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응급실 내 의사와 간호사가 인식하는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업무인식도
Emergency Medical Participants' recogni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Awarenes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6, 2013년, pp.2908 - 2914  

배기숙 (백석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한송이 (서남대학교 응급구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전,충남 소재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응급의료종사자 122명을 대상으로 병원 내 응급구조사를 조사하여 응급구조사의 역할과 법적 업무규정의 현실적 제고 및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업무에 관한 인식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업무인식을 살펴본 결과, 전체 40문항에 대해 $3.23{\pm}0.67$점으로 나타나 병원 내 응급구조사에 대한 업무인식정도는 중간 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외상처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약물투여가 가장 낮았다. 응급의료종사자가 응급구조사의 업무를 바르게 인식하게 하기 위해서는 응급구조사가 고유 업무와 역할을 충실히 해 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보다 명확한 교육과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보다 명확한 업무가 법적으로 규정되어져야 한다. 응급구조사에 대한 홍보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hospital EMT' scope of work perceived by emergency medical service providers by surveying 122 emergency medical service providers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s in Daejeon and Chung-nam in order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improving EMT' roles and legal regulations rel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구조사의 업무 범위에 관하여 병원 내 응급의료종사자가 인식하고 있는 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알아본 후 응급구조사의 업무인식 정도를 확인하고 향후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역할과 법적 업무규정의 현실적 제고 및 병원 내 응급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업무는 병원마다 달라 실제 응급구조사가 할 수 있는 병원 내 업무를 함께 일하고 있는 응급실 내 의사와 간호사를 통하여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업무인식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타직종이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업무를 바르게 인식하는데 기여하고자하며, 더 나아가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업무 및 활동영역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이러한 업무영역에 관한 부분은 응급구조사가 본 연구에서 응급의료종사자가 인식하는 병원 내 응급구조사 업무인식의 총 평균 점수는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구조사란 무엇인가? 응급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환자에게 짧은 시간 내에 최상의 응급처치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의료진(응급구조사, 의사, 간호사)의 협력이 필요하며[3] 응급의료체계에 필수 인력인 ‘응급구조사’는 병원 전 단계, 병원 단계를 주로 담당하는 응급의료종사자로서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업무범위를 규정하고 있다[4].
병원 단계에 배치되어 있는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특징은 무엇인가? 응급구조사 중 병원 단계에 배치되어 있는 병원 내 응급구조사들은 진료의 보조자로서 역할을 도맡고 있으며 한 단계 더 나아가 응급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응급처치를 능숙하게 함으로써 응급환자 처치의 시간을 단축시키며 환자와 보호자의 만족도도 충족시키고 있다[5].
병원 단계에 배치되어 있는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업무를 과중하고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그러나 응급실 내원환자의 중증도 증가와 응급실 과밀화 현상의 심화, 응급의학과 전공의의 부족 등과 같은 국내 의료계 상황은 응급구조사의 업무를 더욱 과중하고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6]. 하지만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도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고 인지도 또한 매우 낮은 것이 현실이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yeong-Woo Kang etc, Emergency Medical related laws, Chung-gu munhwasa, 2011. 

  2. Su-Chun Kim, Issues and policy direc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Vol. 105, 2011. 

  3. Jung-Mi Park, Sun-Sim Kim. Comparison study of satisfaction levels on Field Practice of EMT college students by 5 Practice Field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Vol.2, No.-, pp.7-25, 1998. 

  4. http://www.moleg.go.kr/ 

  5. Ok-Hee, Lee, The work and job satisfaction of paramedics in the emergency room of university hospitals, Kongju Natioanl University, 2011. 

  6. Eun Nam Lee, Bog Ja Kim, Kyung Hee Kang, Sung Sook Kim, Young Soon Kim, Development of an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Emergency Room Nurses According to Their Career Ladd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4, No.1, pp.99-111, 2008. 

  7. Jong-Geun Yun, Young Chung, Mi-Young Park, Analysis on Lmage and Job perception of EMTs among Nurses, Regional Development Studies, Vol.9, No.2, pp.41-57, 2004. 

  8. Bog Ja Kim, Eun Nam Lee, Kyung Hee Kang, Sung Sook Kim, Soon Ai Kim, Young Hee Sung, Duck Sin Sin, Kwang Ok Yi, Hui Jeong Lee, A Study of Job Analysis of the Emergency Room Nur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2, No.1, pp.81-95, 2006. 

  9. Byeng Ju Lee, Nurse-physician Conflict: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10. Hyeon Tae Jo, Job Stress and Satisfac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ing in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Hospital,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