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가족 특성이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amily Characteristic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on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Old Age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0 no.4, 2016년, pp.1 - 17  

박주희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characteristic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on the level of their later life preparation. This study randomly sampled a birth cohort between 1955 and 1963 consisting of participants living in Seoul, South Korea with a spouse and a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후준비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 붐 세대의 가족의 특성을 부부관계 특성과 자녀지원 및 자녀결혼여부를 포함해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후준비수준을 파악해 보고 노년기 진입을 눈앞에 둔 이들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는 정책이 무엇인지를 제안해 보고자 한다. 또한 가족 특성과 노후준비수준에 관련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행복한 삶의 기반이 되는 가족의 의미를 재정립하고 더불어 개인의 삶과 건강한 지역사회 구축에 유용한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후준비수준을 파악해 보고 노년기 진입을 눈앞에 둔 이들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는 정책이 무엇인지를 제안해 보고자 한다. 또한 가족 특성과 노후준비수준에 관련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행복한 삶의 기반이 되는 가족의 의미를 재정립하고 더불어 개인의 삶과 건강한 지역사회 구축에 유용한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 우리 사회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이후 그동안의 다수의 연구들은 노인에 집중되어 있으나 미래 한국사회의 고령화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게 될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후준비수준과 노후준비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미흡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해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후준비수준에 가족관계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배우자와 자녀가 있는 1955년에서 1963년 출생 집단을 임의 추출하여 2016년 3월 2일부터 2016년 3월 20일까지 총 500부를 배포하여 455부를 회수하였다.
  • 그런데 가족 특성이 대체로 자녀관계 만족도(곽인숙, 2011), 자녀에 대한 부담(김순미 • 고선강, 2012)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 붐 세대의 가족의 특성을 부부관계 특성과 자녀지원 및 자녀결혼여부를 포함해 노후준비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후준비수준을 파악해 보고 노년기 진입을 눈앞에 둔 이들의 복지증진에 기여하는 정책이 무엇인지를 제안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이비부머 세대란? 이러한 현상과 더불어 특히 노년기에 진입하는 소위 베이비부머 세대의 고령화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베이비부머 세대란 전쟁이나 경기 침체 이후 출산율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시기에 출생한 집단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베이비부머는 1955년부터 1963년 출생자로서 2014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총인구의 14.
중년기 이후 부부관계가 중요해진 이유는 무엇인가? (1999; 김혜경, 2013에서 재인용)는 중년기 이후 부부관계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다. 첫째 정년 이후의 생존기간이 길어진 점, 둘째 남녀 모두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노년기에 배우자가 함께 생존하는 비율이 높아진 점, 셋째 자녀에게 의존하지 않고 독립하여 살기를 원하는 노인이 중가한 점, 넷째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노인 부부 세대가 증가한 점 등이다. 정경희 외(2010) 의 조사에 따르면 베이비부머는 노후에 함께 살기를 희망하는 동거자에 대해서, ‘부부끼리, 혹은 혼자 살고 싶다’는 응답률이 93.
베이비부머 세대의 연령대는 어느정도이며 이는 생애주기 중 무엇에 속하는가? 베이비부머 세대인 1955년에서 1963년 출생 집단은 2016년 현재 53세에서 61세에 해당하는 연령대로 생애주기로 보면 중년기에 속한다. 중년기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생의 주기에서 가장 생산적인 시기이면서 동시에 인생의 결정에서 과거를 바라보는 시기이며, 중년기는 결혼생활과 직업생활을 통하여 사회적 역할의 의미를 찾고 개인적인 삶의 의미와 가치를 재평가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인 삶의 의미를 찾는 시기라고 하였다(김유정,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3)

  1. 곽인숙(2011). 노인의 자녀와의 상호간 지원 교환이 성공적인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107-127. 

  2. 곽인숙.홍성희(2008). 남녀직장인의 인적자본 개발이 직무만족과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1), 107-120. 

