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호소에서 마이크로 버블 포기에 의한 수리학적 영향반경과 용존산소 분포
Hydraulic Impact Scope and Dissolved Oxygen Distribution by the Micro-bubble Aeration in an Artificial Lake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3 no.4, 2016년, pp.263 - 271  

최선화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박형석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호소 수체에 산소를 포기시켜 주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를 충남 아산에 위치하고 있는 죽산호에 설치하여 수체에 미치는 수리학적 영향반경과 용존산소 (DO) 농도 분포를 조사하였다. 수체에 미치는 수리학적 영향반경은 로다민 염료를 이용한 추적실험을 하였으며, 마이크로 버블 제트류의 수평방향으로 총 160 m 길이의 가이드라인을 설치하여 10 m 지점마다 수심 1 m, 2 m, 3 m에서 로다민 농도, 수온, DO 등을 측정하였다. 죽산호의 로다민 배경농도$0.3-0.5{\mu}g/L$이었고, 용액 주입 후 15분 이내에 20-40 m 거리까지 확산되었으며, 거리 50-120 m의 수심 2 m 지점에서 로다민 농도가 $3.1-12{\mu}g/L$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의 제트류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 범위는 40-50 m이고, 그 이후에는 이류 및 확산에 의한 영향으로 120 m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중 DO 농도는 경과시간과 이격 거리에 상관없이 7.4-12.6 mg/L의 농도를 유지하였고, 마이크로 버블 적용 전의 호소 바닥층 DO 0.2 mg/L에서 운영 후 8.0 mg/L 이상으로 DO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마이크로 버블 포기 기술은 농업용 호소의 수질 관리와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ydraulic impact scope and dissolved oxygen (DO) concentration distribution by the micro-bubble aeration in the Juksan Lake located in Asan city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A tracing experiment for hydraulic impact scope was used which constituted a 20% rhodamine sol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공기 중의 산소를 호소 수체에 포기시켜주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를 충남 아산에 위치하고 있는 죽산호에 설치하여 수체에 미치는 수리학적 영향반경과 DO 농도를 조사하였다. 마이크로 버블 포기장치 제트류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은 40-50 m이고, 그 이후 이류 및 확산에 의한 영향으로 120 m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수중 DO 농도는 경과시간과 이격거리에 상관없이 7.
  •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수질개선기술은 호소 저층에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저서층을 호기성 분해수역으로 개선시켜주는 자연친화적 정화기술이라고 판단되며, 향후 폭 넓은 적용이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죽산호에 설치되어 운영 중인 마이크로 버블 발생 장치를 대상으로 수체에 미치는 수리학적 영향반경과 호 내 DO 농도를 조사하여 농업용 호소의 수질관리 및 수질개선을 위한 계획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술은 무엇인가? 최근 2000년대 들어서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산소 포기 기술이 개발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술은 50 μm 이하의 기포를 발생시켜산소를 직접 포기하는 기술로 (Cha 2009), 이러한 미세기포는 1990년대에 일본을 중심으로 발생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2000년대에 들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Kim and Yamamoto 2013).
국내 호소의 수질은 무엇의 영향을 받고 있는가? 최근 기후변화 및 농업용 호소 유역의 도농복합형태 개발 등 오염원 증가로 농업용 호소의 수질오염도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이에 있다 (MAFRA and KRC 2014a). 국내 호소의 수질은 유역환경인자와 강우 시 유역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에 의한 영향, 호소 체류시간 등과 같은 수리수문학적 요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2015).
인공 호소와 대형 댐에서 주로 사용되는 수질개선기술들의 한계점은? 인공 호소와 대형 댐을 대상으로 한 호 내 수질개선기술은 그 동안 주로 수중 포기장치 및 물순환 장치, 그리고 녹조 제거를 주 대상으로 하는 가압부상공법 및 녹조 제거선등과 같은 물리화학적 기술 등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처리규모의 한계, 유지관리의 어려움, 경제성, 생태 ․ 환경적 영향 등의 문제점 때문에 실용화에 한계가 있었다 (MAFRA and KRC 2014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elanger, T.V. 1981. Benthic oxygen demand in Lake Apopka, Florida. Water Resources 15: 267-274. 

  2. Cha, H.S. 2009. Present state and future prospect for micro-bubble technology. Bulletin of Food Technology 22: 544-552. (in Korean) 

  3. Choi, S.H, Kim, H.D., Lee, T.H. and Park, W.Y. 2015. Study on main factors affecting water quality using a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in the agricultural lakes. Journal of the Korea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22: 82-97. (in Korean) 

  4. Gelda, R.K., Auer, M.T. and Effler, S.W. 1995. Determination of sediment oxygen demand by direct measurement and by inference from reduced species accumulation.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46: 81-88. 

  5. Kang, Y.M. and Song, H.G. 2000. Effect of bottom sediments on oxygen demand of overlying water in onshore of Lake Paldang.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3: 23-30. (in Korean) 

  6. Kim, B.C. and Cho, K.S. 1989. The hypolimnetic anoxic zone and the metalimnetic oxygen minimum layer in a deep reservoir Lake Soyang. Korean Journal of Limnology 22: 159-166. (in Korean) 

  7. Kim, G.R. 2013. Water treatment using by micro-bubble- domestic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 Fisheries Infrastructure Promotion Association 4(3): 37-42. (in Korean) 

  8. Kim, H.J. and Yamamoto, T.C. 2013. Implement of water quality environment using by micro-bubble - abroad application -. Journal of the Korea Fisheries Infrastructure Promotion Association 4(3): 43-48. (in Korean) 

  9. Kim, J.B. and Kim, G.R. 2013. Implement of water quality environment using by micro-bubble. Journal of the Korea Fisheries Infrastructure Promotion Association 4(3): 30-36. (in Korean) 

  10. Lim, J.Y, Kim, H.S., Park, D.S., Cho, Y.G., Song, S.J., Park, S.Y. and Kim, J.H. 2016. Characteristic of mixing and DO concentration distribution in aeration tank by microbubble supp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 251-259 (in Korean) 

  11. MAFRA and KRC. 2013. The Study on Water Quality Monitoring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s (2013). Rural Research Institut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and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Ansan, Korea. pp. 50-142. (in Korean) 

  12. MAFRA and KRC. 2014a. 2013 Annual Report on Agricultural Production. Rural Research Institut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and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Ansan, Korea. (in Korean) 

  13. MAFRA and KRC. 2014b. The Study on Convergence Technologi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Agricultural Water Treatment (I). Rural Research Institut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and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Ansan, Korea. (in Korean) 

  14. MAFRA and KRC. 2015a. The Study on Convergence Technologi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Agricultural Water Treatment (II). Rural Research Institut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and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Ansan, Korea. pp. 166-171. (in Korean) 

  15. MAFRA and KRC. 2015b. The Study on Management and Control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 Sediments. Rural Research Institut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and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Ansan, Korea. (in Korean) 

  16. Sommaruga, R. 1991. Sediment oxygen demand in manmade Lake Ton-Ton (Uruguay). Hydrobiologia 215: 215-221. 

  17. Takada, K. and Kato, K. 1991. Benthic oxygen consumption in Lake Suwa. Verhandlungen des Internationalen Verein Limnologie 24: 1091-1094. 

  18. Tomaszek, J. 1991. Oxygen consumption by bottom sediments. Verhandlungen des Internationalen Verein Limnologie 24: 3045-30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