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 치료 시 영양상담을 통한 식생활 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etary Life of Cancer Patients during Treatment by Nutrition Counseling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1, 2016년, pp.93 - 101  

홍기연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최윤진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엄완근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임현숙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천종희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of food habits and eating behavior of cancer patients during treatment through the continuous nutrition counseling and monitoring. Methods: Thirty cancer patients during treatment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first nutrition counsel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암 환자에게 모니터링 상담이 포함된 지속적인 영양 상담을 통해 식습관 개선도 변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인천시 소재 대학병원의 외래 및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처음으로 암을 진단받은 후 암 환자 영양상담 의사 처방이 있거나 기타 영양 상담의 의사 처방이 있는 환자 중 암 치료중인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지금까지 수행된 국내 문헌에서는 일회성 영양상담의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는 볼 수 있었으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식습관 개선 및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지속적이고 개별적인 영양 상담하여 식습관 및 영양 지식 개선도 변화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 상담이란? 영양 상담이란 영양 상태를 판정하고 개별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과정을 거쳐 환자가 스스로 영양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9, 10]. 또한, 보다 장기적인 관리를 함으로써 영양 상담이 단지 새로운 사실을 알고 정보와 지식의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환자가 상담을 마친 후에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습관화하여 질병을 치료하고 더욱 악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11].
좋은 영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암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이유는? 암 수술 후 환자가 지속적인 영양불량 상태라면, 수술 후세포의 면역 장애로 인한 패혈증이 초래될 수 있고, 아미노산과 비타민을 포함한 에너지의 부족으로 인해 합병증이 더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좋은 영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암치료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부분이며, 암환자는 신체기능이 저하되어 환자 자신의 심리적, 신체적 불편함뿐만 아니라 부작용의 심화로 치료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결국 영양불량으로 인해 치료를 중도 포기하는 환자가생기는 경우도 있다[6]. 이와 같이 환자의 영양 상태가 질병의 회복 정도와 합병증 예방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암환자의영양불량은 사망의 주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생각한다면 환자의 영양상태 판정은 필수적이며, 조기에 영양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중재함으로써 영양과 관련된 합병증을 미리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7].
항암치료로 인해 생긴 증상때문에 식간에 소량씩 간식을 섭취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로 인한 장단점은? 영양 상담 차수에 따른 환자들의 간식 섭취는 상담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차, 2차 모니터링 시 환자들이 수술이나 항암치료로 인한 식욕부진, 구토, 오심과 같은 증상으로 평소보다 식사 섭취량이 감소하여 식간에 소량씩 간식을 섭취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간식은 하루 세끼 정규적인 식사 이외의 음식, 즉 식사와 식사 중간에 먹는 모든 음식을 말하며 암 치료 부작용으로 부족해질 수 있는 열량을 보충할 수 있다. 하지만 빈번한 고열량, 고지방의 간식 섭취는 정규 식사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port of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internet]. 2012 [cited 2012 Aug 30].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2. Kelly K. An overview of how to nourish the cancer patient by mouth. Cancer 1986; 58(8 Suppl): 1897-1901. 

  3. Torosian MH, Daly JM. Nutritional support in the cancer-bearing host, Effects on host and tumor. Cancer 1986; 58(8 Suppl): 1915-1929. 

  4. Bottomley A. Pshchosocial problems in cancer care, a brief review of common problems. J psychiatric Health Nurs 1997; 4(5): 323-331. 

  5. Ovesen L, Allingstrup L, Hannibal J, Mortensen EL, Hansen OP. Effect of dietary counseling on food intake, body weight, response rate, survival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J Clin Oncol 1993;11(10): 2043-2049. 

  6. Matthews TW, Lampe HB, Dragosz K. Nutritional status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J Otolaryngol 1995; 24(2): 87-91. 

  7. Kim EK, Yang YH, Choi SM. Nutritional status of cancer patients upon admission. J Korean Acad Nurs 1999; 29(2): 271-280. 

  8. Pierce JP, Newman VA, Flatt SW, Faerber S, Rock CL, Natarajan L et al. Telephone counseling intervention increases intakes of micronutrient and phytochemical-rich vegetable, fruit and fiber in breast cancer survivors. J Nutr 2004; 134(2): 452-458. 

  9. Snetselaar LG. Nutrition counseling skills. Clin Nutr Insight 1990; 16(7): 6. 

  10. Holli BB. Using behavior modification in nutrition counseling. J Am Diet Assoc 1988; 88(12): 1530-1536. 

  11. Lee JH. Introduction to counseling psychology. 5th ed. Seoul: Park Young Co; 1989. p. 3-17. 

  12. Choi KB, Lee SM, Lyu ES. Patient perceptions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 J Korean Diet Assoc 2012; 18(1): 59-71. 

  13. Do MH, Lee SS, Jung PJ, Lee MH. The effect of individual nutrition counseling on diet and nutrition status of postoperative breast cancer patients. J Nutr Health 2004;37(7): 557-565. 

  14. Moon SJ, Lee YM. A Computerize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meal management and nutritional assessment. J Nutr Health 1986; 19(3): 146-154. 

  15.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Guidebook for Obesity Medical in Koreans.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9. p. 17-18 

  1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cidence rates of major cancers by age group[internet]. 2012 [cited 2012 Aug 25].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 

  17. Lee SY, Shin MH, Sung MK, Paik HY, Park YK, Kim J et al. Establishment of Korean dietary guidelines for cancer prevention. Korean J Health Promot 2011; 11(3): 129-143. 

  18. World Cancer Research Fund / American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Food,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the Prevention of Cancer: a Global Perspective. Washington DC. AICR [internet]. 2012 [cited 2012 Aug 10]. Available from: http://www.wcrf.org/. 

  19. Cross AJ, Leitzmann MF, Gail MH, Hollenbeck AR, Schatzkin A, Sinha R. A prospective study of red and processed meat intake in relation to cancer risk. PLoS Med 2007; 4(12): e325. 

  20. Cho GA, Paik HY, Park MS, Lee EK. Effects of nutrition counseling on diet and nutritional status of cancer patients on radiotherapy. J Nutr Health 2000; 33(2): 193-201. 

  21. Kim TY. Lifestyle modification for cancer prevention. Korean J Med 2003; 65(1): 136-140. 

  2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s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2010 Committee; 2010. p. 211-215. 

  23. Yoon EY. Dietary risk factors of gastric cancer & Nutrition intervention. Proceedings of 2004 Spring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2004 May 29; Seoul: p. 353-365. 

  24. Yoo TW. Evaluation of folk cancer remedies in Korea. Proceedings of 2004 Spring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2004 May 29; Seoul: p. 366-371. 

  25. Yun EY. Dietary risk factors of gastric cancer & Nutrition intervention. Proceedings of 2004 Spring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2004 May 29; Seoul: p. 353-3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