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관령 산지초지의 식물상 및 식생 특성
Flora and Vegetation of Hilly Pasture in Daegwallyeong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5 no.3, 2017년, pp.398 - 412  

김명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어진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권순익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송영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지초지의 효율적인 조성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하여 강원도 대관령에 위치하는 산지초지에서 2014년~2016년 사이 식물상과 식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38과 90속 104종 13변종 12아종으로 총 1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 조성은 반지중식물-단립식물-중력산포형-직립형 ($H-D_4-R_5-e$)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5과 9속 12종으로 총 12분류군으로, 도시화지수는 3.7%, 귀화율은 9.9%를 나타냈다. 대관령 산지초지의 식물군락은 덤불조팝나무-꼬리조팝나무군락, 고마리군락, 흰겨이삭-큰조아재비군락으로 구분되었고, 흰겨이삭-큰조아재비군락은 세분하여 왕포아풀아군락, 쑥아군락, 김의털아군락, 애기수영아군락, 전형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식물군락은 경사도와 EC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사도 $40^{\circ}$ 이상에서는 원하는 목초의 정착이 이루어지지 않고, 관목림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향후 산지초지의 조성 및 관리에 경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the basic data for effective creation and management of hilly pasture. The investigation of flora and vegetation was conducted at 59 $relev\acute{e}s$ in hilly pasture of Daegwallyeong from 2014 to 2016. The vascular plants of the hilly pasture were 1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경사지를 포함하고 있는 산지초지를 조성 및 유지·관리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미소환경조건과 식생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오랫동안 유지 및 관리되고 있는 방목 산지 초지에서 나타나는 식물상과 식생유형을 파악하고, 식생유형과 환경조건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애기수영군락의 입지가 많은 서식환경의 특징은 무엇인가? (1980, 1987)은 일본의 방목 잡초군락에서 애기수영군락을 구분하였고, 초지 내에서 카펫에 여기저기 구멍이 있는 것처럼 또는 작은 군상으로 되어 군락을 형성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들은 애기수영군락의 입지는 능선의 건조한 평탄지나 급경사지의 사면 상부의 돌출지역에 형성된 경우가 많고, 북사면보다는 수광량이 많은 남사면에서 많이 확인되었으며, 방목압은 중간정도부터 조금 과방목의 범위의 경우가 많았다고 보고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초지면적이 감소하고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 초지조성은 한·독 초지연구사업 (1973~1993년)을 시작으로 활성화되었으나, 이후 임간초지·방목축산은 위축되었다. 현재 초지면적은 산림환원, 농어업용지 및 각종 개발산업 등에 따른 전용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 결과 2015년도 초지면적은 35,095 ha로 1995년 66,301 ha에 비하여 31,207 ha 감소하였다(MAFRA 2016, Fig.
강원도 대관령에 위치하는 산지초지의 식물 군락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9%를 나타냈다. 대관령 산지초지의 식물 군락은 덤불조팝나무-꼬리조팝나무군락, 고마리군락, 흰겨이삭-큰조아재비군락으로 구분되었고, 흰겨이삭-큰조아재비군락은 세분하여 왕포아풀아군락, 쑥아군락, 김의털아군락, 애기수영아군락, 전형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식물군락은 경사도와 EC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niologie. Springer-Verlag. 3rd ed., Vienna. New York. 631pp. 

  2. Bray JR and CT Curtis.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325-349. 

  3. Cho YH and W Kim. 1983. The secondary vegetation and succession of the forest fire area of Nae-Hak Dong, Mt. Palgong. Korean J. Ecol. 6:22-32. 

  4. Dixon P. 2003. VEGAN, a package of R functions for community ecology. J. Veg. Sci. 14:927-930. 

  5. Ide Y. 2003. Spatiotemporal change of pasture vegetation in mountainous slope land. Grassl. Sci. 49:286-292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6. Ide Y, M Kojima and H Hayashi. 1998a. Topography and pasture management in the mountainous slopeland. 1. The distributioin of bare area and cattle dung. Grassl. Sci. 44:208-214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7. Ide Y, M Kojima and H Hayashi. 1998b. Topography and pasture management in the mountainous slopeland. 2. Effects of the cattle dung distribution on soil fertility, forage grass production and degree of defoliation. Grassl. Sci. 44:215-222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8. Ide Y, M Kojima and H Hayashi. 2000. Topography and pasture management in the mountainous slopeland. 3. Yearly and spatial changes in pasture vegetation. Grassl. Sci. 46:45-51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9. Jung JS, JG Kim, HS Park, SH Lee, HS Kim, WH Kim, YJ Kim, HW Lee and GJ Choi. 2016. The effects of improvement of botanical composition technology application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productivity in Rumex acetosella dominated hilly pasture. J. Kor. Grassl. Forage. Sci. 36:81-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ang SJ and JT Lee. 1982. Ecological studies on vegetation recovery of burned field after forest fire. Korean J. Ecol. 5:54-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ang SS, WK Paik, WT Lee, GJ Jang and KO Yoo. 2006. Flora and vegetation of Mt. Bokgyesan. J. Environ. Ecol. 20:208-2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ariyama S and H Kobatake. 1988.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Bull. Kurashiki Mus. Nat. Hist. 3:31-40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JW and YI Manyko.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ean J. Ecol. 17:391-413. 

