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물리실험에서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실험보고서 적용 가능성 탐색
A Study on Application of Reflective Thinking-Based Laboratory Report in General Physics Experiment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0 no.3, 2016년, pp.203 - 218  

이윤희 (한국교원대학교) ,  최혁준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반성적 사고를 강조하는 실험보고서를 도입하여 이러한 실험보고서의 적용이 학습자의 메타인지능력과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일반물리실험을 수강하는 대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실험보고서 작성을 도입한 후 일반적인 실험보고서를 작성한 학생들과 메타인지능력과 탐구능력의 변화를 비교하고,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실험보고서를 사용한 학생들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실험보고서를 작성한 학생의 메타인지능력이 일반적인 실험보고서를 사용한 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이들의 탐구능력도 일반적인 실험보고서를 사용한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결과, 설문 참여자들은 대체로 이러한 실험보고서가 복습과 메타인 지능력 및 탐구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며, 향후 교사가 되면 이 보고서 양식을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flective thinking-based laboratory report on learners' metacognition and inquiry skills. In a general physics experiment class consisting of 11 experiments, 20 college students used reflective thinking-based laboratory report, and the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험 목적과 더불어 실험 목적에서 밝힌 사실과 관련된 내용을 자연현상이나 실생활에서 찾아 적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실험 목적을 보다 명확히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험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와 개념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White & Frederiksen, 1998).
  • 일반물리실험2 강좌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전자기와 광학 분야의 동일한 11개 실험으로 구성 되었으며, 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은 동일한 강의자에 의해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되었고, 단지 전체 보고서의 양식 중 수업 이후 학생들이 작성하는 부분만 차이가 있다. 실험집단에게는 1차시 강의 소개를 하며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실험 보고서의 작성 방법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였다.
  • 이 연구는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실험보고서를 사용하였을 때 학습자의 메타인지능력과 탐구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밝힘으로써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물리실험에서 이러한 실험보고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 학기동안 일반물리실험에서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실험보고서를 사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실험 보고서를 사용한 비교집단의 메타인지능력과 탐구 능력의 변화를 비교하고,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실험보고서를 사용한 학생들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탐구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White & Frederiksen(1998)이 개발한 ‘연구 평가를 위한 기준(Criteria for Judging Research)’을 번안한 Jeong(2011)의 탐구 단계별 반성적 자기평가 활동지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탐구능력을 평가하는 자기평가식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실험 준비 및 수행을 위한 추가적인 시간 사용이 필요 없이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실험보고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생이 아닌 예비과학교사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실험보고서 양식을 개발하였다. 반성적 사고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수업의 본질은 무엇인가? 실험활동은 과학 과목을 다른 과목과 구분 짓는 독특한 요소로서(Kim & Oh, 1998) 과학 수업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학생의 과학탐구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 과학 수업의 본질인데(Kang et al., 2009),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과학과의 목표를 기술하며 탐구능력을 언급할 때 이 탐구능력은 과학 수업에서의 실험활동과 연계되어 탐구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하나로 실험 수업이 강조되는 경우가 많다(Bybee, 2000).
요리책 식의 실험은 무엇인가 , 2003), Hofstein & Lunetta(1982)는 실험 수업이 학생의 과학적 이해와 흥미,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며 과학 실험 실습 능력과 문제해결능력,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킨다고 보았다. 하지만 제시된 실험 절차에 따라서 단지 실험을 진행하는 소위 ‘요리책’ 식 실험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가 존재한다(Abrahams & Millar, 2008; Hofstein & Lunetta, 2004; Marzin & de Vries, 2013; Millar, 2004). 
요리책 식의 실험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2004), 교사가 제시한 실험과정을 그대로 따라하는 비탐구적 수업이다(Yang & Cho, 2005). 이와 같이 실험절차가 제시된 실험에서는 학습자가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거나 해결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으며(Yoon et al., 2004), 학생의 과학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기회가 제공되기 어렵다(Yang, Kim & Cho,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brahams, I., & Millar, R. (2008). Does Practical Work Really Work?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practical work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4), 1945-1969. 

  2. Berg, C. A. R., Bergendahl, V. C. B., Lundberg, B. K. S., & Tibell, L. A. E. (2003). Benefiting from an open-ended experiment? A comparison of attitudes to, and outcomes of, an expository versus an open-inquiry version of the same experi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3), 351-372. 

