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규모 빗물처리시설 개발 및 현장 적용성 평가 연구
Development of Domestic Rainwater Treatment System and its Application in the Field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8 no.1, 2016년, pp.24 - 31  

박기정 (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  박민승 (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  김환석 (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  임윤수 (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  김성표 (고려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면 증가로 인한 자연적 물순환 시스템 왜곡 현상과 더불어 불투수면에 축적된 다양한 오염물질은 강우 시 유역 및 하천으로 유입되어 다양한 오염을 일으킨다. 특히 대부분의 강우가 여름철에 집중되는 국내 계절적 특성은 집중호우에 따른 비점오염물질의 수계 과대 유입에 대한 우려를 높이고 있어,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재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빗물처리 및 재이용 시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강우시 지붕 유출수의 오염특성을 파악하고, 강우 초기 고농도 빗물 유출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소규모의 빗물정원 포함 형태의 빗물처리시설을 구성하였으며, 처리시설에 포함된 빗물정원에서의 오염물질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실험실 규모의 인공강우를 이용한 다양한 여재 구성 오염물질(TN, TP, CODcr) 제거율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제거효율이 가장 높은 피트머스(Peatmoss)와 자갈, 모래를 구성된 빗물정원을 시범유역에 설치하여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측정하였다. 2015년 6월 ~ 7월까지 4회의 실제 강우에 대한 강우사상별 시간별, 강우사상별, 농도별 오염물질 제거율을 분석 한 결과 강우강도가 높거나 강우량이 커질수록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빗물처리시설 내 빗물정원으로 유입되었으며, 분석 결과 오염물질의 제거율은 저농도 일 때 보다 고농도 일 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의 빗물처리시설을 설치하기 어려운 도심지에서, 위와 같은 소규모 시설을 효과적으로 활용 한다면, 도시 유역에서 강우시 발생하는 초기세척효과에 의한 비점오염 형태의 오염물질 유입을 차단해 오염물질 부하를 저감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나아가 도서 지역내 용수공급을 위한 소규모 재이용 시설로도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crease of impervious area in cities caused the unbalanced water cycle system and the accumulated various contaminants, which make troubles as introducing into watershed. In Korea, most of rainfall in a year precipitate in a summer season. This indicate that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빗물 처리시설의 개발 및 현장 적용성 평가를 위해, 강우시 지붕 유출수의 성상을 파악하고, 빗물 유출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빗물정원을 포함하는 형태의 빗물처리시설을 구성하였으며, 처리시설에 포함된 빗물정원에서의 오염물질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인공강우를 이용한 다양한 여재 구성에 따른 유기물(TN, TP, CODcr) 제거에 대한 실험실 규모의 실험과 현장에서의 실제 강우시 적용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오염된 초기 강우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해 오염물질 제거가 가능한 빗물정원이 포함되어 있는 소규모 적정 처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시범유역 내에 설치하였다. 설치 대상 유역 지붕 유출수와 직접 빗물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2013년 8월 1일 ∼ 8월 31일까지 총 4회의 강우 시 지붕유출수와 빗물을 직접 채수하여 시간별 성상 변화를 파악하고 비교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우시 지붕을 통해 유출되는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있는 소규모 적정 처리 시설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지붕 유출수의 성상을 파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소규모 빗물정원을 포함하는 빗물처리 시설을 구성하였다.
  • 이 건물은 2008년에 완공이 되었으며, 빗물 집수 면적이 197m2이고 건물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배수구를 통해 옥상의 빗물을 배출하는 형태이다. 본 연구팀은 강우시 연구 대상지역에서 배수구를 통해 나오는 빗물을 이용하여 처리시설 내 빗물의 오염물질 제거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화로 인한 유역의 불투수면 증가가 끼치는 영향은? 도시화로 인한 유역의 불투수면 증가는 자연적 물순환시스템의 왜곡 뿐 만 아니라 입자상 물질, 중금속류, 각종 유해화학 물질 등 다량의 비점오염물질을 불투수면에 축적시킨다. 이는 강우 초기에 집중적인 오염물질의 하천 유입을 발생시켜 인근 수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초래한다.
오대호 유입 오염의 최대 원인은 무엇인가? 이는 강우 초기에 집중적인 오염물질의 하천 유입을 발생시켜 인근 수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초래한다. 미국의 경우, 오대호 유입 오염의 약 76%가 비점오염원의 형태로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alane, 2010). 국내 환경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강 수계 내 비점오염원에 기인한 오염부하량은 66.
불투수면 증가가 인근 수생태계에 무엇이 초래하는가? 도시화로 인한 유역의 불투수면 증가는 자연적 물순환시스템의 왜곡 뿐 만 아니라 입자상 물질, 중금속류, 각종 유해화학 물질 등 다량의 비점오염물질을 불투수면에 축적시킨다. 이는 강우 초기에 집중적인 오염물질의 하천 유입을 발생시켜 인근 수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초래한다. 미국의 경우, 오대호 유입 오염의 약 76%가 비점오염원의 형태로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alan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min, MT and Han, MY (2009). Roof-harvested rainwater for portable purposes: application of solar collector disinfection, J. of Water Research, 43(20), pp. 5225-5235. 

