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6 no.1, 2016년, pp.63 - 77
SENKs (Students who Emigrated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are exposed to the general problem of Su-Po-Ja(mathematics give-uppers) as well as their own difficulty in learning mathematics.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FGI (focus group interview) in order to examine the recognition on mathemati...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수학 학습에 있어서의 탈북학생들의 어려움은 무엇에 기인하는가?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인 탈북학생들과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하여 남한과 북한의 수학 학습 비교, 수학 학습의 어려움, 수학 내용 이해를 위한 노력, 수학 지도 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학 학습에 있어서의 탈북학생들의 어려움은 수학 용어의 차이, 수업 시간에 사용하는 문제 상황의 생소함, 빠른 수업 진행과 충분한 연습 시간의 부족, 선수 학습 결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이해가 어려운 단원으로는 분수의 연산, 그리고 원기둥의 겉넓이와 부피 단원을 꼽았다. | |
지도교사들은 탈북학생 지도의 어려움과 관련해 어떤 어려움을 언급하였는가? | 내용 이해가 어려운 단원으로는 분수의 연산, 그리고 원기둥의 겉넓이와 부피 단원을 꼽았다. 지도교사들은 탈북학생 지도의 어려움과 관련하여, 기초 지식 부족으로 처음부터 세세하게 가르쳐야 할 것이 많다는 점, 문화적 경험의 차이로 인한 문제 상황이해의 어려움, 전체적으로 학습 의지가 낮은 점 등을 언급하였다. 또한 탈북학생 지원방안으로는 남북한의 상이한 교육과정 고려, 동료 교수법, 개별 지도, 탈북학생 맞춤형 언어적 표현, 반복 연습 기회 제공과 철저한 과제 점검, 구체화된 경험의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 |
탈북학생들이 입국 전의 학습공백이 생기는 이유는? | 탈북학생은 남한 학교와 사회에 정착하는데 여러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는데, 가장 큰 요인은 입국 전의 학습공백이다(한만길 외, 2013).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북한에서는 식량부족과 경제난으로 학교교육이 거의 마비되는 상태이다. 더욱이 탈북학생들은 대개 북한을 탈출한 후 중국 등의 제3국에서 체류하게 되는데, 그 평균 기간은 2∼3년으로 그 과정에서 학습결손이 누적된다(백혜정ㆍ길은배ㆍ윤인진ㆍ이영란, 2006). 또하나의 난점은 남북한 취학연령과 학제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북한은 소학교 4년, 중학교 6년으로 남한의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과 다르기 때문에 탈북학생은 자신의 연령보다 1∼2년 낮추어 편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동료 학생들과의 연령 차이로 인해 심리적인 위축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남북한의 학교 문화 차이, 교과목 차이, 교과별 교육과정의 내용 차이, 용어의 차이는 탈북학생의 학력 저하 현상을 심화시킨다. |
고상숙, 신동희, 김애화(2010). 탈북 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포커스 그룹들과 면담을 통한 교육의 실제-수학.과학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9(2), 125-148.
고호경(2015). 수포자의 발생 원인과 현실 진단. 수학교육논총, 32, 41-75. 대한수학회.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 [별책 8].
김수동, 이화진, 유준희, 임재훈, 김은정(1998). 학습부진아 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초등 학교 국어, 수학, 과학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 예시안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98-4.
김청명(2010). 탈북학생들의 수학학습에서 어려움과 수학화를 통한 함수의 이해.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나귀수, 백석윤, 박경미 이경화, 방정숙(2013). 탈북학생 지도용 수학과 교육과정 표준안 개발 -초등학교. 한국교육개발원 TR 2013-03-3.
박경미, 권오남, 박선화, 박만구, 변희현, 강은주, 서보억, 이환철, 김동원, 김선희(2014). 문?이과 통합형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교육부.
백혜정, 길은배, 윤인진, 이영란(2006). 북한이탈 청소년 종합대책 연구 I: 남한사회 적응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개발원.
변희현, 박문환(2012). 통일 대비 북한의 수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6.
이용숙, 김영천(1999).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장주영(2009). 새터민 청소년의 수학과 학습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수일(2015). 우리나라의 수포자 실태 및 현황. 수학교육논총, 32, 11-38. 대한수학회.
한국교육개발원(2013).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운영사업 4차년도 사업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한만길, 강구섭, 김일혁, 이향규, 김윤영(2013). 탈북청소년 교육 종단연구(IV).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Lee, J. H. (2012). Adjacent Schools with Infinite Distance: Narratives from North Korean Mathematics Classrooms. International Congress on Mathematical Education, 2012 regular lecture.
Olmscheid, C.(1999). The Effectiveness of Peer Tutoring in the Elementary Grades. Opinion Pape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