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C와 DC 코로나 처리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접착성질 비교
The Comparison of Adhesion Properties on Polyester Fabric by AC and DC Corona Treatment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7 no.3, 2016년, pp.104 - 109  

이재호 (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 코로나와 DC 코로나 처리 효과들을 비교하기 위해 선행연구의 DC 코로나 처리 조건들과 같이 폴리에스테르 직물들을 전류세기 5, 10, 15 A로, 공급속도 5, 10, 15 m/min로 AC 코로나 처리하였다. 이들의 표면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SEM)과 X-ray 광전자분석기(XPS)로 확인하였고, 또한 물리적 성질의 변화를 건조 시와 습윤 시의 접착강도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대기압에서 AC 코로나 방전처리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표면변화는 DC 코로나 방전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AC, DC 코로나 처리 양쪽에서 건조 시의 접착강도는 전류세기와 공급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습윤 시의 접착강도는 전류세기가 증가할수록 공급속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전류가 20 A일 때 DC 코로나 방전에서는 탄화가 발생하였으나 AC 코로나에서는 탄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are AC corona and DC corona treatment effects, polyester fabrics were AC corona treated with different current intensity (5, 10, 15 A) and feeding speed (5, 10, 15 m/min) as the same DC corona treatment conditions of the preceding research. We confirmed the surface change of polyester fabrics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코로나 전류는 인가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동일한 인가전압에서 보다 큰 코로나 전류를 보이며, 이는 방전장치에 전달되는 에너지가 크게 증가함을 나타낸다[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했던 직류 코로나 방전 대신에 교류 코로나 방전으로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처리하여 화학적 변화와 함께 열경화성 핫 멜트 접착제로 접착하여 접착성질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코로나 전극에 교류 전압의 주파수가 증가할 경우, 어떠한 특성 변화를 보이는가? 코로나 전극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가 증가하면 방전 공간의 정전용량에 의해 흐르는 변위전류의 증가로 인하여 직류 코로나 방전에 비하여 방전 전류가 크게 증가하는 특성을 보인다. 코로나 전류는 인가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동일한 인가전압에서 보다 큰 코로나 전류를 보이며, 이는 방전장치에 전달되는 에너지가 크게 증가함을 나타낸다[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했던 직류 코로나 방전 대신에 교류 코로나 방전으로 폴리 에스테르 직물을 처리하여 화학적 변화와 함께 열경화성 핫 멜트 접착제로 접착하여 접착성질을 비교하고자 한다.
코로나 방전이 실제적으로 적용되는 분야는 어떠한가? 코로나 방전은 그 과정에서 다양한 물리화학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이를 다방면 산업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적용 되고 있는 것은 전기집진기, 오존 발생장치 등의 오염방지장치나 반도체 공정 등의 일부 국한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산업분야 전반으로의 기여도가 미미한 상황이다[1-4].
코로나 방전의 대략적인 메커니즘은 어떠한가? 고분자 물질에 코로나 방전을 할 경우는 구체적인 변화 메커니즘은 아직 정확하게 확립되고 있지 않으나, 코로나의 화학적 열적 작용에 의해 고분자물의 표면의 약한 층을 제거하여 요철이 생기는 표면구조의 변화를 가져온다고 하며[5], 이러한 물리적인 변화뿐 아니라 고분자 표면에 화학적인 변화로서 극성 작용기를 도입하여 화학적 성질의 변화도 가져온다는 보고가있으며[6], 선행 연구[7,8]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R. Mestiri, R Hadaji, and S. B. Nasrallah, Desalination, 220, 468 (2008). 

  2. R. Matthew, D. R. Rankin, W. Felix, and C. Fred, Journal of Electrostatics, 64, 368 (2006). 

  3. E. Moreau and G. Touchard, Journal of Electrostatics, 66, 39 (2008). 

  4. J. D. Moon, J. S. Jung, J. G. Kim, and S. T. Geum, IEEE Transaction on Dielectrics and Electrcal Insulation, 16, 622 (2009). 

  5. A. N. Gent and G. R. Hamed,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Wiley-Interscience, New York (1985). 

  6. J. S. Jung and J. G. Kim, J. KIIEE, 26, 87 (2012). 

  7. J. H. Lee, J. Adhesion and Interface, 7, 26 (2007). 

  8. E. P. Lee, R. W. Yoon, and J. H. Lee, J. Adhesion and Interface, 8, 16 (2008). 

  9. M. Tanski, M. Kocik, and J. Mizeraczyk, Proceedings of 7th Conference of the French Society of Electrostatics, pp. 351-354, August-September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