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필름에서 기체 투과의 원리 및 차단성 향상 기술
Gas Permeation Mechanism and Technical Trend for High Shielding Properties of Plastic Films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7 no.4, 2016년, pp.155 - 162  

조성근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솔루션센터) ,  조태연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솔루션센터) ,  함동석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솔루션센터) ,  이상진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솔루션센터) ,  이재흥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소재솔루션센터)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외에도 최근에는 양자점을 적용한 LCD TV가 출시됨에 따라 양자점 필름의 보호를 목적으로 중간 수준의 성능인 10-2~10-3 g/m2⋅day의 WVTR 값을 갖는 기체 배리어 필름이 적용되고 있고(Figure 1), 또한 전자부품의 포장용 또는 공정용으로도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플라스틱 필름에서 기체가 투과되는 메커니즘에 대해 살펴보고, 기체 차단 필름의 제조방법과 주요 용도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고분자 필름 구조와 기체투과 메커니즘, 기체 차단막 형성을 통한 배리어성 향상 기술에 대해 다양한 코팅법의 원리와 함께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런 배리어 필름은 식품의 저장 안정성 및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량이 급격히 늘고 있고, 최근에는 의약품 포장재와 건축 단열재와 같은 산업용을 포함하여, 태양전지 및 2차전지 등 다양한 분야로의 용도확대가 진행 중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분자의 내부 구조의 무정형 영역에서 기체 투과가 이루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고분자의 내부 구조는 결정 영역(crystal domain)과 무정형 영역(amorphous domain)으로 구분되고, 가스 투과는 대부분 무정형 부분에서 일어나게 된다. 이 무정형 영역에서 기체 투과가 이루어지는 것은 필름이 비다공질이라 하여도 고분자의 주쇄 사이에 보통 자유 체적(free volume)이라 불리는 ‘투과하는 기체 분자(수분 또는 산소 등) 보다 큰 공간(공극)’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필름에서의 기체 투과 메커니즘은 가스분자가 필름 내부로 용해(dissolve) 되어가는 과정과 다시 필름 내부로 확산(diffuse)되는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필름에서 기체 투과 메커니즘은 어떻게 구분되어 있는가? 이 무정형 영역에서 기체 투과가 이루어지는 것은 필름이 비다공질이라 하여도 고분자의 주쇄 사이에 보통 자유 체적(free volume)이라 불리는 ‘투과하는 기체 분자(수분 또는 산소 등) 보다 큰 공간(공극)’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필름에서의 기체 투과 메커니즘은 가스분자가 필름 내부로 용해(dissolve) 되어가는 과정과 다시 필름 내부로 확산(diffuse)되는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용해 과정은 다시 기체분자가 필름 표면에 흡착하는 과정과 내부로 혼입하는 단계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으며, 이어서 농도 구배에 의해 기체 분자의 연속적인 이동을 통해 확산되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기체 차단 필름의 수분 차단성은 용도에 따라 어떻게 요구되는가? 이런 식품 포장용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플라스틱 필름을 베이스로 한 액정 표시패널 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등의 유연한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가시화되면서 식품용과는 차원이 다른 높은 수준의 기체 차단성을 요구하고 있다. 실제 식품포장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수증기투 과율(WVTR) 기준 100~10-1 g/m2⋅day 수준의 차단 능력으로 충분했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10-5~10-6 g/m2⋅day의 높은 수분 차단성과 함께 높은 가시광 투과율이 요구된다[1]. 이를 위해 기존 식품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PVDC (polyvinylidene chloride), EVOH (ethylenevinylalcohol copolymer), PE (polyethylene) 등을 이용한 고분자 적층 필름이나, PP (polypropylene) 또는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기재 필름[2,3] 위에 단순 유기막 코팅 또는 알루 미늄 증착 등의 방법으로는 이런 고성능의 구현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기재 및 유, 무기 적층을 통한 고정밀 코팅기술과 구조 제어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産業技術調査硏究室, in ガスバリア-ガス分離技術, 東レリサ-チセンタ-, 黎明社, Japan, 1, 1-8, 79-83 (2011). 

  2. K. Marsh and B. Bugusu, J. Food Sci., 72(3), 39-55 (2007). 

  3. A. Arora and G. Padua, J. Food Sci., 75(1), 43-49 (2010). 

  4.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Metallizers, Coaters and Laminators, in AIMCAL Fall Technical Conference 2005, South Carolina, USA, p. 606 (2005). 

