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속이 낮은 정체수역에 대하여 부영양화에 의한 녹조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수질개선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존 인공식물섬 운영기술에 다양한 요소기술을 도입한 다기능 인공식물섬을 개발하였고 개발기술에 대한 성능검증을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하는 하천에서 여름철과 겨울철 동안에 모니터링 하였다. 본 연구의 다기능 인공식물섬은 수질정화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 정수식물 기반의 식생여과 공정 위주의 일반 인공식물섬 기술에 미세기포 공정과 인공여재에 의한 인 흡착/여과 공정을 추가하여 운영하였다. 개발기술에 대한 계절에 따른 오염물질 (COD, T-P) 제거율 변화로부터 오염부하가 낮은 겨울철 (15.9%, 20.0%)보다는 부하가 높은 여름철 (40.9%, 45.7%)에 높은 처리효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정별 제거율 (SS, Chl-a)에서는 미세기포 공정은 여름철 (33.1%, 39.2%)에, 인 흡착/여과 인공여재 및 식생여과 공정은 겨울철 (76.5%, 59.5%)에 높은 제거효율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어 다기능 인공식물섬의 정화능은 계절별 변화 또는 오염부하 정도에 따라서 적용 기술별로 제거능을 나타내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인공식물섬 주변의 생태변화 분석결과, 식물섬 저부에 미세기포의 공급으로 용존산소가 증가됨으로써 혐기화에 의한 물질환원 현상을 방지하고 수류순환을 유도하여 친환경적인 새로운 수생태계가 조성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들을 통하여 다기능 인공식물섬에 의하여 정체수역의 수질이 개선되고 다양한 동식물의 성장으로 정체수역 저부의 물질순환이 개선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lti-functional floating wetland island (mFWI) was developed in order to prevent algal bloom and to improve water quality through several unit purification processes. A test bed was applied in the stagnant watershed in an urban area, from the summer to the winter season. For the advanced treat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미세기포 발생장치와 흡착여재 기반의 여과 및 식생정화 등의 요소기술이 적용된 다기능 인공식물섬를 이용한 수질정화능의 성능검증을 위하여 실규모로 테스트베드를 하천에 구축하고, 겨울철과 여름철 각각 약 3개월 동안의 현장 운영 결과를 중심으로 기술의 성능결과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흐름이 낮은 정체수역의 수질정화를 도모하고 오염물질에 의한 부영양화 및 녹조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질정화능이 강화된 인공식물섬 기술을 개발 중에 있고 파일럿 규모로 하천현장에 적용하여 기술의 성능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식물섬에 식재된 수생식물의 역할은 무엇인가? 인공식물섬에 식재된 수생식물은 수중으로 뿌리를 내려 수중의 질소, 인 등의 영양물질을 흡수하여 생장하기 때문에 하천 및 호소의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부들, 꽃창포, 부레옥잠 등을 이용한 연구사례가 보고되고 있고 이러한 정수식물을 인공식물섬에 식재하기 위하여 가벼우면서도 식물을 지지할 수 있는 인공토양을 사용하는데 이와 더불어 수중 오염물질을 여과 및 흡착시켜 제거할 수 있는 인공경량골재로 식생기반재를 사용한다 (Choi et al.
인공식물섬이란 무엇인가? 이와 같이 오염되는 하천수 또는 호소수 수역의 수질개선을 도모하고 이에 따른 부영양화 및 녹조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공식물섬 기술이 제안되어 왔다. 부체를 활용하여 제작된 식물섬에 식생생태를 조성하여 수체내의 유기물 및 영양염류를 제거하는 시스템으로 정의되는 인공식물섬 (floating wetland island) 에 의한 수질정화기술은 독일에서 1972년에 처음 소개되 었고 국내에서는 1998년에 충남 아산의 마산저수지 수질 개선을 목적으로 처음으로 설치 및 적용되었다 (Lee et al. 1999, Kim et al.
하천횡단구조물이 설치되어 하천정체구간이 발생이 하면서 생기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2003). 이러한 정체구간으로 미처리된 하수처리수 등의 점오염원과 강우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에 동반된 비점오 염원이 유입되어 자연적으로는 부영양화 및 녹조발생을 일으켜 공중 보건상의 위협을 초래하고 정수공정에서는 응집침전 저하에 따른 약품비 증가, 여과지 폐색, 유해한 소독부산물 발생 등으로 처리비용이 증가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Park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M.J., Park, H.K., Byun, M.S., Jun, N.H. and Yun, S.H. 2010. Comparison of the growth of hydrophytes, aquatic biota and absorption of nutrient depending on the planting mat type of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6: 52-60. (in Korean) 

