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하수오 표고균사(Lentinula edodes JMI-10079) 배양 최적조건 탐색을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표고균사로 배양된 하수오의 일반성분, 아미노산, 무기성분을 분석하였다. 하수오 표고균사 배양 최적온도는 생장속도는 $25^{\circ}C$ 였으며, pH 5~8의 범위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하수오 표고균사 배양 최적 탄소원은 glucose였으며, 질소원은 malt extract로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적하수오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지방 함량과 조회분 함량은 적하수오 발효물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섬유 함량은 대조구에서 36.3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6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총 구성아미노산 및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적하수오 발효물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하수오 100%에서도 표고균사배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향 후 대량생산을 시도할 때 공정조건이 간편할 것으로 보인다. 성분 분석 결과에서도 하수오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질, 조회분, 총 아미노산 및 potassium을 제외한 무기성분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여, 향 후 표고균사 배양 하수오를 이용한 식품개발이 기대되어 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 for Lentinula edodes JMI-10079 mycelium cultivation on the root of Polygonum multiflorum. We also analyzed the proximate composition, total amino acids, and minerals in the root of P. multiflorum cultivated with L. edodes JMI-10079 mycel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하수오를 표고균사로 발효하여 건강식품 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표고균사 발효 하수오 생산조건 확립을 위하여 하수오를 배지로 한 표고균사의 생장 조건을 탐색하였다. 또한 표고발효 하수오의 일반성분, 아미노산 및 무기성분을 분석하여 표고균사 배양에 따른 하수오의 성분을 구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간에서 사용된 하수오의 효능은? , 2003). 민간에서는 하수오 유래를 바탕으로 허약하여 땀이 많고 빈혈이 있거나 불면증, 변비 등에 사용해왔고(Yim et al., 1998), 해독작용이 있어 결핵성 림프염에도 사용하였다(Xiao et al). 또한 장복할 경우 혈압강하 및 동맥경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민간요법으로 이용되어 왔다(Choi et al., 2012).
하수오 표고균사 배양 최적조건을 탐색한 결과 배양 최적 질소원은? 하수오 표고균사 배양 최적온도는 생장속도는 25℃ 였으며, pH 5~8의 범위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하수오 표고균사 배양 최적 탄소원은 glucose였으며, 질소원은 malt extract로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적하수오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수오 표고균사 배양 최적조건을 탐색한 결과, 표고균사로 배양된 적하수오의 아미노산 함량과 적하수오 발효물 첨가량의 관계는? 3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6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총 구성아미노산 및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적하수오 발효물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하수오 100%에서도 표고균사배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향 후 대량생산을 시도할 때 공정조건이 간편할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OAC. 1996.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10-219. 

  2. Ahn KS, Noh EJ, Zhao HL, Jung SH, Kang SS, Kim YS. 2005.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 II by Platycodon grandiflorum saponins via suppression of nuclear factor- ${\kappa}B$ activation in RAW 264.7 cells. Life sci. 76:2315-28. 

  3. Bae IY, Yoon EJ, Woo JM, Kim JS, Yang CB, Lee HG. 2002.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wine using the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I. Characteristics of mashes and sojues. J Kor Appl Biol Chem. 45:11-7. 

  4. Chan YC, Wang MF, Chang HC. 2003. Polygonum multiflorum extracts improve cognitive performance in senescence accelerated mice. American J Chinese med. 31:171-9. 

  5. Choi HM. 2009. 21C The Science of Nutrition. Kyomunsa Co. Seoul, Korea, p 42. 

  6. Choi JH, Lee HS, Kim YE, Kim BM, Kim IH, Lee CH. 2012. Effect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957-62. 

  7. Choi MJ. 2009. Effects of arginine supplementation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arkers in OVX rats. Korean J Nutrition. 42:309-17. 

  8. Fan Q. 2012. Evaluation of anthraquinone conte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b with different preparation, MS thesis, Chonbuk University, Korea. 45-53. 

  9. Fujii T, Maeda H, Suzuki F, Ishida N. 197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antitumor polysaccharide, KS-2, extracted from culture mycelia of Lentinus edodes. J antibiotics. 31:1079-90. 

  10. Hamuro Jt, Chihara G. 1985. Lentinan, a T-cell oriented immunopotentiator: its experimental and clinical applications and possible mechanism of immune modulation. Immune modulation agents and their mechanisms. 409-36. 

  11. Hobbs C. 2000. Medicinal value of Lentinus edodes (Berk.) Sing.(Agaricomycetideae). A literature review. Inter J Med Mushrooms 2. 

  12. Hong JS, Lee KR, Kim YH, Kim DH, Kim MK, et al. 1988.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Korean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606-12. 