  3. Bringle, R. G., & Hatcher, J. A. (1999). Reflection in service learning: Making meaning of experience. Educational Horizons, 77(4), 179-185. 

  4. Bybee, R. W. (2000). Achieving science literacy. Science Teacher, 62(7), 28-33. 

  5. Dewey, J. (2011). How we think. (H.-W. Jung, Trans.). Seoul: Hakeesisub. (Original work published 1910) 

  6. Driver, R. (1989). Student’s conceptions and learning of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5), 481-490. 

  7. Given, B. K. (2002). Teaching to the brain's natural learning systems.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8. Gupta, V. (2001). Aims of laboratory teaching. CDTL Brief, 4(1), 1-3. 

  9. Hofstein, A., & Lunetta, V. N. (1982). The role of the laboratory in science teaching: Neglected aspects of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2(2), 201-217. 

  10. Hofstein, I., & Lunetta, V. N. (2004). The laboratory in science education:Foundatio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Science Education, 88(1), 28-54. 

  11. Jeong, A. J. (2011). The effects of metacognition strategy based on reflective self-assessment on the understanding of the genetic concept and metacognition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2. Kang, M., Im, Y., Kim, M., & Kim, J. (2009). The difference between two scaffolding typ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inquiry skills for WISE-based science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1(1), 1-19. 

  13. Keys, C. W., Hand, B., Prain, V., & Collins, S. (1999).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s a tool for learning from laboratory investigations in second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10), 1065-1084. 

  14. Kim, J., & Oh, W. K. (1988). The problems which appeared in 13 year old pupils performing experiment of textbook: Pupils suggested aims, their identifying relevant variables,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suggested aims and the drawn conclusion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8(1), 35-42. 

  15. Kim, O-B., An, U.-H., Kim, E.-A., Ko, M.-S., & Yang, I. (2013). Analysis of the types of teachers' questioning in verification laboratory instruction and discovery laboratory i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33(7), 1354-1366. 

  16. Kim, S. (2009). The effects of metacognitive ability and the question-generation strategy on the type of ques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7. Kwon, J., & Kim, B. (1994).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4(3), 251-264. 

  18. Larson, A. (1991). "Rerun" your labs. The Science Teacher, 58(6), 72. 

  19. Lee, E. J. (2010). A study of direct teaching strategy of inquiry skills applying meta-cogni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0. Lee, Y., & Im, S. (2011).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bout scientific experiment in experimental journal writing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2), 198-209. 

  21. Manen, M. V. (1977). Linking ways of knowing with ways of being practical. Curriculum Inquiry, 6(3), 205-228. 

  22. Marzin, P., & de Vries, E. (2013). Students’ design of a biometric procedure in upper secondary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 23(2), 361-376. 

  23. Millar, R. (2004, October). The role of practical work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cience. Paper prepared for the Committee: High School Science Laboratories: Role and Visio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Washington, D.C. 

  24. Park, H. (2013). A study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ce lessons with experim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1), 79-86. 

  25. Park, S., & Moon, S. (2013).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laboratory class on the creative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33(7), 1259-1272. 

  26. Rozen, M. T., & Kramarski, B. (2014).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emotions:Contribu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to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Global Education Review, 1(4), 76-95. 

  27. Schraw, G., & Dennisun, R. S. (1994). Assessing metacognition awareness. Contemporary Education Psychology, 19(4), 460-475. 

  28. Sohn, E. (2003). Reflective thinking and professionalism. Student Life Research, 28, 31-54. 

  29. White, B. Y., & Frederiksen, J. R. (1998). Inquiry, modeling, and metacognition:Making science accessible to all students. Cognition and Instruction, 16(1), 3-118. 

  30. Yang, I.-H., & Cho, H.-J. (2005). Review on the aims of laboratory activities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4(3), 268-280. 

  31. Yang, I., Kim, S., & Cho, H. (2007). Analysis of the types of laboratory instruc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cience.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3), 235-241. 

  32. Yoon, D.-G., Kim, S.-H., Cha, H., Lee, K.-J., & Chung, W.-H. (2004). Application effects of biology modules for improving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creativity and science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3), 556-5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