  3. 권중돈(2011). 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4. 김미혜(2010). 베이비붐 세대의 노인준비 실태와 노후준비교육의 방향. 노인인력개발포럼, 5, 29-58. 

  5. 김성령(2011).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주의 가치관, 노후준비도,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수화(2012). 노인-기혼성인자녀 간 지원교환, 사회활동 및 성공적 노후 수준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순미.고선강(2012). 중년기 가정의 세대 간 경제적 자원이전과 노후생활준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59-76. 

  8. 김승권.박종서.김유경.김연우.최영준.손창균.윤아름(2012). 2012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 김영남(2015). 제주지역 중장년층의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 인식이 노후준비 정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완(2010). 우리나라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생활 준비 실태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유정(2009). 중년 부부의 삶의 의미: 코오리엔테이션 모델 적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윤정.강현정(2013). 베이부머의 사회활동 참여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도. 한국산학기술학논문지, 14(3), 1090-1099. 

  13. 김윤정.최윤희(2004).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가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4(2004.여름호), 197-214. 

  14. 김인숙(2004). 중년여성의 노후생활준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지영(2009). 중년층의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혜경(2013). 중고령 남녀의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결혼 유지.파탄 및 부부 만족도의 관련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7, 63-83. 

  17. 김혜진(2012).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제도 인지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2, 53-80. 

  18. 나지나.백승애.신응경, 김미혜(2010). 결혼해체를 경험한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제적 노후. 보건사회연구, 30(2), 29-54. 

  19. 문숙재.김순미(1997). 은퇴준비를 위한 재무계획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 가족생활주기적 관점의 재정복지실현을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지, 35(5), 1-15. 

  20. 박영란.홍백의(2011). 베이비부머 은퇴 후 생활지원을 위한 신복지모형 개발 연구. 보건복지부. 

  21. 박지숭(2012). 한국인은 어떤 여가활동을 하는가?: 40-50대 중년층을 중심으로.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22. 박진영(2006). 자산계층별 사교육비지출과 재무성과의 관련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6), 61-77. 

  23. 박창제(2008).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0(3), 275- 297. 

  24. 박태정(2013).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삶을 통해 본 일과 은퇴의 경험적 의미에 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13(3), 29-57. 

  25. 박현식(2012).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과 성공적 노후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58. 281-302. 

  26. 방하남.신동균.이성균.한준.김지경.신인철(2010).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근로생애. 한국노동연구원 

  27. 배문조(2009).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3), 1107-1122. 

  28. 보건복지부(2012). 노후준비지표 예비조사 결과. 

  29. 부말숙.김혜연(2007). 은퇴 후 노후생활 준비 정도에 대한 인식과 관련변수에 관한 연구; 30.40대 직장인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제60차 하계학술대회, 7-19 

  30. 서 전(2004). 중년기 가족의 노부모 부양 행동 및 노후 준비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서울복지재단(2015). 서울시 노인실태 및 욕구조사. 

  32. 서울시 보도자료(2015). 50+세대 인생이모작 실태 및 욕구조사 착수보고회 결과보고. 서울시 보도자료, 2015.12.16. 

  33. 송양민(2010). 베이비붐세대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파주: 21세기 북스. 

  34. 신승희(2010). 중년층이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어성연.조희금.고선강(2010). 전문직 미혼 남녀의 만혼현상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 경영학회지, 14(2), 1-19. 

  36. 이미숙(2009). 고령화연구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 건강불평등의 구조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25, 5-32. 

  37. 이선형(2007). 중년기 가구의 노인 및 자녀 세대 부양과 노후준비과의 관계.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이선형.문은영.김보람(2014). 젠더관점에서 본 서울시 베이비부머의 가족생활실태및지원 방안. 서울시여성가족재단. 

  39. 이소정(2009). 우리나라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인식과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147, 72-80. 

  40. 이윤경.정경희.정홍원.염주희.김세진(2013). 노후준비 지원 평가지표 개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건복지부. 

