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춘일곽(同春一郭)복원을 통한 동춘당공원 경관 재건 제안
A Proposition for Restructuring the Dongchundang Park's Landscape by Rehabilitating the Dongchun Enclosure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7 no.1, 2016년, pp.31 - 40  

김영주 (배재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1995 the land development was executed in Songchon-dong, Daejeon-si, and the region lost the strong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haracter as an old clan village of the Song family who has great influence over the country in the Josun Dynasty. Though many cultural assets related to the Song fami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송용억가옥의 보수정비에 앞서 건축적 가치와 역사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동춘당공원의 현황과는 상이한 송용억가옥과 동춘고택의 공간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동춘당공원이 지니고 있는 문화재적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훼손된 원형경관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현 도시조직 내에서 보존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는 단순히 물리적으로 하나의 건물군이 두 개의 가옥으로 나눴다는 데 그치지 않고, 과거 회덕지방에 중요한 가문의 한 종가가 이 지역에 거대하게 형성하였던 경관이 훼손되었음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 동춘당과 동춘고택, 송용억가옥을 하나로 아우르는 이 영역을 동춘일곽(同春一郭)이라고 지칭하고, 동춘일곽의 복원을 통한 동춘당공원의 장소성 회복을 제안한다. 공원조성 당시, 보상 문제나 문화재 보호에 따른 조치 등 여러 현실적인 문제에 의해 그동안 일곽의 조성이 쉽지는 않았을 것이다.
  • 이미 한 세대의 시간이 흘러 해당지역 거주자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 또한 급격히 줄어가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의 가치는 동춘당공원의 특정한 원형 경관을 조사하였다는 측면 이외에도 통상적인 원형경관 복원에 대한 연구가 지니고 있는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을 보여줬다는 데 있다. 본 연구에 의해 이와 같은 상황에 처한 도시환경에 대한 논의가 추후 활발해지길 기대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기존 원형경관에 관한 통상적인 연구 방법론을 참고하는 한편, 인문사회적인 자료의 추가와 거주자 인터뷰를 통해 미흡한 자료를 보완하였다. 객관적인 자료의 분석은 1) 지역의 일반적인 인문·지리적 특징을 조사하는 한편, 2) 택지개발 이전의 항공사진(1974년), 3) 구한말 토지이용상황과 소유관계·면적 등의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지적원도(회덕면 송촌리원도, 1/2,000, 1913년)와 택지개발 이전의 지적상황이 명시된 폐쇄지적도(1993년), 4) 지형도(대전군유성면, 1/50,000, 1919년) 5) 거주자 인터뷰 내용과 토지대장, 동춘당 일가에 관한 일부 문헌자료와 소대헌종가 족보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가설 설정

  • 1) 동춘당과 송용억가옥의 주진입동선은 ⓐ와 같이 분리되어있다. 중간에 가로지르는 길이 있으나 주로 지인들이나 가족구성원에 의해 이용되었고, 외부인들이 주로 사용했던 접근로는 ⓐ와 같이 독립적으로 사용되었다(송○진씨 인터뷰).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춘당이 위치한 곳은 어디이며, 특징은 무엇인가? 국가지정문화재인 동춘당(同春堂, 보물 제209호)과 더불어, 동춘당이 위치한 대전광역시 대덕구 송촌동(宋村洞)은조선 성리학 기호학파의 핵심세력인 은진송씨(恩津宋氏)의 씨족마을로서 17세기 이후의 대표적인 대전지역 문화경관중 하나로 꼽혔다. 하지만 1995년 시행된『송촌택지개발사업』은 송촌동 일대 약 1,000,000 m2에 이르는 경관을 짧은 시간에 완전히 뒤바꿔놓았다.
조선성리학 기호학파의 중심세력은 무엇인가? 조선 중기 이후 훈구파에 대항하며 새로운 사회지배세력으로 출현한 사림(士林)은 사회전반에 걸쳐 큰 영향력을 지닌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그 중 ‘호서사림파(湖西士林派)는 연산(連山, 現논산지역)과 회덕(懷德)지방에서 광산김씨(光山金氏)와 은진송씨(恩津宋氏)를 위시하여 조선성리학 기호학파의 중심세력으로 그 세를 떨쳤다. 퇴계(退溪)의 영남학파(嶺南學派)와는 달리 율곡(栗谷)의 지역적기반이 뚜렷치 않아 ‘비영남(非嶺南)’의 의미로 받아들여지던 ‘기호(畿湖)’라는 표현이 이들에 의해 연산과 회덕지방을 중심으로 그 지역적 정초를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호서사림파와 그 세거지인 회덕지방이 갖는 의미는 크다(Jeon, 2003).
대전군유성면 지도에 표현된 송촌리 일대에 '완공장'이라는 범례로 담장이 표현되었는데, 이것이 가지는 의의는 무엇인가? 50,000분의 1이라는 축척으로 대한민국 전국이 722매의 지형도로 제작됐던 지도에서 일개 주택의 담장이 표현됐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그만큼 이 지역 종가집으로 동춘고택의 입지가 높았다는 점과 단일영역을 지닌 건물군으로 동춘고택과 송용억가옥이 강하게 인식되었다는 점을 보여주는 좋은 증거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2). A Survey Report of Hoedeok Dongchundang. Daejeon: Author. 

