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의료기관의 1급 응급구조사 이미지와 업무에 대한 인식과 방향 - 응급실 내 1급 응급구조사와 간호사를 중심으로 -
Awareness and direction of paramedics work and image in hospitals - Focusing on paramedics and nurses in the emergency room -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0 no.2, 2016년, pp.81 - 97  

정상우 (동남보건대학교 응급구조과) ,  강경희 (가천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direction of paramedics work and image in hospitals. Methods: From April 16 to May 5, 2015,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45 paramedics and 81 nurses working in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The data were analy...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구조사 스스로에 대한 평가 부분과 간호사가 생각하는 응급구조사의 평가 부분에 대한 업무 인식과 이미지, 갈등관리 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고 더 나아가 응급의료체계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응급구조사가 응급구조사 자신을 평가하고 간호사가 응급구조사를 평가하여 두 그룹 간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기 위한 이원적 관점의 서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1급 응급구조사가 가장 많이 근무하는 의료기관에서 응급구조사와 간호사의 법으로 허용이 인식되는 응급구조사의 업무와 현재 수행 중인 응급구조사의 업무를 알아보고, 응급구조사와 간호사의 갈등 상황에 따른 응급구조사의 갈등 관리 방법, 이미지 그리고 응급실 내 응급의료 서비스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여 의료기관에서의 1급 응급구조사 역할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1급 응급구조사가 가장 많이 근무하는 의료기관에서 1급 응급구조사의 역할을 확대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전체 조사대상자 중 1급 응급구조사는 45명, 간호사는 81명이고, 여자가 8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의료체계의 구축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응급의료체계의 구축은 의학적인 측면에서 응급의료를 병원 밖으로 확대하는 것이고, 사회적으로는 사회보장 및 복지제도의 향상을 의미한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본다면 국민의 건강 및 안전에 대한 관심 증대에 부합한 사회안전보장 및 복지정책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응급의료체계의 구축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보면 어떤 것이라 할 수 있는가? 응급의료체계의 구축은 의학적인 측면에서 응급의료를 병원 밖으로 확대하는 것이고, 사회적으로는 사회보장 및 복지제도의 향상을 의미한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본다면 국민의 건강 및 안전에 대한 관심 증대에 부합한 사회안전보장 및 복지정책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응급의료체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적정규모의 지역에서 응급상황 발생 시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인력, 시설, 장비를 유기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재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응급의료체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어떤 것이라 말 할 수 있는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본다면 국민의 건강 및 안전에 대한 관심 증대에 부합한 사회안전보장 및 복지정책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응급의료체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적정규모의 지역에서 응급상황 발생 시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인력, 시설, 장비를 유기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재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응급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현장에서 적절한 처치를 시행한 후, 신속하고 안전하게 환자를 치료에 적합한 병원으로 이송하고, 따라서 짧은 시간에 최상의 응급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현장출동 및 처치팀(119 구급대) 및 병원 응급의료팀 간의 유기적인 사회-의료학적인 개념의 협력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Park CS, Cho KJ. Effects of job insecurity and job engage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paramedics in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Korean J Emerg Med Ser 2015; 19(2):51-69. http://dx.doi.org/10.14408/KJEMS.2015.19.2.051 

  2. Park JH. Recognition and request for medical direction by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Korean J Emerg Med Ser 2011; 15(3):31-44. 

  3. Han SY, Ji HK, Yoon SW, Lee CH. Legislation feasibility studies for expanding the business scope of paramedics: Focused on high level task in importance, need and allowance. J Emerg Med Ser 2015;19(3):117-38. http://dx.doi.org/10.14408/KJEMS.2015.19.3.117 

  4. Seo HY, Lee KY. Analysis of direct medical control conducted to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an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Korean J Emerg Med Ser 2012;16(3):29-43. 

  5. Yang SI.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pectives and actual conditions of earthquakes and tsunami safety education. Korean J Emerg Med Ser 2011;15(3):81-96. 

  6. Lee JW, Kim KW. The Study on improving medical care service by analyzing the time while the homeless patients length of stay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 J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2013;11(10):619-27. 

  7. Kim HS, Lee YA. Comparative Analysis on Three-Year Period Curriculum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of College. Korean J Emerg Med Ser 2007;11(2):29-50. 

  8. Korea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ssociation. www.emt.or.kr (retrieved August 10, 2016) 

  9. Yang HM, Jeon HJ, Gang BR.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growth needs and turnover intentions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Korean J Emerg Med Ser 2013;17(3):29-37. 

  10. Lee SY, Kwon YJ, Lim DO, Kim MG, Park HJ, Kwon HR, Ju YC. Analysis and utilization of emergency big data. Korean J Emerg Med Ser 2016;20 (1):41-55. http://dx.doi.org/10.14408/KJEMS.2016.20.1.041 

  11. Bae GS, Han SI. Emergency medical participants' recogni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awareness. Journal of Acad-Indust Coop Soc 2013;14(6):2908-14. http://dx.doi.org/10.5762/KAIS.2013.14.6.2908 

  12. Machen I, Dickinson A, Williams J, Widiatmoko D, Kendall S. Nurses and paramedics in partnership: Perceptions of a new response to low-priority ambulance calls. Accident and Emergency Nursing 2007; 15(4):185-92. http://dx.doi.org/10.1016/j.aaen.2007.09.001 

  13. Yoon JG. Analysis on Image and Job Preception of EMTs among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2005, Gwangju, Korea. 

  14. Lee 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yle of Communic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Approach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2007, Yongin, Korea. 

  15. Raisi A, Asadzadeh 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reward power and their conflict management styles based on Thomas-Kilmann conflict mode instrument. Management Science Letters 2015;5(6): 611-8. http://dx.doi.org/10.5267/j.msl.2015.4.004 

  16. Lee DS. A Study on the image of a nurse who as ordinary peo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1995, Seoul, Korea. 

  17. Ha TC. A study on awareness of cooperation between the police and private secur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2013, Iksan, Korea. 

  18. Park J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role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il University 2015, Gyeongsa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