  2. Cho, YC, Kim, SP, Park, HS, Komarneni, S, Hong, YS (2014). Removal of inorganic pollutants in rainwater by a peat-derived porous material, J. of Porous Materials, 21(4), pp. 387-394. 

  3. Choi, JY, Kim, SS, Lee, SY, Nam, GS, Cho, HJ, Kim, LH. (2013) Development hybrid filter system for applicable on various rainfall, J. of Wetlands Research, 15(4), pp. 535-541. [Korean Literature] 

  4. Chun, MH, Son, HJ, Kim, C (2007). A study on the isolation of the oil-degradation microbes and treatment efficiency in the oil contaminated soil with peat moss, Korean J.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33(5), pp. 462-469. [Korean Literature] 

  5. Gromaire, MC, Garnaud, S, Saad, M, Chebbo, G (2001). Contribution of different sources to the pollution of wet weather flows in combined sewers, J. of Water Research, 35(2), pp. 521-533. 

  6. Hong, JS, Geronimo, FK, Mercado, JM, Kim, LH (2013). Characteristics of EMCs for roof runoff, J. of Wetlands Research, 14(4), pp. 657-665. [Korean Literature] 

  7. Jeong, CS (2006). Statistical data of korea water resource managements, J.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54(7), pp.130-138. [Korean Literature] 

  8. Kang, SK, Jong, SP, Hyeon, SH, Kyoung, HR (2012).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runoff in housing and industrial area during rainfall, J. of Wetlands Research, 14(4), pp. 581-589. [Korean Literature] 

  9. Kim, CK (2011). A study on the rainwater quality monitoring and the improvement, collection and storage system, J. of Clean Technology, 17(4), pp.353-362. [Korean Literature] 

  10. Kim, DC, Oh, JS, Kim, LH, Min KS, Kim, SP (2012). The fate of pollutants in effluent of roof-harvested rainwater as a function of time, Korean Water Congress 2012,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 water,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Ilsan, Korea, pp. 492-493. [Korean Literature] 

  11. Kim, SP, Kim, DC, Oh, JS, Kim, LH, Min, KS (2011). The basic study for the roof-harvested rain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s a function of rainfall furation, J. of Korean Wetlands Society, 14(1), pp.11-20. [Korean Literature] 

  12. Lee, KH, Kim, JS, Yu, HC, Choi, SW, Yoon, CJ, Woo, SH, Park, SC (2001). Removal of heavy metal from wastewater by peat moss, J. of DEPRI 24(1), 2001, pp.29-37. [Korean Literature] 

  13. Lee, ME, Lee, SJ, Chung, JW, Lee, CY (2013). Removal of heavy metals by carbonized peat moss, J.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Conference, pp. 66-68. [Korean Literature] 

  14. Lefevre, GH, Hozalski, RM, Novak PJ (2012). The role of biodegradation in limiting the accumul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s in raingarden soils, J. of Water Research, 46(20), pp. 6753-6762. 

  15. Lye, DJ (2009). Rooftop runoff as a source of contamination: a review, J. of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7(21), pp. 5429-5434. 

  16. Ministry of Environment (MEV). (2012). 2nd Nonpoint Source Management Program,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 K-water (MOLIT). (2011). Water for the Futur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 K-water. [Korean Literature] 

  18. Mun, JS, Jang, JY, Han, MY (2006). The effects of catchment and retention time in a storage tank on rainwater quality in a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y, Korean Water Congress 2006,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 water,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Deagu, Korea, pp.1093-1100. [Korean Literature] 

  19. Muthanna, TM, Viklander, M, Thorolfsson, ST (2007). Seasonal climatic effects on the hydrology of a rain garden, J. of Hydrological Processes, 21(11), pp. 1640-1649. 

  20. Pak, GJ, Pak, HS, Cho, YC, Kim, SP (2015). The removal of nutrients and heavy metals using household rain garden, J. of Wetlands Research, 17(1), pp. 38-44. [Korean Literature] 

  21. Park, HS, Kim, SP (2014). The study for the long-term rainwater storage quality effect after chlorination, J. of Korean Wetlands Society, 16(1), pp. 33-39. [Korean Literature] 

  22. Park, KS, Niu, SP, Kim, YC (2013). Reduction efficiency of the stormwater wetland from animal feeding-lot, J. of Wetlands Research, 15(1), pp. 79-90. [Korean Literature] 

  23. Reyes, JMM, Chuken UJL, Gonzalez AV, Olvera HAL (2013). Removal of chromium and lead by a sulfate-reducing consortium using peat moss as carbon source, J. of Bioresource Technology. 144, pp. 128-134. 

  24. Simmons, G, Hope, V, Lewis, G, Whitmore, J, Gao, W (2001). Contamination of potable roof-collection rainwater in Auckland, New Zealand, J. of Water Research, 35(6), pp. 1518-1524. 

  25. Talane Great Lakes Law (2010). http://www.greatlakeslaw.org/blog/2010/08/addressing-urban-and-agricultural-runoff-pollution-in-the-great-lakes-water-quality-agreement.html 

  26. Yang, H, Florence, DC, McCoy EL, Dick WA, Grewal PS (2009). Design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a field-scale bi-phasic bioretention rain garden system for storm water management, J. of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59(9), pp. 1863-18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