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MC설계를 적용한 장수명주택 인필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Infill System for Long Life Housing Applied with MC Design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7 no.1, 2016년, pp.63 - 70  

왕우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임석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omestic apartment housing has been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new housing supply-driven policies for a long time. As a result, its design, material production,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remodeling process, rather than being systematically performed, were individually approached to cause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인필구성재와 완충재의 경우 별도의 소음 및 차음등의 성능과 관계가 있는 구성품으로 인필개발 시 성능기준 및 탈부착을 고려한 형태로 제품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시공방법의 개발도 필요함을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알 수 있었다.
  • 모듈정합의 목적은 구성재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구성재와 현장조립 · 시공단계에서 치수적으로 정합할 수 있도록 일정 모듈을 적용하여 건축 분야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장수명주택은 거주자의 라이프사이클에 맞추어 실내공간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 공동주택의 실내공간은 물을 사용하는 화장실 및 주방의 배관이 슬래브에 매설하는 타입으로 시공 시 한번 설치되면 변경이 어려웠다.
  • 장수명주택은 거주자의 라이프사이클에 의해 거주인원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거주자의 구성원에 맞추어 공간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거주자의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다양한 평면을 계획을 실시하였다. 기존 벽식아파트 및 장수명주택 사례를 검토한 결과 공간변화에 가장 큰 제한이 되는 요소는 물사용 공간으로 본 연구에서는 물 사용공간의 이동을 고려하여 공용설비 코어를 계획한 후 물사용 공간의 이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평면을 계획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간의 가변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중바닥과 이중천장 사이에 세대 내 벽체를 설치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중천장은 벽체와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규격화된 제품의 손상이 없는 높이로 천장달대를 조정하여 조립기준면에 맞춰야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세대내 벽체로 사용하는 압출성형 경량콘크리트 패널, ALC패널, Drywall 방식을 검토하였다. 장수명주택의 세대 내 벽체의 경우 거주자의 요구에 의해 공간의 가변이 용이해야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인필의 건식화 · 부품화, 배관 · 배선의 이동성 확보를 고려한 장수명주택의 설계기준을 제안하기 위하여 기술표준원에서는 건축 설계 시 적용할 수 있는 건축기준을 근거로 장수명 주택에 적용 가능한 건축 설계기준을 [Table 2]와 같이 분석하였다.
  • 장수명주택 인필 시스템은 거주자의 요구에 의해 이설 및 재설치가 용이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가능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장수명 주택의 인필 제품을 대상으로 인필 간 연계를 위한 방안을 모색 하였다.
  • 특히 장수명주택 인증제도 고시에 따라 건축물의 물리적 수명을 늘려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장수명주택의 인필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수명주택 보급 및 활성화를 위해 인필 간 연계 시 정합기준 및 계획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 장수명주택 인증기준에 의하면 가변성, 수리용이성 부분이 인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계획기준으로 장수명 주택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인증기준 특성을 반영한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장수명주택 인필계획 시 기준이 되는 가변성과 수리용이성 부분을 검토하였다. 특히 인필설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평가항목은 가변성 항목으로 가변성 항목의 평가기준은 설계 시 꼭 반영되야 하는 필수 항목 3종, 선택사항 6종으로 필수 항목과 선택항목의 합으로 등급기준을 선택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장수명주택의 가변성 평가항목을 근거로 한국산업표준의 건축기준에 맞게 장수명주택의 Proto-type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통해 장수명주택의 설계 시 특성을 검토하였다. 장수명 주택 설계 시에는 자재의 규격이 되는 구성재 기준과 설계 및 시공상에서 공간에 설정되는 조립기준면을 구분하여 설계를 해야 한다.
  • 인필의 교체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부품 상호간 치수정합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업표준에서 제시하는 건축모듈 정합원칙 및 기준검토를 통해 장수명주택의 인필 설계 시 건축치수 및 기준을 적용하고자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건축모듈 정합 원칙 및 기준은 건축물 설계와 건축 구성재의 설계 · 생산 과정에서 합리적인 모듈정합을 위한 원칙 및 기준을 의미한다.
  • 장수명주택의 공간 가변성을 높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중천장을 선시공한 후 세대 내 벽체를 후시공하는 시공방안을 제안한다. 세대 내 이중천장 일괄시공을 통해 기존 실단위 시공보다 공기를 단축을 기대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4년 장수명주택 건설 및 인증기준 고시에 따라 1,0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에는 어떠한 기준을 적용해야 하는가? 2014년 장수명주택 건설 및 인증기준 고시에 따라 1,0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에는 장수명주택 건설기준을 적용해야 한다. 이는 국내의 공동주택 정책이 양적인 주택공급 정책으로부터 양질의 주택 시공 후 유지관리를 통해 환경보호 및 사회적 비용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전환되었음을 의미한다.
장수명주택은 어떠한 공법인가? 장수명주택은 건축물의 물리적수명과 사회적수명이 연장되도록 공동주택의 바닥재, 벽재, 천정재 등의 건축구성품의 부품화를 통해 거주자의 요구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공법이다. 장수명 주택의 리모델링을 위해서는 건축물을 구성하는 자재가 거주자의 주거수요에 대응하여 수리가 가능해야 한다.
2014년 장수명주택 건설 및 인증기준 고시에 따라 1,0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에는 장수명주택 건설기준을 적용해야 하는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2014년 장수명주택 건설 및 인증기준 고시에 따라 1,0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에는 장수명주택 건설기준을 적용해야 한다. 이는 국내의 공동주택 정책이 양적인 주택공급 정책으로부터 양질의 주택 시공 후 유지관리를 통해 환경보호 및 사회적 비용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전환되었음을 의미한다. 전 세계적인 환경보전의 움직임과 더불어 지속가능한 개발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현 시점에 국내의 건축산업도 친 환경적이고 순환형 부품산업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woun, M. J., & Kim, J. J. (2010). A Study on the Flexible Infill System for the Sustainable Apartment.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0(1), 179-180. 

  2. Kim, S. A. (2011). Design methods Considering easy Maintenance & Remodeling of Skeleton & Infill Housing in Japan.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6(1), 71-83. 

  3. Kim, S. A., Lee, S. O., Lee, B. R., & Hwang, E. K. (2004). A Study on the Separation of Support and Infill of KICT Experimental Open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5, 301-306. 

  4. Lee, T. K., Chae, C. U., & Lee, K. H, (2012). Establishment of the Optimal Repair Cycle of the Components of the Rental Housing.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2(5), 29-34. 

  5. Lim, S. H. (2003). The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of repairing and replacing for remodeling housing component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1), 113-120. 

  6. Lim, S. H., Hwang, E. K., Lee, K. H., Kim, S. A. (2003).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Repair Cycle and Estimated Service Lifetime of the Apartment Housing Component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3), 73-80. 

  7. Lim, S. H., Jung, W. J. (2006). A Study on the Componet Joint of Long Life Span Multifamily Housing for Remodeling.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5), 21-30. 

  8. Lim, S. H. (2007).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Double floor and Ceiling Infill System for the Open Housing of Multi-family Housing.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11), 113-120. 

  9. Oh, K. S., & Kim, U. k. (1993). A Study on Object-based Design System for Precasted Concrete Apartment (1).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9(10), 89-94. 

  10. Son, Y. M., Wang, W. C., & Choi, Y. H. (2009). A Study on design method of the environmental Interface of Long Life Housing.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9(3), 3-12. 

  11. Yi, Y. K., & Kim, Y. J. (2012). A Study of Infill System for a small scale Skeleton/Infill Housing.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4(3), 75-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