  13. Hong J. 1980. Nutrition value and medicine efficacy of mushroom. Food Ind. 53:79-84. 

  14. Kim HR, Lee JH, Kim YS, Kim KM. 2007.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nzyme activities of Icheon Ge-Geol radish, Gangwha turnip, and Korean radish. Korean J Food Sci Technol. 39:255-9. 

  15. Kim KJ. 1990. Biotechnology for the production of threonine production. J Pharm Soc Korea. 34: 447-456. 

  16. Ko JW, Lee WY, Lee JH, Ha YS, Choi YH. 1999. Absorption characteristcs of dried shiitake mushroom powder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128-37. 

  17. Lee GS, Park G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different ratios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b powder. Kor J food cook Sci. 27:35-46. 

  18. Lee KB, Yang JB, Ko MS. 2008. Food Analysis. Yoohan Publishing Co., Seoul, Korea. 160-171. 

  19. Lee TS, Cho NS, Min DS. 1998. Effect of sawdust culture on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Berk.) Pegler by inoculation of the liquid spawn. J Kor Wood Sci Technol. 26:19-28. 

  20. Lee WH, Kim IY, Ko HG, Kim SC, Choi SG, Noh JH, Park HS. 2014.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of fruiting body in Lentinula edodes. J mushrooms 12:24-28. 

  21. Munyoung SA (1999) KFDA : Food Code (a separate volume). Seoul Korea. 262-268. 

  22. Mizuno T. 1995. Special issue on mushrooms-the versatile fungus: food and medicinal properties, chemistry, biochemistry, biotechnology and utilization. 

  23. Noh JH, Ko HG, Park HS, Koo CD. 2015. Selection of parental strain on the sawdust cultivation and mycelial growth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Lentinula edodes hybrid strains. J Mushrooms. 13:41-49. 

  24. Pei F, Shi Y, Gao X, Wu F, Mariga AM. 2014. Changes in nonvolatile taste components of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during different stages of freeze drying and freeze drying combined with microwave vacuum drying. Food chem. 165:547-54. 

  25. Ross GD, Vetvicka V, Yan J, Xia Y, Vetvickova J. 1999. Therapeutic intervention with complement and ${\beta}$ -glucan in cancer. Immunopharmacology. 42:61-74. 

  26. Shim KK, Yoo YJ, Koo CD, Kim MK. 2014. Changes of nutrients in media and mycelia on liquid spawn culture of Lentinula edodes. Korean J Mycology. 42:144-9. 

  27. Sin HS (1987) Food Analysis, Shinkwang Publishers Co., Seoul, Korea. 70-83. 

  28. Stamets P. 2000. Growing gourmet and medicinal mushrooms. Ten Speed Press Berkeley. 

  29. Steven A, Dennis P. 1993. Synthesis of a fluorescent derivatizing, 6-aminoquinoly-N-hydroxysuccinimidyl carbamate and its application for the analysis of hydrolysate amino acid vi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 Biochem. 211:1-9. 

  30. Strydom D, Cohen S. 1993. Sensitive analysis of cystine/cysteine using 6-aminoquinolyl-N-hydroxysuccinimidyl carbamate (AQC) derivatives. Tech Protein Chem. 299. 

  31. Takehara M, Kuida K, Mori K. 1979. Antiviral activity of virus-like particles from Lentinus edodes (Shiitake). Arch virol 59:269-74. 

  32. Varoquaux P, Gouble B, Barron C, Yildiz F. 1999. Respiratory parameters and sugar catabolism of mushroom (Agaricus bisporus Lange). Postharv Biol Technol. 16:51-61. 

  33. Xiao PG, Xing ST, Wang LW. 1993. Immunological aspects of Chinese medicinal plants as antiageing drugs. J ethnopharmacology. 38:159-65. 

  34. Yamamoto Y, Shirono H, Kono K, Ohashi Y. 1997. Immunopotentiating activity of the water-soluble lignin rich fraction prepared from LEM-The extract of the solid culture medium of Lentinus edodes mycelia-. Bioscie biotechnol biochem. 61:1909-12. 

  35. Yang KM, Cho SY, Seo JS. 1988. Effects of dietary methionine level on lipid peroxidation and hepatic morphology in rat. J Kor Soc Food Sci Nutr. 17:376-83. 

  36. Yim S, Kim M, Koo S. 1991. Determination of dietary fiber contents in mushrooms. Korean J Soc Food Sci. 7:69-76. 

  37. Yim TK, Wu W, Mak DHF, Ko KM. 1998. Myocardial protective effect of an anthraquinone-containing extract of Polygonum multiflorum ex vivo. Planta medica. 64:607-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