  5. V. S. Nechitalio, International Journal of Polymeric Materials, 6, 171-177 (1992). 

  6. 葛良 忠彦, 工業材料, Tokyo, 63(1), 22-27 (2015). 

  7. C. A. Bishop, in Roll-to-Roll Vacuum Deposition of Barrier Coatings, James E. R. Couper, Richard Erdlac, Rafiq Islam, Pradip Khaladkar, Scrivener Publishing, UK, 145-160 (2011). 

  8. 김정철, 화학소재정보은행 심층보고서, 화학소재정보은행, 대전, 11, 1-7 (2011). 

  9. 齊藤 達也, 齊藤 ?子 in バリア フィルムの 高機能化.評? 事例集, 技術情報協會, Japan, 5, 124-133, 163-171 (2010). 

  10. A. Sorrentino, G. Gorrasi, and V. Vittoria, Food Sci. Tech., 18(2), 84-95 (2007). 

  11. V. S. Nechitalio, International Journal of Polymeric Materials, 6, 171-177 (1992). 

  12. P. B. Messersmith and E. P. Giannelis,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3, 1047 (1995). 

  13. S. Sinha Ray and M. Okamoto, Prog. Polym. Sci., 28, 1539 (2003). 

  14. Z. Ke and B. Yongping. Mater. Lett., 59, 3348 (2005). 

  15. Y. Liang, W. Cao, Z. Lia, Y. Wang, Y. Wu, and L. Zhang, Polym. Testing, 27, 270 (2008). 

  16. B. M. Yoo, H. J. Shin, H. W. Yoon, and H. B. Park,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31(1), 39628 (2014). 

  17. S. Park and R. S Ruoff, Nat Nanotechno., 4(4), 217-224 (2009). 

  18. K. K. Sadasivuni, D. Ponnamma, S. Thomas, and Y. Grohens, Progress in Polymer Science, 39(4), 749-780 (2014). 

  19. C. Charton, N. Schiller, M. Fahland, A. Hollander, A. Wedel, and K. Noller, Thin Solid Films, 502, 99-103 (2006). 

  20. K. H. Haas,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111, 72-79 (1999). 

  21. C. J. Brinker and C. W. Scherer, The physics and chemistry of Sol-Gel-processing, Academic press, N.Y., 279 (1989). 

  22. R. Saito, S. Kobayashi, and T. Hosoya, J. Appl. Polym. Sci., 97, 1835-1847 (2005). 

  23. H. Kozuka, K. Nakajima, and H. Uchiyama, ACS Appl. Mater. Interfaces, 5, 8329-8336 (2013). 

  24. Y. Naganuma, S. Tanaka, C. Kato, and T. Shindo, J. Ceram. Soc. Japan, 112, 599-603 (2004). 

  25. Y. Mori, R. Saito, Polymer, 45, 95-100 (2004). 

  26. 伊藤 義文, コンバ-テック, Japan, 501, 133-143 (2014). 

  27. N. Schiller, S. Straach, M. Fahland, and C. Chartonl, Society of Vacuum Coaters, 44th Annual Technical Conference, Society of Vacuum Coaters, Philadelphia, 184-187 (2001). 

  28. Fraunhofer FEP Press release 06 2013-Functional films for the displays of the future/www.fep.fraunhofer.de/en/ press_and_media/Pressemitteilungen/06_2013.html. 

  29. 狩野賢志, in 最新バリア技術-バリアフィルム, バ リア容器,シ-リング材の現狀と展開, kazukiyo Nagai, Toshiya Kurada, Yasumi Yamada, Kenji Kanou, Hideki Miyajima, CMC出版, Japan, 1, 21-27 (2011). 

  30. G. L. Graff, R. E. Williford, and P. E. Burrows, J. Appl. Phys., 96, 1840 (2004). 

  31. 森孝博, 工業材料, Tokyo, 63(1), 48-51 (2015). 

  32. 森孝博, 工業材料, Tokyo, 63(1), 22-27 (2015). 

  33. 永井一淸, Polyfile, 51(609), 20-22 (2014). 

  34. H. Zwrvos, in Barrier Layers for Flexible Electronics 2015-2025, IDTechex, UK, 31-36 (2014). 

  35. T. W. Kim, M. Yan, A. G. Eriat, P. A. McConnelee, M. Pellow, J. Deluca, T. P. Feist, A. R. Duggal, and M. Schaepkens, J. Vac. Sci. Tech., A23(4), 971 (2005). 

  36. 森孝博, 工業材料, Tokyo, 64(10), 18-25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