  14. Kim MH, KJ Cho, YJ Oh, D Yang, WJ Lee, S Park, SK Choi, J Eo, MK Kim and YE Na. 2016. Life form and naturaliza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in upland fields of South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4:63-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MH, SK Choi, MK Kim, LJ Choe, SC Hong, GB Jung, KJ Cho, D Han, YJ Oh, WJ Lee, D Yang, S Park and YE Na. 2015. Characteristics of flora on dry field margins in Korean peninsula. Korean J. Environ. Agric. 34:77-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S, Y Kim, K Hwang, MS Ahn, JH Hur, HS Lim and DS Han. 1999. The potential for dominance by red sorrel (Rumex acetosella) at Kangwon alpine grassland. Kor. J. Weed Sci. 19:244-2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W, JH Suh and CU Ri. 1983. The early vegetation succession of the burned area in Dangji-dong. Korean J. Ecol. 6:237-2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YK, CW Chung, YS Choi, YC Lim, SY Han and KJ Na. 2003. Effect of herbicide application on weed control and forage production in alpine grassland predominated with red sorrel (Rumex acetosella L.). J. Anim. Sci. Technol. 45:865-8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SK. 1997. Annual fresh weight yield of oversowing grassland and vegetational succession of abandoned grassland in Wonju area. J. Korean Grassl. Sci. 17:257-2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angmunsa press, Seoul. 

  21.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angmunsa press, Seoul. 

  22. Lee WT. 1996a. Standard illustratioi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23. Lee WT. 1996b. Lineamenta florae Korea. Academy press, Seoul. 

  24. Lee YM, SH Park and SS Jung. 2002a. Vegetational composition and flora of Jungnangcheon in Seoul. Kor. J. Env. Eco. 16: 271-2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ee YM, SS Kim, DK Cho and SS Jung. 2002b. The flora in Chungnyeongsan and Seorisan, Kor. J. Env. Eco. 16:104-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Lim DO and IC Hwang. 2006. Exotic plants and conservation in Gayasan national park. Kor. J. Env. 20:281-2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Lim DO, YM Ryu and IC Hwang. 2004.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large rivers of downtown Gwangju metropolitan city. Kor. J. Env. Eco. 18:288-2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MAFRA. 2016. Main statics in agriculture, livestock, and food.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9. Nashiki M, T Nomoto and N Harashima. 1983. Actual condition and related factors of deterioration and soil erosion of pasture in co-operative livestock farms. Bull. Natl. Grassl. Res. Inst. 24:1-13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30. Numata M. 1970. Illustrated plant ecology (in Japanese). Ashakura Book Co. Tokyo, Japan. pp. 33-43. 

  31. Numata M. 1975. Naturalized plants. Dai Nippon printing Co. Tokyo, Japan. pp. 1-160. 

  32. Oh HK, DO Lim and YS Kim. 2009.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d management counterpla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3:105-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Oh YJ, BM Lee, SI Sohn, YK Lee, HS Nam, SB Lee, CK Kang and HJ Jee. 2010. Vegetation types an soil environment as affected by fallow paddy. Kor. J. Weed Sci. 30:405-4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Oh YJ, SI Sohn, CS Kim, BW Kim and BH Kang. 2008.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in paddy levee. Korean J. Environ. Agric. 27:413-4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Park SJ, JH Kim, SM Kim, HD Park, BJ Woo and KY Bec. 2004. Flora and conservation counterplan of Sonjook Island. Kor. J. Env. Eco. 18:18-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Park SJ, SJ Park and SW Son. 2009. The flora of coastal sand dune area in Gyeongsangbuk-do. Kor. J. Env. Eco. 23:392-4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Raunkiaer C. 1934. Life form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harendon Press. Oxford. 

  38. Sakai H, T Sato, S Okuda and T Akiyama. 1980. Floristic composition and the dynamics of weeds of sown grassland in Japan. III. Classification of weed communities in sown grasslands in Akita and Yamagata prefectures. Weed Res. 25:17-23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39. Sakai H, T Sato, S Okuda and T Akiyama. 1987. Floristic composition and the dynamics of weeds of sown grassland in Japan. VII. Classification of weed communities and dynamics of weeds in sown grasslands in Southern and Central Nagano prefecture. Weed Res. 32:223-231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40. Sim HB and W Kim. 1996. Dynamic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the Mt. Ch'olye-san. Korean J. Ecol. 19:417-4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1. Tsuchida K. 1973. The grassland vegetation in the subalpine zone of the Utsukushigahara heights, Central Japan. Jap. J. Ecol. 23:33-43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42. Tsuchida K. 1976. The grassland vegetation in the Fujimidai heights: a moist grassland in the subalpine zone, central Japan. Jap. J. Ecol. 26:83-89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43. Westhoff V and E van der Maarel. 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pp. 617-726. In: Handbook of vegetation science, part 5,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of communities (Whittaker RH ed.). Junk, The Hague. 

  44.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 Botany 23:69-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5. You JH, YH Jin, HW Jang, DW Lee, HB Yun, GY Lee and CH Lee. 2003. The flora of Mt. Baekwoon in Chungcheongbuk-do. Kor. J. Env. Eco. 17:210-2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