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KIEAE journal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v.16 no.1, 2016년, pp.95 - 101
박준영 (Dept. of Public - Housing Research, Land & Housing Institute) , 정재진 (Dept. of Housing-Welfare Research, Land & Housing Institute) , 박우장 (Dept. of Interior Architecture, Chungcheong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targeted community space for public rental housing tenants a real community space. and community space is analyzed only through the factor analysis of the effects of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As a result, the space community and publi...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공동주택 단지 내 공동체공간의 역할은 무엇인가? | 공동주택 단지 내 공동체공간은 해당 단지를 포함하여 인접지역 공동체 활성화에도 영향을 미쳐 지속가능한 정주환경을 구현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공동체 공간은 특히 공공임대주택을 확대 보급하는 정책에 힘입어 더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입주자의 다양한 요구나 특성을 반영하는 것보다 법적 기준을 충족하는 수준에서 최소 기준만을 마련하고 있는 실정이다. | |
주민공동시설의 종류는 무엇인가? | 주민공동시설의 종류3)는 해당 주택의 거주자 공동으로 사용하거나 거주자의 생활을 지원하는 시설로서 경로당, 어린이놀이터, 어린이집, 주민운동시설, 도서실(정보문화시설, 작은도서관), 주민교육시설, 청소년수련시설, 주민휴게시설, 독서실, 입주자집회소, 공용취사장, 공용세탁실, 사회복지시설(보금자리 주택), 기타 사업계획승인권자가 인정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주민공동시설은 거주자의 복리 향상 시설이라 할 수 있으며, 세부 항목별 총량면적의 조정 범위와 의무설치 시설의 최소 면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본 연구에서 일본, 미국, 독일에서 시행하고 있는 공동체공간 관련 법규를 살펴본 결과는? | 일본, 미국, 독일에서 시행하고 있는 공동체공간 관련 법규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우선 거주자의 건강, 쾌적성, 에너지 효율 등 품질기준을 강화하고 있으며, 세부 기준은 지자체로 이관하여 차별적 기준으로 주민특성을 적극 반영하고 있으며, 인센티브 제도를 통하여 규정의 최소화 및 시장 자율화를 유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
Kang, Soon-Joo,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partment community facilities and Post Occupancy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 21, No. 4, 2010
Kim, Hye-Jin, Lee, Yeun-Sook, Study on the Consciousness about Community Faciliy According to Age group of Residents in Apartment Building , KIEAE Journal, vol. 8, No 4, August .08
Paik, Hae-Sun, Kwon, Hyuck-Sam, A Study on the Residents' Opinions on Community Facilities by Type of Supplying Multi-family Hous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8, No12, December, 2012
Lee, Gwang-Young, Cho, Jin-Man, A Study on the service Facilities Plan for APT Commucity Culture Activ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 19, No. 2, 2008
Cole, I., & Goodchild, B. (2000). Social Mix and the 'Balanced Community' in British housing policy - a tale of two epochs. GeoJournal, 51(4), 351-360.
Ostendorf, W., Musterd, S., & Vos, S. (2001). Social Mix and the Neighbourhood Effect - Policy Ambitions and Empirical Evidence. Housing Studies. 16(3), 371-380.
Arthurson, K. (2002). Creating Inclusive Communities through Balancing Social Mix: A Critical Relationship or Tenuous Link?. Urban policy and research, 20(3), 245-261.
Holmqvist, E., & Berqsten, Z. (2009). Swedish social mix policy: a general policy without an explicit ethnic focus. Journal of Housing and the Built Environment, 24(4), 477-490.
Blanc, M. (2010). The Impact of Social Mix Policies in France. Housing Studies, 25(2), 257-272.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