  2. Hubbard, R.K., Anderson, W.F., Newton, G.L., Ruter, J.M. and Wilson, J.P. 2011. Plant growth and elemental uptake by floating vegetation on a single-stage swine wastewater lagoon.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54: 837-845. 

  3. Chung, Y., Kwon, S.P. and Choi, Y.H. 1994. Application of dissolved air flotation for water treatment. KSWST Journal of Water Treatment 2: 81-96. (in Korean) 

  4. Kim, H.J., Kim, C.W. and Woo, H.S. 2003. Effects and alternatives influenced to ecological development of river-crossing struc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51: 42-58. (in Korean) 

  5. Kim, T.J., Jun, J.C., Seo, R.B., Kim, H.M., Kim, D.G., Jun, Y.S., Park, S.W., Lee, S.Y., Park, J.J., Lee, J.H., Lee, J.J. and Lee, E.J. 2014. An initiativ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algal blooms and Asian dust for regulation of algal blooms.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29: 285-296. (in Korean) 

  6. Kim, Y. and Jang, C. 2011. Production technology, property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23: 14-17. 

  7. Kim, Y.J., Huh, J.G., Nam, J.H., Kim, I.S., Choi, K.S., Choi, S.I. and Ahn, T.S. 2007. Bacterial abundances and enzymatic activities in the pore water of media of artificial floating island in Lake Paro.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43: 40-46. (in Korean) 

  8. Lee, K.S., Jang, J.R., Kim, Y.K. and Park, B.H. 1999. A study on the floating island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a reservoi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18: 77-82. (in Korean) 

  9. Li, X.N., Song, H.L., Li, W., Lu, X.W. and Nishimura, O. 2010. An integrated ecological floating-bed employing plant, freshwater clam and biofilm carrier for purification of eutrophic water. Ecological Engineering 36: 382-390. 

  10. Liu, S., Wang, Q., Sun, T., Wu, C. and Shi, Y. 2012.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microbubbles on the performance of the coagulation flotation process for coke wastewater. Journal of Chemical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87: 206-215. 

  11. Tchobanoglous, G., Burton, F.L., Stensel, H.D. and Metcalf & Eddy Inc. 2003.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and Reuse. McGraw-Hill, New York, USA. 

  12. Park, S.G., Cho, I.G., Kwon, O.B., Moon, J. S., Um, H.Y. and Hwang, S.J. 2008. Algae and nutrient removal by vegetated artificial floating island.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1: 93-98. (in Korean) 

  13. Song, H.L., Li, X.N., Wang, X.J. and Lu, X.W. 2011. Enhancing nitrogen removal performance of vegetated floating-bed by adding Hyriopsiscumingii lea and an artificial medium.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20: 2435-2441. 

  14. Takahashi, M., Chiba, K. and Li, P. 2007. Formation of hydroxyl radicals by collapsing ozone microbubbles under strongly acidic conditions.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B 111: 11443-11446. 

  15. Vogel, J.A. 2011. The Effects of Artificial Floating Wetland Island Construction Materials on Plant Biomas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Florida, St. Petersburg, USA. 

  16. Winston, R.J., Hunt, W.F., Kennedy, S.G., Merriman, L.S., Chandler, J. and Brown, D. 2013. Evaluation of floating treatment wetlands as retrofits to existing stormwater retention ponds. Ecological Engineering 54: 254-265. 

  17. Wu, Q. T., Gao, T., Zeng, S. and Chua, H. 2006. Plant-biofilm oxidation ditch for in situ treatment of polluted waters. Ecological Engineering 28: 124-130. 

  18. Yang, Z., Zheng, S., Chen, J. and Sun, M. 2008. Purification of nitrate-rich agricultural runoff by a hydroponic system. Bioresource Technology 99: 8049-80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