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무장지대(DMZ) 인근의 훼손지 유형 분석 및 복원방향
Analysis on the Type of Damaged Land in DeMilitarized Zone(DMZ) Area and Restoration Direction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9 no.1, 2016년, pp.185 - 193  

성현찬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김수련 (단국대학교 대학원) ,  강다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서정영 ((주)디앤씨엔지니어링) ,  이상미 (충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damaged lands according to the cause of the damage and their influences based on characteristic of the damaged lands in DeMilitarized Zone(DMZ) area, and utilize this study as a fundamental study for establishment of ecosystem restoration system. Literature rev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DMZ 일원의 훼손지 유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훼손 원인은 다양할 수 있으나 원인에 따라 나타나는 대표되는 훼손지 유형을 원지형 변형, 표층부 유실, 토양오염, 토양이화학성 변화, 식생쇠퇴, 종의 침입 등으로 도출하였다.
  • 이와 같이 비무장지대(DMZ) 일원의 자연환경 현황, 보전 또는 개발 방향, 개발사업, 이용에 대한 많은 조사·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훼손지를 생태적으로 복원하기 위한 연구는 산림생태계, 습지생태계 등 일부 생태계 유형별로 진행되어 있고 훼손지 전반의 유형별, 체계별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비무장 지대 인근의 훼손지 특성을 바탕으로 훼손 원인과 영향을 기준으로 비무장지대 인근에서 발생되는 대표적인 훼손지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복원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조사에서는 문헌에서 도출된 대표적인 훼손 유형별로 원인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훼손 원인과 영향, 특징, 주변 식생구조 및 생물종, 위협요인, 주변 토지이용 등을 중심으로 야장을 구성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무장지대란 무엇인가?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는 휴전협정에서 남북 군대의 접촉선을 군사분계선으로 명확히 구분하고 이 선으로부터 남북으로 각각 2km씩 4km의 폭을 갖도록 하여 남북간 무력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지역이다(In, C. K.
비무장 지대 일원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2013).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된 비무장 지대 일원은 민간인의 출입이 50년 이상 통제되어 생태계가 우수하고 역사 및 자연유산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커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반면 계속해서 비무장지대 일원의 다양한 생태·관광자원의 활용을 위한 각종 개발계획이 발표되며 생태계 훼손 및 난개발이 우려되는 실정이다(ME, 2011).
도면분석을 통해 밝혀진 서부의 훼손지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가? 38%)씩 발생되었다. 가장 다수의 넓은 훼손지를 보이는 서부는 경작지, 개발사업지, 주민거주지, 소규모 개발 등 인위적 요인에 훼손되었는데, 이는 평지가 많은 지형적 특성에 따른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산악지형인 동부는 산사태 등 자연재해에 의한 훼손이 집중되고 있었고, 중부는 다수 분포하는 민통선마을이 주된 훼손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Jeon C. 2007. The Analysis of how much people recognize the DMZ sightseeing resources and what we can do about it. Master's thesis. Sejong Univ. 

  2. Jeon SW et al. 2003. An Environment Conservation Master Plan for the Korea DMZ A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3. Jeon SW et al. 2007. A Study on the Setting for the National Ecological Network. 

  4. Jeon SW et al. 2009. A study on establishing the basic plan for DMZ ecological-peace park. Korea Environment Institute. 

  5. Kim CH. 2004. (A) Study on The Tour Development for the Military Security Resources in DMZ. Master's thesis. Kyunggi Univ. 

  6. Kim CH. 2010. Study of vegetation of civilian control line.DMZ area.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 13, no. 6, pp. 63-74. 

  7. Kim DY.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DMZ Tourism Merchandising which Use Storytelling, The Korean Society of Business Venturing. vol. 10, no. 1, pp. 83-93. 

  8. Kim JW. 2013. Korea Plant Ecology Handbook. 

  9. Kwon IC. 2013. A Study on the systematic management measure of natural resources in the Demilitarizes Zone in Gyeonggi-do. 

  10. Lee JC. 2001. A Study on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of DMZ i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Public Policy. vol. 10, pp. 135-158. 

  11. ME. 2011. A Study on the Conservation of Surface Soil and Eroison Control. pp. 6-8. 

  12. Na HS et al. 2015.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 of Damaged Forest Areas by Image Interpretation -Focused on DMZ region in Hwacheon and Cheorwon- The Association Of Korean Photo-Geographers. vol. 25, no. 3. 

  13. O YJ. 2010. A study on geotechnical investigation method for DMZ development. Master's thesis. Korea Univ. 

  14. Park EJ.Jeon SH.Nam MA and Hong SY. 2011. Ecosystem Destroying Factors and the Mitigation of Impacts in the Civilian Control Zone. Gyeonggi Research Institute. 

  15. Shim YS. 2000.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tourism resource in DMZ.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 

  16. Yoon H and Kim NY. 2014. The Plan for Realization of Korea's DMZ Global Peace Park in Park Geun-hye's Administration. Kyung Hee Institute for Human Society. vol. 29, no. 2, pp. 97-1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