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의 재활체육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여가시간 사용과 여가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isure Time-Use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a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iding in a Residential Care Facilit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6 no.2, 2016년, pp.51 - 59  

손성민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응급의료재활학과) ,  이경락 (유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전병진 (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규칙적인 재활체육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의 여가시간 사용과 여가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의 여가시간 사용과 여가활동 수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경기도 용인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거주하는 지적장애인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5년 09월 01일부터 11월 30일 까지 총 12주간 재활체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재활체육 프로그램으로 짐볼과 탄성밴드를 활용한 근력운동을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여가시간 사용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매월 시간 조사표 기록에 따른 총시간, 운동 빈도를 조사하였고, 여가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프로그램 전, 후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을 활용하여 동적 여가활동에서의 수행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18.0으로 기술통계, 프리드만 검정(Friedman),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s Signed-Ranks Test)을 실시하였다. 결과 : 여가시간 사용의 분석 결과 총시간, 운동 빈도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여가활동 수행의 분석 결과 동적 여가활동에서의 수행도, 만족도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 재활체육 프로그램의 참여가 대상자들의 여가시간 사용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지적장애인들에게 재활체육 프로그램의 참여는 필수적이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고 관리하여, 지적장애인들의 여가생활의 질을 높이고 시설 내 생활과 하루일과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of leisure time use and leisure activity performance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iding in a residential care facility by participating a regular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Methods : Participants were recrui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의 규칙적인 재활체육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여가시간 사용을 분석하기 위해 매월 시간조사표 기록에 따른 총시간, 운동 빈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여가활동 수행을 분석하기 위해 캐나다 작업수행측정(COPM)을 활용하여 재활체육 프로그램 참여 전, 후에 따른 여가영역의 동적 여가활동에서의 수행도,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의 규칙적인 재활체육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여가시간 사용과 여가활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며,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의 여가시간 사용과 여가활동 수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장애인 시설에서 생활하는 지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12주간 재활체육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대상자들의 여가시간 사용과 여가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분석 결과 대상자들의 총시간, 운동 빈도, 수행도,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장애인 시설에서 거주하는 장애인들의 여가생활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시간 관리는 자기관리 기술과 삶의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재활체육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대상자들의 여가활동 수행에서의 질적인 변화와 대상자들의 자기인식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캐나다 작업수행측정(COPM)을 활용하여 동적 여가활동에서의 수행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였다(Kang 등, 2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이란?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은 재활 문제를 지닌 장애인에 대해 장애의 불이익을 최소화 시키는 치료 및 교육, 훈련, 상담, 직업적인 적응과 치료서비스를 통한 통합적이고 조정된 서비스가 제공되는 장소이다(Lee, 2001). 각 시설에서는 ‘마지막 거주지에서 긍정적 선택지로’ 라는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07) 비전을 기초로 소규모 시설로의 전환과 서비스 기준의 명확화, 이용자의 선택권 강화 등의 주요 정책의 목표로 개개인의 선호도와 욕구에 따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질적으로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의 비전은 무엇인가?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은 재활 문제를 지닌 장애인에 대해 장애의 불이익을 최소화 시키는 치료 및 교육, 훈련, 상담, 직업적인 적응과 치료서비스를 통한 통합적이고 조정된 서비스가 제공되는 장소이다(Lee, 2001). 각 시설에서는 ‘마지막 거주지에서 긍정적 선택지로’ 라는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07) 비전을 기초로 소규모 시설로의 전환과 서비스 기준의 명확화, 이용자의 선택권 강화 등의 주요 정책의 목표로 개개인의 선호도와 욕구에 따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질적으로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시설 내 공간 뿐 아니라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형태로 프로그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지적장애인들이 어떠한 영역에서 한계를 가지는가? 지적장애인들은 신변처리나 사회생활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의사소통, 자조, 가정생활, 사회적 기술, 지역사회 이용, 자기관리, 건강과 안전, 학습능력, 여가활동, 일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두 가지 이상의 한계를 갖고 있어(KIHASA, 2014), 치료나 재활의 목적으로 필요한 기간 거주하는 거주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치료, 재활 등 다양한 목적으로 거주시설을 이용하는 지적장애인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4년 총 80,846명으로 이르고 있으며, 그 시설의 수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Statistics Korea,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ealth Promotion Series. (2012). Physical activity guidelines(3, pp. 1-28). Seoul: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2. Hong, H. H. (2010). The effect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exercise program on satisfaction level of individual with physical disability. 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Sports University, Seoul. 

  3. Jeon, B. J. (2011).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elderly's life time use and occupational balance. 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4. Kang, D. H., Noh, J. S., Ji, S. Y., Kim, J. K., Lee, T. Y., Park, S. Y. (2005). A Correlation between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nd the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 pilot study. Journal of Kor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3(1), 25-35. 

  5. Kang, J. H. (2014). Leisure sports experience search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6. Kim, A. Y. (2010). Effects of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with elastic band on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the elderly women. 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Seoul. 

  7. Kim, D. Y. (2004). A study on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attitud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ublished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okpo. 

  8. Kim, Y. G. (2006). The Research for Time-Use and Activity Balance. Daegu health College Journal, 26, 273-288. 

  9.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2014). 2014 Analysis of the disabled.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0.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KOSHA). (2007). Exercise prescription guidelines. Seoul: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11. Lee, B. R. (2001). A study on the operational realities and improvement plan of the disabled fac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cheon University, Incheon. 

  12. Lee, H. Y. (2006). Effects of a Rehabilitation Nursing Program on Muscle Strength, Flexibility, Self-Efficac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3), 484-492.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7). The innovation method for residential care facility.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4. Park, H. K. (2010). A comparative study of the time use in local community and nursing-home of the elderly. published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Nonsan. 

  15. Park, J. K. (2014).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leisure activity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craft activity programs. published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okpo. 

  16. Statistics Korea. (2014). Social indicators in Korea. Seoul: Statistics Korea. 

  17. Statistics Korea. (2014). 2014 Time use survey. Seoul: Statistics Korea. 

  18. Shin, M. O. (2011). A study of Satisfaction on leisure activities among the handicapped in residential facility: Surveyed with residential faciliti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published master's thesis, Kangnam University, Yongin. 

  19. Cup, E. H., Scholte op Reimer, W. J., Thijssen, M. C., & van Kuyk-Minis, M. A. (2003).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in stroke patiens, Clinical Rehabilitation, 17(4), 403-409. 

  20. Kjeken, I., Dagfinrud, H., Uhlig, T., Mowinckel, P., Kvien, T. K., & Finset, A. (2005). Reliability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in patients with ankylosing spondylitis. The Journal of Rheumatology, 32(8), 1503-1509. 

  21. Law, M., Baptiste, S., Carswell, A., McColl, M., Polatajko, H., & Pollock, N. (2005).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4th ed.). Ottawa, Ontario, Canada: CAOT publications ACE. 

  22. McColl, M. A., Paterson, M., Davies, D., Doubt, L., & Law, M. (2000). Validity and community utility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7(1), 22-30. 

  23. Melanie, K., Susy, M, B., Kim, V, V., Erik, V, R., & Anna, J, B. (2015). The Development of the MIBBO: A Measure of Resident Preferences for Physical Activity in Long Term Care Settings. Geriatric Nursing, 36(4), 261-266. 

  24. Pan. A. W., Chung, L., & Hsin-Hwei, G. (2003).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for clients with psychiatric disorders in Taiwan.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10(4), 269-277. 

  25. Son, S, M., Kim H, J., & Jean, B, J. (2016). Effects of a Walking Exercise Program for Obese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taying in a Residential Care Facility.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8, 788-7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