  41. 이은경(2002). 중년기부부의 가족주의 가치관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동부산대학 논문집, 21, 715-744. 

  42. 이정연(1987). 주부의 결혼만족도와 관련변수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25(1), 105-119. 

  43. 이정화(2009). 광주.전남 중년층의 노년기 인식과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2), 275-289. 

  44. 임은경(2013).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도, 노후불안과 삶의 질 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임희정(2003). 중년층의 건강상태와 노후준비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6. 정경희(2011). 베이비 붐 세대의 제 특성 및 복지욕구. 보건복지포럼, 174, 5-10. 

  47. 정경희.이금룡.홍백의.이수연.김소영.권중돈.김기흥.선우덕.우석진.이소정.박영란.정석인.정순둘.천현숙.한경혜(2011). 베이비 붐 세대 은퇴 및 고령화에 따른 정책수립 방향 연구. 보건복지부.보건사회연구원. 

  48. 정경희.이소정.이윤경.김수봉.선우덕.오영희.김경래.박보미.유혜영.이은진(2010). 베이비 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9. 정순돌.이현희(2012). 가족특성과 노후준비의 관계: 베이비붐 세대와 예비노인세대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58, 209-231. 

  50. 정영옥(2014). 중고령자의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자녀관련 특성 중심으로. 덕성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조추용.송미영.이근선(2009).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43, 135-156. 

  52. 차성란(2012).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미래 사회적 자본: 베이비붐 세대의 집단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1), 67-83. 

  53. 최재석(2009). 한국의 가족과 사회. 파주: 경인문화사. 

  54. 추기철(2000). 한국 중년층의 노후대책에 대한 실증적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홍성희(2006). 중년기 봉급생활자의 노후부양 책임에 따른 노후 경제적 준비. 과학논문집, 32, 135-152. 

  56. 통계청(2010). 통계로 본 베이비 붐 세대의 어제와 오늘. 

  57. 통계청(2011). 2011년 사회조사 결과. 

  58. 통계청(2014). 2014 혼인.이혼통계. 

  59. 한경혜(2011). 한국 베이비붐세대의 가족에 대한 이해.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60. 홍성희.곽인숙 (2007). 중년기 남녀 봉급생활자의 은퇴계획 비교분석: 경제적 준비와 건강 준비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193-207. 

  61. 홍성희.곽인숙(2014). 성인자녀와의 지원교환이 중년부모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69-91. 

  62. Baek, E. & DeVaney, S.(2004). Assessing the baby boomers' financial welllness using financial ratios and a subjective measure.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32(4), 321-348. 

  63. DeVaney, S. A.(1995). Retirement preparation of older and younger baby boomers.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6, 25-34. 

  64. Erickson, E. H.(1994).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65. Kinckman, J. R. & Snell, E. K.(2012). The 2030 problem: Caring for aging baby boomers. Health Service Research, 37(4), 849-884. 

  66. Laslett, P. (1991). A fresh map of life: The emergence of the third ag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67. Lazarus, R. S. & Folkman, S.(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68. Maples, M. F. & Abney, P. C. (2006). Baby boomers mature and gerontological counseling comes of age.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4, 3-9. 

  69. Radner, D. B.(1998). The retirement prospect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Social Security Bulletin, 61, 3-19. 

  70. Rusell, C. (1993). The master trend: How the baby boom generation is remarking America. New York: Plenum Press. 

  71. Straudinger, U.M. & Bluck.(2001). A view on midlife development from llife-span theory. In M. E. Lanchman(Ed). handbook of midlife development (pp. 345-394). New York: John Willy. 

  72. Whitbourne, S. K. (2001). The psychological aging process in midlife: Interactions with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factors. In M. E. Lachman(Ed), handbook of midlife development, (pp. 109-155). New York: John Willy. 

  73. Zapolsky, S. (2003). Baby boomers and retirement. In Lois, A. V.(ed.) Encyclopedia of Retirement and Finance. Wetport, CT: Greenwood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