  2. Daejeon Metropolitan City (1998). The Detailed Plan for the Songchon Land Development. Daejeon: Author. 

  3. Do, Y. S., & Han, D. S. (2003). A Study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Specialization of Joseon Confucianism in the 16th-18th C.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2), 601-604. 

  4. Han, J. S. (2007). A Study on the Change of Urban Structure and Historical Landscape Paradigm of Wonju, Kangwon Kamyoung, Center of Local Government in Kangwon Province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Ruling Period in Korea.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12), 179-188. 

  5. Heo, K. J. (2002). Backgrounds of Hoyeonjae Literature. Yeolsang Classics Studies, 16, 9-37. 

  6. Heo, K. J. (2003). Sodaehyeon and Hoyounjae's Life. Seoul: Bluehistory. 

  7. Jeon, J. H. (2002). A Study on Regionalization of the Lineage Group in Korea (I): Habitat Phase (14C-15C). Society of Korean History, 67, 131-170. 

  8. Jeon, J. H. (2003). Regionalization of the Lineage Group in Korea (II): Landscape Phase (16C-17C).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8(4), 575-590. 

  9. Jeon, J. H. (2005). Study on the Landscape Change and Placeness of a Commoners' Settlement in Modern Times of Korea.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17(3), 40-55. 

  10. Jeon, J. H. (2006). The Connotation of Landscape Approach in the Interpretation of Regional Cultures. Collection of Jungwon Cultural Writings, 10, 65-87. 

  11. Kim, D. S. (2007). A Study on Landscape Restoration of the Namhan-Sangsung Villag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6), 101-110. 

  12. Kim, K. H., & Kim, S. H. (2002). A Study on the Historical Landscape of Dongrae City-Wall in Busan.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7(4), 317-336. 

  13. Kim, Y. A. (2007). A Study on the Design Order of Scholars' Houses in Daejeon and Nonsan based on the Ga-Rea-Gyp-Ram (Family Courtesy Guid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5), 75-82. 

  14. Kwon, W. G. (2005). A Study on Construction and Spatial use of Dongchungotaek through the Garyegibram.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15. Lee, W. G. (1996). Field Report, Obliteration of Historic Cultural Environment in Taejon.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40(7), 54-59. 

  16. Lee, H. J. (2010). The Social Life and Tradition of Three Renowned Families of Hoseo Region. The Folk Culture of Chungcheongnam-do. Seoul: National Fork Museum. 

  17. Min, S. H., Kang, Y. E., Hong, S. H., Kim, S. B., & Lim, S. B. (2011). A Study on the preservation plan for prototype landscape in Namsa-Yedamcho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7(4), 13-24. 

  18. Ryu, Y. H., Kim, E. S., & Sung, B. H. (2010). Masterpieces from the Collections of the Eunjin Song's Family. Daejeon: Daejeon Prehistoric Museum. 

  19. Won, D. Y. (2008). The Meaning of the Jeolla Provincial Offices and the Guideline for its Rehabilitation. Korean Society for Local History and Culture, 9, 44-7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