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류 중소하천의 물관리 탄력성 평가지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water management resilience of mid-small scale tributari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2, 2016년, pp.95 - 106  

박정은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이을래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임광섭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류 중소하천의 미래 물관리 정책방향을 수립하기 위한 자료로, 물관리 탄력성 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117개 중권역에 적용하였다. 물관리 탄력성 지수는 취약성, 견고성, 다양성의 부지수로 구성하였으며, 각 부지수는 다시 이수, 치수, 하천환경 분야의 지표들로 총 31개의 지표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중권역은 다목적댐 하류 본류유역(범주 1), 용수공급 및 유량조절이 불가능한 지류(범주 2)와 가능한 지류(범주 3)로 분류하여 적용한 결과, 지류 중소하천에서의 물관리 탄력성, 특히 이수 및 치수분야의 다양성이 본류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약성과 견고성에 있어서는 본류와 지류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양성에서 지류가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지류 중소하천의 다양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물관리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물관리 탄력성 지수는 내외부 충격에 대한 안정성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여 수자원 정책 및 계획의 우선지역 선정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ater Management Resilience Index (WMRI) was developed as a policy measure of adaptability to withstand water stresses and to set up water management strategies mainly in mid-small scale tributaries, and then evaluated on 117 sub-basins in South Korea. The index consists of 3 sub-indices such as v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류 중소하천의 물관리 탄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국가 표준유역 분할 체계인 수자원단위지도의 117개 중권역에 적용하였다. 또한 물관리 탄력성 지수를 산정하고, 다목적댐에 의한 유량조절 및 용수공급이 가능한 본류와 지류, 유량조절이 불가능한 지류의 3가지 분류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지류 중소하천의 물관리 탄력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물관리 탄력성 지수는 내·외부 충격에 대한 물관리 안정성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여 수자원 계획 및 정책이행 과정에서 의사결정자들에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지류하천의 물관련 위기 적응력 및 다양한 물관리 해결방안과 사전예방능력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바, 견고성과 탄력성에 2, 취약성에 1의 가중치 시나리오를 적용했을 경우와 동일 가중치를 부여했을 경우를 비교하여 가중치 적용에 따른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및 지역 개발에 따른 토지이용 변화 등 내외부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한편, 과거와 같이 인프라 건설 중심의 물관리가 어려운 여건 하에서 미래 물관리의 방향이 될 수 있는 지류 중소하천의 물관리 탄력성을 평가하고 각 지류유역별 정책의 방향을 도출하는데 필요한 물관리 탄력성 지수(Water Management Resilience Index, WMRI)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류 중소하천의 물관리 탄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국가 표준유역 분할 체계인 수자원단위지도의 117개 중권역에 적용하였다. 또한 물관리 탄력성 지수를 산정하고, 다목적댐에 의한 유량조절 및 용수공급이 가능한 본류와 지류, 유량조절이 불가능한 지류의 3가지 분류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지류 중소하천의 물관리 탄력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연조건의 취약성, 물관리 인프라 구축의 견고성, 그리고 다양한 물위기 대응정책 확보를 주요 인자로 선정하여 중권역별 물관리 탄력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력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따라서, 외부충격 및 미래 불확실성, 시스템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내․외부 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의미하는 탄력성(Resilience)이 강조되고 있다. Wang et al.
물관리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진 동시에 대응 방식의 범위도 확장되어야 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지금까지 대부분의 물관리 사업은 공학적 설계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왔으며, 공학적 설계는 과거 경험치를 바탕으로 안전도를 고려하는 방법으로, 결국 과거에 발생한 현상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재현될 것이라는 전제로부터 출발한 기술이다. 반면, 최근에 발생하는 현상들은 과거와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과거의 공학적 설계기술에서 벗어나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한 대안 마련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는 어떤 일이 발생했을 경우 이렇게 대응해야 한다는 획일화되고 고정된 관리 방식의 당위성이 점차 약화되고 있는 것이다. 즉, 물관리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진 동시에 대응 방식의 범위도 확장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탄력성의 일반적인 개념을 복잡한 정도에 따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Wang et al. (2009)은 탄력성의 일반적인 개념을 복잡한 정도에 따라 공학 탄력성(Engineering Resilience), 시스템 탄력성(System Resilience), 복합적응시스템 탄력성(Resilience in Complex Adaptive System)의 3단계로 구분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중에서 복합적응시스템 탄력성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회피할 수 있는 시스템의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적응능력(Adaptive Capacity), 변형가능성(Transformability), 학습(Learning), 혁신(Innovation) 등의 주요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sian Development Bank (2013). Asian Water Development Outlook 2013: Measuring Water Security in Asia and the Pacific. Mandaluyong City, Philippines. 

