 11, 213-229. 

  12. Yeates, G.W., Bongers, T., De Goede, R.G., Freckman, D.W., Georgieva, S.S., 1993. Feeding habits in soil nematode families and genera-an outline for soil ecologists. J. Nematol. 25, 315-331. 

  13. Yeates, G.W., Bongers, T., 1999. Nematode diversity in agroecosystems. Agr. Ecosyst. Environ. 74, 133-1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