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명기후분석시스템(BioCAS)을 이용한 폭염 건강위험의 검증 - 서울시 건물규모를 중심으로 -
Evaluation of Health Impact of Heat Waves using Bio-Climatic impact Assessment System (BioCAS) at Building scale over the Seoul City Area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5 no.6, 2016년, pp.514 - 524  

김규랑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이지선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이채연 (차세대도시.농림융합기상사업단) ,  김백조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브리타 얘니케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아힘 홀트만 (베를린공대 생태학과) ,  디터 쉐러 (베를린공대 생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명기후분석시스템(BioCAS)을 이용하여 서울시 전역의 폭염사례일 기온, 인지온도(PT), 초과사망률($r_{EM}$)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 해상도는 25m 였으며, 사례일은 2012년 8월 5일이었다. 분석 결과는 관측된 사망률 및 내원환자수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평가되었다. 2004년에서 2013년의 폭염 원인인 사망률 자료와 2006년에서 2011년의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폭염 내원환자수 자료를 이용하여 행정구별 폭염 건강위험 자료를 추출하였다. 자료 비교를 위한 공간 해상도는 사망률 및 내원환자수 자료의 해상도인 행정구 단위였다. BioCAS에서 분석된 사례일 최고 인지온도 및 초과사망률 분포 자료는 행정구별 공간 평균, 최대, 최소 및 누적값으로 변환된 후 건강피해자료와 상관분석이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일 최고 인지온도 및 초과사망률의 공간 평균값은 건강피해를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일 최고 인지온도의 공간 최솟값은 사망률과, 공간 최댓값은 내원환자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각각 r=0.53, r=0.42). 즉, 밀집된 건물에 의해 생겨나는 공간 최댓값은 낮 동안의 일사병 발생과 내원환자수 증가에 영향을 주었고, 식생에 의해 나타나는 공간 최솟값은 밤 동안의 열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사망률에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분석된 초과사망률($r_{EM}$)은 공간 최댓값과 내원환자수가 상관관계가 있었지만(r=0.52) 사망률과의 상관관계는 인정되지 않았는데, 이것은 연령별 인구구성 차이에 따른 기저 폭염위험도 차이 등 행정구별 불균일성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개별 건물과 식생의 열적 효과는 공간 평균보다 최대, 최소 등 그 분포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해상도 분석기술은 도시의 건강영향평가를 통해 도시개발에 관한 경제성 분석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io-Climatic impact Assessment System, BioCAS was utilized to produce analysis maps of daily maximum perceived temperature ($PT_{max}$) and excess mortality ($r_{EM}$) over the entire Seoul area on a heat wave event. The spatial resolution was 25 m and the Aug. 5, 2012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앞서 개발된 BioCAS(생명기후분석 시스템, Kim et al. 2014) 및 서울시 상세 기온분석 시스템(Yi et al. 2016)을 이용하여 건물과 식생의 밀도에 따른 열환경 건강영향 평가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즉, 도시개발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열환경을 BioCAS를 이용하여 서울시 전역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서울시에서 관측된 사망률과 내원환자수 관측 자료와 상관성을 비교함으로써 개발된 시스템의 활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2016)을 이용하여 건물과 식생의 밀도에 따른 열환경 건강영향 평가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즉, 도시개발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열환경을 BioCAS를 이용하여 서울시 전역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서울시에서 관측된 사망률과 내원환자수 관측 자료와 상관성을 비교함으로써 개발된 시스템의 활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환경 변화에 대한 연구에 도시내 개발 지역의 기온 변화가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어느 정도로 제한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없는 이유는? 2009), 도시내 개발 지역의 기온 변화가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어느 정도로 제한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 중 하나는 기온에 따른 인체의 건강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따라 앞으로 수십 년 이상 지속될 기온의 상승에 미리 대응하자면 특히 도시지역 개발의 경우 그 개발이 유발할 수 있는 기온 상승/하강량과 그에 따른 비용 부담의 증가/감소 평가가 필요하다.
도시의 열환경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도시의 열환경은 크게 불투수 도로 및 건물과 식생의 배치와 밀도에 영향을 받는다. 건물의 형태와 밀집도(Theeuwes et al.
생명기후분석시스템의 역할은 무엇인가? 생명기후분석시스템(BioCAS)은 인체 열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인 기온과 평균복사온도를 개별 건물과 식생 수준에서 분석하고, 관측 또는 중규모 모델에서 분석한 습도와 바람을 이용하여 인지온도를 계산하며, 인지온도에 따른 초과사망률을 추정하여 열 스트레스 위험도 분포를 분석한다 (Figur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rmstrong BG, Chalabi Z, Fenn B, Hajat S, Kovats S, Milojevic A, Wilkinson P. 2011. Association of mortality with high temperatures in a temperate climate: England and Wale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65(4): 340-345. 

