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압 독성가스 사고발생 시나리오별 안전거리 확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Distances for High Pressure-toxic Gases by Specific Accident Scenarios 원문보기

한국가스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20 no.6, 2016년, pp.1 - 8  

김송이 (인하대학교 환경안전융합전공) ,  황용우 (인하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익모 (인하대학교 화학과) ,  문진영 (인천재능대학교 환경보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2년 구미 불화수소 누출사고 이후 화학 물질 사고에 대한 사회적 불안감이 증폭되었고, 이러한 불안감 해소를 위해 2015년부터 장외영향평가제도가 도입되었다. 장외영향평가제도는 대부분의 화학물질을 대상으로 하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산업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고압 독성가스가 이에 포함된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첨단산업 분야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한 만큼, 국내에서 고압 독성가스 사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고발생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고압 독성가스 중 제조량 및 사용량이 높은 물질을 대상으로 미국 환경보호청과 미국 해양대기국이 공동 개발한 ALOHA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사고영향범위를 평가하였으며, 알진의 사고영향범위가 4,700 m로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영향범위 결과는 고압 독성가스 누출 시 효과적인 안전거리 결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u-mi hydrogen fluoride leak accident in 2012 was amplified social anxiety for chemical accidents. To relieve these anxieties Off-site Risk Assessment was introduced in 2015. Off-site Risk Assessment is targeted at most chemicals, and most of the high-pressure-toxic gases which are mainly used in 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압독성가스 중 대표물질을 선정하여 물질별 사고시나리오에 따른 영향범위를 산정하였다. 영향범위 산정결과를 바탕으로 신뢰성 있는 안전거리 제시를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압독성가스 중 대표물질을 선정하여 물질별 사고시나리오에 따른 영향범위를 산정하였다. 영향범위 산정결과를 바탕으로 신뢰성 있는 안전거리 제시를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 이러한 상황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고압 독성가스 중 제조량 및 사용량이 높은 물질을 대상으로 사고영향범위를 평가하여 데이터화하였다. 사고영향범위 평가 결과 데이터를 통해 고압 독성가스 누출 시 효과적인 방재활동 거리 및 안전거리 결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사업장에서 취급하는 고압 독성가스 용기의 크기는 대부분 얼마인가? 국내 사업장에서 취급하는 고압 독성가스 용기의 크기는 3.4 L, 10 L, 40 L, 44 L, 47 L 등으로 한정적이기 때문에 국내 사업장에 바로 적용 가능한 데이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기상조건에 따라 안전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신뢰성을 위하여 보다 세분화된 대기 안정도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장외영향평가제도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 장외영향평가제도에서는 사업장에서 규정수량 이상으로 사용하는 모든 화학물질에 대하여 사고시나리오에 따른 사고영향범위를 산정하도록 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따라 대상물질을 선정하고, 물질별로 사고시나리오에 따른 사고영향범위를 산정하였다.
2015년 시행된 장외영향평가제도에 따르면 고압가스 제조, 저장, 판매 사업자는 어떤 의무를 갖는가? 2015년 시행된 장외영향평가제도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 고압가스에 대해서도 고압가스를 제조, 저장, 판매하는 사업자에 대해 장외영향평가서의 작성 및 제출을 의무화하고 있다. 또한 2016년부터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별표10의 유해·위험물질 규정량을 초과하여 제조·취급·저장하는 경우로 장외영향평가서 작성 및 제출 대상이 확대되는데 포스겐, 포스핀, 실란, 삼불화붕소 등의 최근 사용량 증가추세인 독성가스들이 다수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K. D. Park, S. S. Park et al., Theory and practice of Toxic gas, Ubion, (2014) 

  2. S. I. Jang, Y. R. Kim et al., "A Study on Applicability of API-581 and Methodology for Consequence Analysis in High-Pressure Toxic Gas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18(4), 79-85, (2014) 

  3.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2 Emergency Response Guidebook,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2) 

  4.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 USA(EP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of USA(NOAA), Areal Locations of Hazardous Atmospheres Program 5.4.3, EPA & NOAA, (2012) 

  5.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Toxic gas safety management issues and countermeasures", Korea Industrial & Specialty Gas Association Seminar, (2015) 

  6.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Korea, Technical Guidelines for the selection of Accident scenarios,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2014) 

  7.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S B 6210 : Forcing high-pressure seamless gas cylinders,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7) 

  8.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Risk-Based Inspection Technology : API RECOMMENDED PRACTICE 581,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2nd Edition,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