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창업교육센터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ng Statu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 in Korea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1 no.1, 2016년, pp.65 - 74  

김용태 (남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 정부는 벤처 및 창업 활성화를 통한'창조경제'실현을 주요 정책과제로 발표하였으며. 이러한 창조경제의 구현을 통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및 창업정책 활성화를 위해서 창업교육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는 2012년부터 중장기적인 발전과제로 전국 61개 대학에 창업교육센터를 설치하여 창업문화 확산 및 창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지원사업 초기 61개 대학에 설치된 창업교육센터 운영현황 및 실태조사를 통해 창업 관련 분야의 정책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해외 선진국의 창업교육센터 현황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창업교육센터 운영현황 및 실태조사에 대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국내 창업교육센터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창업교육센터의 조직구성 및 운영 현황, 창업교육 강좌현황, 학생창업 지원 및 창업문화 확산 등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례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대학 창업교육센터의 효과적인 운영 및 창의적인 창업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our government has presented the realization of 'Creative Economy' as a primary goal of the state administration through encouraging start-ups and ventures. Activ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an important task for a national job creation and entrepreneurship activation policy. Si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ince 2012,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implementing the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LINC) program to create & spread various leading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models for the partnered growth between university and local industry, as well as cultivate competent people and support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improve the university education system through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o cultivate LINC that would solve the employment mismatch and lead the win-win development between university and local industry. As for the major contents of the LINC program, it strive to provide opportunities of new challenge and broaden the range of selection for the youth by promoting effective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y and industry and strength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y to overcome the current 'growth without employment' era and create new jobs for the youth.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Gartner, W. B., Bird, B. J., & Starr, J. A.(1992). Acting as if: Differentiating Entrepreneurial from Qrganizational Behavior,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6(3), 13-32. 

  2. Gorman, G., Hanlon, D., & King, A.(1997). Some Research Perspectives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erprise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mall Business Management: a Ten-year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Small Business Journal, 15(3), 56-79. 

  3. Katz, J. A.(2003). The Chronology and Intellectual Trajectory of Americ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8(2), 283-300. 

  4. Kuratko, D. F.(2005). Entrepreneurship Education: Development, Trends and Challenge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September, 577-597. 

  5. Kuratko, D. F. & Hodgetts, R. M.(2004). Entrepreneurship : Theory, Process, Practice, Mason, O.H: South-Western College Publishers. 

  6. Lena, L. & Wong, P.(2003). Attitude Toward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New Venture Creation, Journal of Enterprising Culture, 11(4), 339-357. 

  7. MacMullan W. E. & Long, W. A.(1987).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Nineti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2(3), 261-275. 

  8. Ministry of Education(2012). Basic Plan to LINC Cultivation Program. 

  9. Ministry of Education(2012).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 Cultivation & Support Program. 

  10. Park C. Y.(1997).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Status, IE Magazine, 51-55. 

  11. Park J. H. & Kim Y. T.(2009). A Study on the Educational Program Improvement of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Journal of Business, 22(4). 1777-1801. 

  12. Park J. H. & Park M. S.(2012). The Strategic Choice and Research Theme of Venturing Entrepreneurship, Journal of Management Education Research, 26(4), 315-339. 

  13. Ronstadt, R.(1987). The Educated Entrepreneurs: A New Era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is Beginning, American Journal of Small Business, 11(4), 37-53. 

  14. Solomon, G. T., Duffy, S. & Tarabishy, A.(2002). The Stat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 Nationwide Survey and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1(1), 65-86. 

  15. Todd A. Finkle., Donald F. Kuratko & Michael G. Goldsby(2006). The State of Entrepreneurship Centers in the United States: A Nationwide Survey, Journal of Small Business and Management, 44(2), 184-206. 

  16. Thomas N. G, Barra O'Cinneide, (1994)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mes: A Review and Evaluation-Part 1,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18(8), 3-12 

  17. Vesper, K. H. & McMullen, W. E.(1988). Entrepreneurship: Today Courses, Tomorrow Degree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3(1), 7-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