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부모의 양육 행동이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arental Behavior on Ego Resilience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4 no.2, 2016년, pp.140 - 145  

안민철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충주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서정석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충주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문석우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충주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태호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충주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남범우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충주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중학생의 성격 발달 및 자아탄력성은 부모의 양육행동과 깊은 관계가 있다.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부모의 양육행동과의 관계와 이에 대한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3년 자료를 활용하여 층화 다단계 집락 포집 방법으로 표본(남성: 1,075; 여성: 1,033)을 선정하였으며 부모 양육행동 척도와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부모 양육행동과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을 평가하였다.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부모 양육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영향 요인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회귀 분석 결과 부모의 양육행동 중에 합리적 설명, 애정, 관심, 비일관성이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 분석 결과 부모의 양육행동 중에 합리적 설명, 애정, 관심이 자아탄력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4, r=0.31, r=0.22, p<0.01). 그러나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비일관성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부모의 양육행동에서 합리적 설명, 애정, 관심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비일관성이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나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은 것을 통해 유아와는 달리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은 다른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중학생의 정신과적 문제에 대한 정신사회적 접근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Parental behavior is related to personality development and ego resilience in the childhoo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arental behavior on ego resilience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 Methods :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stratified multi-sta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돕는 부모의 바람직한 양육행동을 실제적으로 파악하며, 인생의 중요한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행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탄력성이란 무엇인가? 자아탄력성은 스트레스 환경에서 환경적 요구에 융통적으로 적응하거나 문제해결을 위해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이다.1)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역량 강화와 관련하여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매우 중요한 개인의 내적 자원으로2,3) 스트레스가 많은 학교 환경 속에서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아동을 지키고 보호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능력이다.
중학생의 성격 발달 및 자아탄력성은 무엇과 깊은 관계가 있는가? 연구목적 중학생의 성격 발달 및 자아탄력성은 부모의 양육행동과 깊은 관계가 있다.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부모의 양육행동과의 관계와 이에 대한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청소년기에는 자아탄력성이 부모 애착이나 관계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한 변동 가능성이 초기 아동기에 받는 영향만큼 크지 않을 수 있는 이유는? 비일관적인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 초기 학령기 아동과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에 차이를 보이는 이유에 대하여 세가지로 논의를 해볼 수 있다. 첫째, 부모의 양육 행동 중에 유아기에는 일관성 있는 규제 행동이 스트레스를 낮추고 자아탄력성을 높이지만 본 연구의 대상인 중학생은 유아에 비해 자아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기 때문에 부모 애착에 의한 직접적 영향보다 자아존중감 같은 자기 내적 요인이나, 또래 친구들의 영향을 더 받을 가능성이 있다.29,30) 즉 청소년기에는 자아탄력성이 부모 애착이나 관계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한 변동 가능성이 초기 아동기에 받는 영향만큼 크지 않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lock J, Kremen AM. IQ and ego-resiliency : Clarifying their conceptual and empirical linkage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70:349-361. 

  2. Rutter M.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1987;57:316-331. 

  3. Garmezy N.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to adverse developmental outcomes associated with poverty.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1991;34:416-430. 

  4. Sroufe LA, Carlson E, Shulman S. Individuals in relationships: Development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1993. p.315-342. 

  5. Kwon HJ. Ego resiliency in school-aged children correlates with interpersonal stress.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006;13:17-32. 

  6. Na SY, Ahn MH. Parental emotional bond and adult attachment: The mediating role of ego resiliency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11;16:331-355. 

  7. Raymond M.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nflict and the amount of time adolescents spend alone and with parents and peers. Child development 1982;53:1512-1519. 

  8. Stafford M, Kuh DL, Gate CR, Mishra G, Richards M.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offspring's positive mental wellbeing from adolescence to early older age. J Posit Psychol 2016;11:326-337. 

  9. Volling BL, Oh W, Gonzalez R, Kuo PX, Yu T. Patterns of Marital Relationship Change across the Transition from One Child to Two. Couple Family Psychol 2015;4:177-197. 

  10. Sirignano SW, Lachman ME. Personality change during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The role of perceived infant tempera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1985;21:558-567. 

  11. Schaefer ES. Children's Reports of Parental Behavior: An Inventory. Child Development 1965;36:413-424. 

  12. Klohnen EC.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70:1067-1079. 

  13. Block JH, Block H.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Child Psychology 1980;13:39-101. 

  14. Anita JH, Genevieve EC. Adolescent Resilience.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99;31:243-247. 

  15. Han HA, Doh HS. The Effects of Family Risk Factors, Ego-Resilience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n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08;29:87-101. 

  16. Huey J, Stanley J, Weisz JR. Ego control, ego resiliency, and the Five-Factor Model as predictors of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in clinic-referred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997;106:404-415. 

  17. Jodi S, Carlos V, Kathryn LC. Predicting early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social competence, and physical health from parenting, ego resilience, and engagement coping.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011;31:548-576. 

  18. Bae YJ, Lim JY.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on preschooler's social adjust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ffortful control. Korea Journal of Child Studies 2013;34:161-173. 

  19. Medinnus GR. Adolescent's self-acceptance and perception their parents,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965;29:150-154. 

  20. Huh MY. A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ventory for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adolescents.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04;12:170-189. 

  21. Schaefer ES. Development of a materi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959;95:83-104. 

  22. Schaefer ES. A configurational analysis of children's reports of parent behavior. J Consult Psychol 1965;12:170-189. 

  23. Rhee SH, Doh H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arenting behavior scale for parents of early school-age children. Korea J of Child Studies 2014;35:111-133. 

  24. You SK, Hong SH, Choi BY. Medi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attachment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between family risks and adaptation.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2004;18:393-408. 

  25. 김미향, 김성희.중학생 자아탄력성 척도개발. 상담학 연구;2010. p.189-206. 

  26. Ryou WR. The Effect of Parental Attitude, Preschooler's Ego-Resilience on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Child education 2014;23:289-299. 

  27. Mary IA, Shelly BL, Michael TU. Pathways Between Social Support, Family Well Being, Quality of Parenting, and Child Resilience: What We Know.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005;14:169-281. 

  28. Kim OS, Oh YJ, Choi MG. Family strengths, ego-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05;19:761-777. 

  29. Furman W, Buhrmester D. Age and sex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networks of personal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1992;63:103-115. 

  30. Harter S. The self. Eisenberg IN, editor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6th ed. NJ: Wiley;2006. p.505-5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