  2. Curriero FC, Heiner KS, Samet JM, Zeger SL, Strug L, Patz JA. 2002. Temperature and mortality in 11 cities of the eastern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5(1): 80-87. 

  3. Hajat S. 2006. Climate change: extreme weather events (in Wilkinson, P. ed., "Environmental Epidemiology"). Berkshire England: Open University Press. 

  4. Kim KR, Kwon TH, Kim YH, Koo HJ, Choi BC, Choi CY. 2009. Restoration of an inner-city stream and its impact on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based on longterm monitoring data. Adv. Atmos. Sci. 26(2): 283-292. 

  5. Kim KR, Yi C, Lee JS, Meier F, Jaenicke B, Fehrenbach U, Scherer D. 2014. BioCAS: Biometeorological Climate impact Assessment System for building-scale impact assessment of heat-stress related mortality. Die Erde 145(1-2): 62-79. 

  6. Konarska J, Uddling J, Holmer B, Lutz M, Lindberg F, Pleijel H, Thorsson S. 2016. Transpiration of urban trees and its cooling effect in a high latitude city. Int J Biometeorol. 60(1): 159-172. 

  7. Kwon TH, Kim KR, Byon JY, Choi YJ. 2009. Spatiotemporal changes of the thermal environment by the restoration of an inner-city stream. J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8(6): 321-330. [Korean Literature] 

  8. Lindberg F, Grimmond CSB. 2011. The influence of vegetation and building morphology on shadow patterns and mean radiant temperatures in urban areas: model development and evaluation.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105(3-4): 311-323. 

  9. Nastos PT, Kapsomenakis J. 2015. Regional climate model simulations of extreme air temperature in Greece. Abnormal or common records in the future climate? Atmospheric Research 152(15): 43-60. 

  10. Nastos PT. Matzarakis A. 2012. The effect of air temperature and human thermal indices on mortality in Athens, Greece.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108(3): 591-599. 

  11. Scherer D, Fehrenbach U, Beha HD, Parlow E. 1999. Improved concepts and methods in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urban climate for optimizing urban planning processes. Atmospheric Environment 33(24-25): 4185-4193. 

  12. Shin YS, Ha JS, Bae HJ, Kim SD. 2011. Policy Directions for Assessment and Adaptation in Health Impacts of Climate Chang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13. Staiger H, Laschewski G, Graetz A. 2012. The perceived temperature - a versatile index for the assessment of the human thermal environment. Part A: scientific basics. Int. J. Biometeorol 56(1): 165-176. 

  14. Theeuwes NE, Steeneveld GJ, Ronda RJ, Heusinkveld BG, van Hove LWA, Holtslag AAM. 2014. Seasonal dependence of the urban heat island on the street canyon aspect ratio. Q. J. R. Meteorol. Soc. 140(684): 2197-2210. 

  15. Theeuwes NE, Steeneveld GJ, Ronda RJ, Holtslag AAM. 2016. A diagnostic equation for the daily maximum urban heat island effect for cities in northwestern Europe. Int. J. Climatol. DOI: 10.1002/joc.4717. 

  16. Yi C, Kim KR, An SM, Choi YJ, Holtmann A, Jaenicke B, Fehrenbach U, Scherer D. 2016. Estimating spatial patterns of air temperature at building-resolving spatial resolution in Seoul, Korea. Int. J. Climatol. 36(2): 533-5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