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무의도 (인천광역시)지역에 대하여 2011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관속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은 무의도 내 국사봉, 호롱곡산, 해안가 및 부속섬인 실미도와 소무의도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조사된 전체 분류군은 90과 235속 297종 5아종 32변종 4품종으로 총 338분류군이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로 산림청지정 희귀식물은 땅귀개, 통발, 이삭귀개, 물질경이, 두루미천남성 등 총 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5등급종이 3분류군, 3등급종이 5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28분류군으로서 귀화율은 8.3%, 도시화지수는 8.7%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vascular plants of Mueuido in Incheon from April to October, 2011.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or mountains (Mt. Horyonggok and Mt. Guksa), coastal areas and annexed islands (Silmido and Somueuido). Vascular plants were found to have 338 taxa, i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무의도 일대의 현지조사를 통해 증거표본을 확보하여 이에 기초한 정확한 관속식물상을 검토하고, 산림식물에 대한 식물다양성 조사를 통해 주요 식물들의 효율적인 관리와 종다양성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Incheon metropolitan city. 2016. Incheon metropolitan city homepage (http://www.incheon.go.kr). 

  2. Jung SY. 2014.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 (IAP) in South Korea. Department of Bioresource Sciences, Ph.D. Thesis, Andong National Univ., Korea. p. 82 (in Korean). 

  3. Kim HJ, SJ Ji, SY Jung, SH Park, SG Lee, CW Lee and KS Chang. 2015. Flora of vascular plants in Deokjeokdo (Ongjin-gun) and its adjacent regions, Korea. Korean J. Plant Res. 28:487-510 (in Korean). 

  4. Kim IT and IK Lee. 1980. On the ecological studies of flora in island Muie. Kor. J. Ecol. 3:21-30 (in Korean). 

  5. Kim JH, GH Nam, SY Kim, JS Kim, JE Choi and BY Lee. 2013. A floristic study of Baengnyeongdo (Isl.)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6:178-213 (in Korean). 

  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omepage, (http://www.kma.go.kr). 

  7.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a. Illustrated Pteridophyta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547 (in Korean). 

  8.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332 (in Korean). 

  9. Korea National Arboretum.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600 (in Korean). 

  10.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534 (in Korean). 

  11. Lee HJ, SH Park, SG Ha, HS Hwang, KS Chang and YM Lee. 2012.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Youngjongdo and Yongyudo. Kor. J. Env. Eco. 26:839-867 (in Korean). 

  12.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p. 990 (in Korean). 

  13.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Korea. p. 914, p. 910 (in Korean). 

  14. Lee WC. 1996. Standard Illustrated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 624 (in Korean). 

  15. Lee WC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tiy Press, Chuncheon, Korea. p. 412 (in Korean). 

  16.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87-101 (in Korean). 

  17.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Kyohaksa, Seoul, Korea. p. 974, p. 885 (in Korean). 

  18. Lim Y, HR Na, B Han, WB Seo and JO Hyun. 2015. Floristic study of Yeongheungdo Island. Korean J. Plant Res. 28 :456-474 (in Korean). 

  19.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Germany. p. 666. 

  20.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Guide to the Four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pp. 173-220 (in Korean). 

  21.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205 (in Korean). 

  22. Oh HK, SC Kim and JH You. 2014.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Daesong tidal flat wetland, Ahnsan-si, Gyeonggi-do. J. Korean Env. Res. Tech. 17:31-48 (in Korean). 

  23. Paik WK. 2010. Vegetation of wetland in Mueuido (Incheoncity). Korean J. Plant Res. 23:197-205 (in Korean). 

  24.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602 (in Korean). 

  25. Son DC, HJ Kim, DH Lee, SY Jung, SH Park and KS Chang. 2016. Flora of the five west sea islands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9:434-46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