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활엽수 분재의 선충 조사
Survey of Nematodes in Decideous Bonsai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7 no.4, 2018년, pp.303 - 315  

최진영 ((주)농경) ,  정영학 ((주)에스엠바이오) ,  이동운 (경북대학교 생태환경관광학부) ,  추호렬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박정규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초록

분재는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임산물이다. 외국으로의 분재수출 요구도는 증가하고 있지만 수출을 위해서는 검역적 위해 요소가 제거 되어야 하는데 식물기생선충도 검역의 중요 대상이다. 우리나라 6개 분재원에서 활엽수 분재[단풍나무(Acer palmatum), 백일홍(Zinnia elegans), 쥐똥나무(Ligustrum obtusiflium), 소사나무(Carpinus turcaninowii), 애기사과(Malus sieboldii)]를 대상으로 발생하는 선충을 조사하였다. 세 종의 식물기생선충[미국검선충(Xiphinema americanum), 둥근꼬리붙이나선선충(Rotylenchus blothrotylus), 한국껍질선충(Hemicycliophora koreana)]과 세 종의 비기생 선충 [등화육각창선충(Aporclaimellus donghwaens), 둥근꼬리붙이나선선충(Egtitus andhricus), 계룡중간창선충(Mesodorylaimus usitatus)]들이 분재로부터 분리되었다. 비기생선충인 계룡중간창선충은 모든 조사 수종에서 검출되었고, 미국 과 EU연합 검역대상 선충으로는 한국껍질선충과 미국검선충의 두 종만 발견되었다. 등화육각창선충과 계룡중간창선충은 분재목 뿌리에서 분리되었고, 나머지 선충들은 토양에서 분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onsai is part of export forest products in Korea. Demand for bonsai exports to other countries is growing but the need for quarantine hazards must be eliminated in other to export. Plant parasitic nematode is also an important factor in quarantine. The nematodes were surveyed from bonsai farms in 6...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2b). 본 연구는 활엽수 분재소재를 대상으로 식물기생선충의 종류를 조사하여 분재 수출의 검역적 위험요소를 평가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분재 재배 역사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분재 재배 역사는 중국 정원의 조경 영향을 받아 백제의 진사왕(390년)과 문주왕(475년)이 연못을 이용하여 조경을 했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을 정도로 역사가 깊은데 오늘날에도 취미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고 있다(KFRI, 2009).
국내 분재 산업의 수출 경쟁력 향상의 장애 요인은 무엇인가? , 2016). 그러나 수출 잠재력이 큰데 비하여 산업화 기반이 약하여 수출 증가에 애로 사항이 많은데 장애요인 중의 하나가 식물기생선충이다.
분재는 수종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분재는 수종에 따라 소나무류와 향나무류 계통의 침엽수 분재와 낙엽활엽수인 잡목류 분재로 나눌 수 있다(KFRI, 2009). 또한 임산물 생산 측면에서 분재는 생산과정에서 분재목의 소재를 생산하는 분재소재와 소재목을 이용하여 완성된 분재를 생산하는 분재완재로 구분 할 수 있는데 분재소재의 생산량은 378,306본, 생산액은 112억여 원에 달하고, 분재완재의 생산량은 200,660본, 생산액은 100억여 원에 달한다(Forest Service,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i, J.Y., Jung, Y.H., Lee, D.W., Choo, H.Y., Park, C.G., 2017. Chemical control of plant-parasitic nematodes in export bonsai. Korean J. Pestic. Sci. 21, 261-268. 

  2. Choi, Y.E., 1996. Nematode in Korea. Ililsa, Daegu, Korea. 

  3. Choi, Y.E., 2001. Economic insect pests of Korea 20. Tylenchida, Aphelenchida (Nematoda). Insecta Koreana Suppl. 27.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4. Choi, Y.E., 2011. Invertebrate fauna of Korea. Nematoda: Enoplea: Dorylaimida, Mononchida. Soil and freshwater nematodes. 13(1).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5. Choi, Y.E., Cho, M.R., Moon, Y.S., 1992a. Nematodes associated with forest trees in Korea I. Studies on nematodes associated with saplings. Korean J. Appl. Entomol. 31, 50-68. 

  6. Choi, Y.E., Choo, H.Y., Kim, Y.J., Moon, Y.S., Baek, H.S., 1992b. Nematodes associated with forest trees in Korea IV. Distribution and species of nematodes associated with forest trees. Korean J. Appl. Entomol. 31, 427-451. 

  7. Choi, Y.E., Na, Y.J., 1994. Plant nematology. Hyeongmunsa, Seoul, Korea. 

  8. Eun, G., Ko, Y., Kang, H., Ha, J., Chun, J., Kim, D., Choi, I., 2016. Survey of nematodes in coniferous bonsai in Korea. Res. Plant Dis. 22, 243-248. 

  9. Forest Service, 2016. 2015 survey of forestry product.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10.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FRI), 2009. Development of management technique and culture method of Bonsi.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11. Moon, I. S., 1995. Distribution of nematodes associated with forest trees and control of pine wood nematode, Bursaphenchus xylophilus in Korea. Ph.D. Diss., Kyungpook National Univ., Daegu, Korea. 

  12. Q-bank, 2017. European quarantine nematodes. http://www.q-bank.eu/Nematodes/DefaultInfo.aspx?PageInfoQuarantine. Accessed 22 July 2017. 

  13.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2017. A list of exotic nematode plant pests of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significance to the United States. http://nematode.unl.edu/pesttables.htm. Accessed 22 July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