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실적 수학교육 이론의 재음미 :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관점에서
Reanalysis of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Perspective in Relation to Cultivation of Mathematical Creativity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6 no.1, 2016년, pp.47 - 62  

이경화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학적 창의성을 함양하는 것은 최근 개정된 수학과 교육과정들에서 계속 강조해온 목표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적 창의성을 함양하는 것에 관련된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창의적인 인간의 육성을 표방하는 현실적 수학교육 이론은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학적 창의성 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음에도,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관점에서 현실적 수학교육 이론을 재음미하여 공교육을 통한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화를 통해 수학적 창조를 경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때 확실성을 추구하고 확실성을 창조하도록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이 상상에 의하여 현실이라고 느끼는 맥락에서 출발해야 수학적 창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이 모델링에 의하여 현실 맥락과 결합된 수학을 창조하도록 할 수 있다. 넷째, 모델링은 주어진 모델이 왜 모델인가를 이해하는 것, 곧 주어진 모델의 의미를 창조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다섯째, 사고실험에 의하여 국소적인 교수이론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후 개선하는 것이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연구방법으로 적합하다. 결론적으로, 수학적 창의성의 함양을 보통의 수학수업에서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현하는 데에 현실적 수학교육 이론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적절하고 유용한 방안이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ltivating mathematical creativity is one of the aims in the recently revised mathematics curricular. However, there have been lack of researches on how to nurture mathematical creativity for ordinary students. Perspective of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RME), which pursues education of creativ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화의 특징은? 수학화는 결과로서의 수학이 아니라 과정으로서의 수학을 수학 학습의 중심에 두기 위한 개념으로, 현실적 수학교육 이론의 핵심적인 정신이자 방법이다(Van den Heuvel-Panhuizen & Drijvers2014; 우정호, 2000; Freudenthal, 1991; 정영옥,1997). 기본 아이디어는, 수학자들이 수학화에 의하여 수학을 창조하듯이 학습자들도 수학화에의하여 수학을 재창조하도록 지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실적 수학교육 이론에서 사용 가능한 모델은? 현실적 수학교육 이론에서 모델은 일상 언어,표와 그래프, 다이어그램, 용어와 기호 등 여러형태가 가능하다. 학생의 학습수준과 성향에 따라 그리고 어떤 의도로 모델을 사용하는가에 따라 다른 형태의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교육부는 창의적 역량을 갖춘 융합 인재의 교육을 위해 어떤 능력을 기르고자 하는가? 예를 들어,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적 역량을 갖춘 융합 인재의 교육을 표방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학의 지식과 기능을 토대로 새롭고 의미 있는 아이디어를 다양하게 산출해내고 여러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해석하는 능력(교육부, 2015: 1-2)”을 기른다는 목표도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창의성에 주목하고, 이를 수학교육의 구체적인 목표로 서술하고 있다는 것은, 주로 영재 또는 우수아를 대상으로 하던 수학적 창의성 관련 논의를 일반 학생들을 위한 것으로 확장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교육부(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2. 김도한.황혜정.김창일.정영옥.박만구. 고호경.김선희.한혜숙.한세호.김현아.장미라.정은선(2010). 창의 중심의 수학 수업 내실화 및 평가 방안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3. 김연식.정영옥(1997). Freudenthal의 수학화 학습 -지도론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7(2), 1-23. 

  4. 김진호(2003). 학교수준에서의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논의. 교육과학연구, 34(2), 149-165. 

  5. 김진호(2004).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일 논의-창의적인 사람, 창의적인 산물, 창의적인 과정이란 관점으로부터. 수학교육논문집, 18(3), 45-56. 

  6. 성창근.박성선(2012). 수학적 창의성 계발을 위 한 과제와 수업 방향 탐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2), 253-267. 

  7. 우정호(2000).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8. 이경화(2015). 수학적 창의성. 서울: 경문사. 

  9. 정영옥(1997). Freudenthal의 수학화 학습-지도론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정영옥(1999). 현실적 수학교육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9(1), 81-109. 

  11. 정영옥(2005).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로서의 개발연구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15(3), 353-374. 

  12. 한정민.박만구(2010).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본 교사의 발문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865-884. 

  13. 황우형.최계현.김경미.이명희(2006).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 수학교육논문집, 20(4), 561-574. 

  14. Bobis, J., & Bobis, E. (2005). The empty number line: Making children's thinking visible. In Coupland, M., Anderson, J., & Spencer, T. (Eds.). Proceedings of the twentieth biennial conference of the Australian association of mathematics teachers, 66-72. 

  15. Bobis, J. (2007). The Empty Number Line: A Useful Tool or Just Another Procedure?.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13(8), 410-413. 

  16. Brendel, E. (2004). Intuition pumps and the proper use of thought experiments. Dialectica, 58(1), 89-108. 

  17. Freudenthal, H. (1968). Why to teach mathematics so as to be useful.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1), 3-8. 

  18. Freudenthal, H. (1973). Mathematics as an educational task.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 Freudenthal, H. (1981). Major problems of mathematics educ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2(2), 133-150. 

  20. Freudenthal, H. (1991). Revisiting Mathematics Education: China Lectures.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1. Gravemeijer, K. (1993a). Modelling two-digit addition and subtraction with an empty number line.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contexts, 51-61. 

  22. Gravemeijer, K. (1993b). The empty number line as an alternative means of representation for addition and subtraction. Innov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by modelling and applications, 141-159. 

  23. Gravemeijer, K. (1999). How emergent models may foster the constitution of formal mathematic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2), 155-177. 

  24. Hanna, R. (2002). Mathematics for humans: Kant's philosophy of arithmetic revisited. European Journal of Philosophy, 10(3), 328-352. 

  25. Klein, A. S., Beishuizen, M., & Treffers, A. (1998). The empty number line in Dutch second grades: Realistic versus gradual program desig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43-464. 

  26. Klein, A. S., Beishuizen, M., & Treffers, A. (2002). The empty number line in Dutch second grade. Lessons learned from research, 41-44. 

  27. Otte, M. F., Campos, T. M., & Abido, A. S. (2013). Plato, Pascal, and the dynamics of personal knowledg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2(3), 397-415. 

  28. Prediger, S., Gravemeijer, K., & Confrey, J. (2015). Design research with a focus on learning processes: an overview on achievements and challenges. ZDM, 47(6), 877-891. 

  29. Van den Heuvel-Panhuizen, M. (2000).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Netherlands: A guided tour. Freudenthal Institute CD-rom for ICME9, 1-32. 

  30. Van Den Heuvel-Panhuizen, M. (2003). The didactical use of models in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An example from a longitudinal trajectory on percentag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4(1), 9-35. 

  31. Van den Heuvel-Panhuizen, M. (2008). Learning from "didactikids": An impetus for revisiting the empty number lin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0(3), 6-31. 

  32. Van den Heuvel-Panhuizen, M., & Drijvers, P. (2014).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In Lerman, S. (Ed.). Encyclopedia of mathematics education (pp. 521-525). Springer Netherlands. 

  33. Van Oers, B. (2002). The mathematization of young children's language. In Symbolizing, modeling and tool use in mathematics education (pp. 29-58). Springer Netherland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