  2. Choi, D.J., Park, D.H., and Kim, S.M. (2009). "Development of Water Policy Indicators : Water Use Indicator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Korean Wetlands Society, Vol. 11, No. 3, pp. 153-160. 

  3. Esty, D.C., Levy, M.A., Srebotnjak, T., and de Sherbinin, A. (2005). 2005 Environmental Substantiality Index: Benchmarking National Environmental Stewardship. Yale Center for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New Haven, CT. 

  4. Garriga, R.G., and Foguet, A.P. (2010). "Improved Methods to Calculate a Water Poverty Index at Local Scale."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36, No. 11, pp. 1287-1298. 

  5. Kang, M.G., and Lee, G.M. (2006). "Development of Assessment Index for 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and Weights Evaluation of its Component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9, No. 1, pp. 59-68. 

  6. Kang, M.G., Lee, K.M., Ko, I.H., and Jeong, C.Y. (2008). "Development of a Integrated Indicator System for Evaluating the State of Watershed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River Basin Management Using Factor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1, No. 3, pp. 277-291. 

  7. Lee, D., Choi, S.J., and Moon, J.W. (2013). "Development of Integrated Water Resources Evaluation Index."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6, No. 10, pp. 1017-1028. 

  8. Lim, K.S., Choi, S.J., Lee, D.R., and Moon, J.W. (2010). "Development of Flood Risk Index Using Casual Relationships of Flood Indica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0 No. 1B, pp. 61-70. 

  9. MCT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2). 2001 Drought Record Monitoring Report. 

  10.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14a). 2013 Statistics of Waterworks. 

  11.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14b). 2013 Statistics of Sewerage. 

  12.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7-2011). Assessment, Estimation and Water Securing Measurement of Instream Flow Considering Natural and Social Improvement. 

  13.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2011-2020). 

  14.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K-water. (2012). Report on National Monitoring of River Basins. 

  15. Nardo, M., Saisana, M., Saltelli, A., Tarantola, S., Hoffman, A., and Giovannini, E. (2005). Handbook on Constructing Composite Indicators: Methodology and User Guide. OECD Statistics Working Paper, OECD, Statistics Directorate, Paris. 

  16. NEM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5-2014). Yearbook of Natural Disaster. 

  17. NEM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9). Performance Report for Overcoming 2008-2009 Drought. 

  18. OECD. (2014). The Goverance of Water Regulators : OECD Best Practice Principles for Regulatory Policy. OECD Publishing. 

  19. OECD. (2015). Stakeholder Engagement for Inclusive Water Goverance, OECD Studies for Water. OECD Publishing, Paris. 

  20. Park, J.E., Kim, J., Kim, H.S., and Koh, D.K.. (2013). "Resilience, Resilient Water Management and Water Security-1. Concept of Resilience and Appearance of Resilient Water Management." Water for Future, KWRA, Vol. 46, No. 5, pp. 55-64. 

  21. Razali, N.M., and Wah, Y.B. (2011). "Power comparisons of Shapiro-Wilk, Kolmogorov-Smirnov, Lilliefors and Anderson-Darling tests." Journal of Statistical Modeling and Analytics, Vol. 2, No. 1, pp. 21-33. 

  22. Singh, R.P., Nath, S., Prasad, S.C., and Nema, A.K. (2008). "Selection of Suitable Aggregation Function for Estimation of Aggregate Pollution Index for River Ganges in India."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6, No. 5, pp. 451-455. 

  23. Sullivan, C.A., Meigh, J.R., Fediw, T. (2002). Developing and Testing the Water Poverty Index: Phase I Final Report. Report to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entre for Ecology and Hydrology, Wallingford, U.K. 

  24. Wang, C.H., Blackmore, J.M., Wang, X., Yum, K.K., Zhou, M., Diaper, C., McGregor, G.B., and Anticev, J. (2009). Overview of Resilience Concepts, with Application to Water Resources Systems. eWater CRC Technical Report, eWater CRC, Canberra, pp. 3-11. 

  25. Yun, H.Y. (199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Indicators of Incheon.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pp. 1-51.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