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나트륨과 칼륨 섭취 현황 및 기여음식 : 2010-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분석
A Comparison of Sources of Sodium and Potassium Intake by Gender, Age and Regions in Korean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0-2012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6, 2016년, pp.558 - 573  

박양희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상진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ain sources of dietary sodium and potassium intake in Koreans by gender, age and regions. Methods: We used the data from 2010-2012 KNHANES. A total of 20,387 subjects aged 8 years and older were included. Intakes were compared by gender, a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나트륨 섭취 현황 및 그 급원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식품 단위가 아닌 조리과정을 거치면서 추가되는 나트륨량을 고려한 음식 단위를 통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대표적인 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현재 우리나라 국민의 나트륨 및 칼륨의 섭취상태와 각각의 영양소섭취에 기여하는 주요 음식군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대상의 세분화를 통해 각 대상에 따라 섭취하는 칼륨과 나트륨의 주요 급원 및 양상의 차이를 밝혀내어 대상에 따른 각기 다른 나트륨 저감화 교육 방안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의 건강수준을 파악하고 국가의 건강정책을 수립·평가하는데 필요한 기초통계를 생산하는 조사로 건강설문조사, 검진조사, 영양조사로 구성되어 있다. 영양조사는 식품 및 영양섭취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며 식생활조사, 식품섭취조사, 식품섭취빈도조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연구는 24시간 식사회상 조사를 통해 수집된 식품섭취자료를 분석하여 수행되었다. 식품섭취자료는 중량으로 환산된 식품섭취량과 이에 농촌자원개발연구소의 식품성분표와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개발한 눈대중, 음식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하여 계산한 열량, 다량영양소, 나트륨, 칼륨을 포함한 미량영양소 섭취량를 포함하고 있다[2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대표적인 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현재 우리나라 국민의 나트륨 및 칼륨의 섭취상태와 각각의 영양소섭취에 기여하는 주요 음식군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대상의 세분화를 통해 각 대상에 따라 섭취하는 칼륨과 나트륨의 주요 급원 및 양상의 차이를 밝혀내어 대상에 따른 각기 다른 나트륨 저감화 교육 방안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트륨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나트륨은 체내 세포 외액의 중요한 양이온으로써 삼투압 유지와 수분 평형, 신경자극 전달 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나트륨의 체내필요량은 미량인데 반해 과량의 나트륨의 섭취는 신장, 신경 및 혈관계에 걸쳐 다양하게 악영향을 미친다[1, 2].
소금의 과도한 섭취는 어떠한 문제를 일으키는가? 그러나 나트륨의 체내필요량은 미량인데 반해 과량의 나트륨의 섭취는 신장, 신경 및 혈관계에 걸쳐 다양하게 악영향을 미친다[1, 2]. 나트륨의 주요급원인 소금의 과도한 섭취는 혈장 부피를 증가시키고 혈압을 올리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며[3, 4] 특히 고혈압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환경적 요소로 알려져 있다. 
나트륨과 칼륨 모두의 섭취를 동시에 보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한 이유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나트륨 섭취량과 Na/K ratio은 혈압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칼륨섭취는 혈압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17]. 이를 바탕으로 나트륨 섭취를 줄이고 칼륨 섭취를 늘리는 것은 혈압을 낮추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권고하고 있으며 또한 Na/K ratio을 1에 가깝게 낮추는 경우 고혈압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으며[18, 19] Du 등의 연구는 나트륨과 칼륨 각각의 섭취보다 나트륨/칼륨의 비율이 고혈압에 더욱 유의하게 연관이 되어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5]. 특히 Na/K ratio에 따라 고혈압의 위험성을 남성의 경우 10%, 여성의 경우 최대 20%까지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이기도 하는 등 나트륨과 칼륨의 복합적인 작용이 혈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14]. 그러므로 나트륨 혹은 칼륨의 섭취를 따로 보는 것보다 나트륨과 칼륨 모두의 섭취를 동시에 보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Meneton P, Jeunemaitre X, de Wardener HE, MacGregor GA. Links between dietary salt intake, renal salt handling,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Physiol Rev. 2005; 85(2): 679-715. 

  2. Shin HH. Dietary sodium inta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3): 391-393. 

  3. Cappuccio FP, Kalaitzidis R, Duneclift S, Eastwood JB. Unravelling the links between calcium excretion, salt intake, hypertension, kidney stones and bone metabolism. J Nephrol 2000; 13(3): 169-177. 

  4. Tannen RL. Effects of potassium on blood pressure control. Ann Intern Med. 1983; 98(5 Pt 2): 773-780. 

  5. Prospective Studies Collaboration. Age-specific relevance of usual blood pressure to vascular mortality: a meta-analysis of individual data for one million adults in 61 prospective studies. Lancet 2002; 360(9349): 1903-1913. 

  6. Statistics Korea.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2014 [cited 2015 Dec 02].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eng/index.action. 

  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Internet].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cited 2016 Dec 08].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8. Yon M, Lee Y, Kim D, Lee J, Koh E, Nam E et al. Major sources of sodium intake of the Korean population at prepared dish level: based on the KNHANES 2008 & 2009.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4): 473-487. 

  9. Song BH, Hwang SH, Lee JD, Kim HJ, Chung HR, Moon HK. A study on the mineral contents of Korean common food and analytical methods 1. sodium. Korean J Food Hyg 1991; 6(3): 139-145. 

  10. Kwak HS, Kim MS, Lee YS, Jeong YH. Long-term change in consumer acceptance for salt reduced 'udon noodle soup' over repeated intake at home. Int J Food Sci Technol 2015; 50(2): 541-548. 

  11. Campese VM, Romoff MS, Levitan D, Saglikes Y, Friedler RM, Massry SG. Abnormal relationship between sodium intake and 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ity in salt-sensitive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Kidney Int 1982; 21(2): 371-378. 

  12. Moon HK, Park JH.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 between with and without hypertension using 200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J Nutr Health 2007; 40(4): 347-361. 

  13. Brunette MG, Mailloux J, Lajeunesse D. Calcium transport through the luminal membrane of the distal tubule I. Interrelationship with sodium. Kidney Int 1991; 41(2): 281-288. 

  14. Hu G, Tian H. A comparison of dietary and non-dietary factors of hypertension and normal blood pressure in a Chinese population. J Human Hypertens 2001; 15(7): 487-493. 

  15. Du S, Batis C, Wang H, Zhang B, Zhang J, Popkin BM. Understanding the patterns and trends of sodium intake, potassium intake, and sodium to potassium ratio and their effect on hypertension in China. Am J Clin Nutr 2014; 99(2): 334-343. 

  16. Umesawa M, Iso H, Date C, Yamamoto A, Toyoshima H, Watanabe Y et al. Relations between dietary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mortality from cardiovascular disease: the Japan Collaborative Cohort Study for Evaluation of Cancer Risks. Am J Clin Nutr 2008; 88(1): 195-202. 

  17. Noh HM, Park SY, Lee HS, Oh HY, Paek YJ, Song HJ et al. Association between high blood pressure and intakes of sodium and potassium among Korean adults :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2. J Acad Nutr Diet 2015; 115(12): 1950-1957. 

  18. Dahl LK. Salt intake and hypertension, in Hypertension: Physiopathology and Treatment.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1977. P. 548-559. 

  19. Lim HJ. A study on the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urinary excretion of adult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6): 737-751. 

  20. Song DY, Park JE, Shim JE, Lee JE. Trends in the major dish groups and food group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0. Korean J Nutr 2013; 46(1): 72-85. 

  21. Fregly MJ. Estimates of sodium and potassium intake. Ann Intern Med 1983; 98(5 Pt 2): 792-799. 

  22. Kim YS, Paik HY. Measurement of Na intake in Korean adult females. Korean J Nutr 1987; 20(5): 341-349. 

  23. Son SM, Huh GY, Lee H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and short DFQ using Na Index for estimation of habitual sodium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5): 677-692. 

  24.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Guideline for Nutrition Survey: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Internet].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cited 2016 Dec 15].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26. Jackson S, King S, Zhao L, Cogswell M. Prevalence of excess sodium intake in the United States - NHANES, 2009-2012. Morb Mortal Wkly Rep 2016; 64(52): 1393-1397. 

  27. Park YS, Son SM, Lim WJ, Kim SB, Chung YS.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by gender and age.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1): 1-12. 

  28. Son SM, Park YS, Lim HJ, Kim SB, Jeong YS. 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with 24-hou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and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regional area and dish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5): 545-558. 

  29.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The Third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Nutrition Survey(II) [Internet]. Korea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6 [cited 2015 Dec 02]. Available from: http://www.khidi.or.kr/kps. 

  30. Lee HS, Duffey KJ, Popkin BM. Sodium and potassium intake patterns and trends in South Korea. J Hum Hypertens 2013; 27(5): 298-303. 

  31. Bailey R, Parker E, Rhodes D, Goldman J, Clemens J, Moshfegh A et al. Estimating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their ratio in the American diet: Data from the 2011-2012 NHANES. J Nutr 2016. Forthcoming. 

  32. World Health Organization.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Report of a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Internet]. WHO; 2003 [cited 2016 Dec 15]. Available from: http://whqlibdoc.sho.int/trs/WHO_TRS_916.pdf. 

  33. Yi S, Curtis C, Angell S, Anderson C, Jung M, Kansagra S. Highlighting the ratio of sodium to potassium in population-level dietary assessments: cross-sectional data from New York City, USA. Public Health Nutr 2014; 17(11): 2484-2488. 

  34. Du S, Batis C, Wang H, Zhang B, Zhang J, Popkin BM. Understanding the patterns and trends of sodium intake, potassium intake, and sodium to potassium ratio and their effect on hypertension in China. Am J Clin Nutr 2014; 99(2): 334-343. 

  35. Esmaillzadeh A, Kimiagar M, Mehrabi Y, Azadbakht L, Hu FB, Willett WC. Fruit and vegetable intakes, C-reactive protein, and the metabolic syndrome. Am J Clin Nutr 2006; 84(6): 1489-1497. 

  36. Shin DS, Joh HK, Kim KH, Park SM. Benefits of potassium intake on metabolic syndrome: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Atheroscler 2013; 230(1): 80-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