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왕릉의 조영의도, 이념, 사상, 미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al Intention, Idea, Though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Joseon Royal Tombs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4, 2016년, pp.66 - 77  

최종희 (배재대학교 원예조경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세계유산으로서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진정성, 완전성을 지닌 조선 왕릉의 입지, 배치 및 공간구성, 구성요소(건축, 조경, 석물, 조각) 등에 내재되어 있는 조영의도, 이념, 사상, 미의식 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세계유산 조선왕릉 40기를 연구대상으로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영의도, 이념, 사상의 기원을 살피기 위해 조선왕릉 뿐만 아니라 고려시대의 왕릉과 통일신라시대의 왕릉도 살펴보았다. 조선왕릉은 고려왕릉, 특히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 능제를 많은 부분 계승하였으나, 불교국가였던 고려와 달리 조선시대에는 유교적 예법에 따라 조영되었으므로, 공간구성이나 구성요소에서 특색이 나타난다. 조선왕릉의 선지와 입지에서는 풍수사상의 길지 즉, 배산임수의 지형을 잘 갖춘 곳을 택하였으며, 배치 및 공간구성은 유교사상에 따라 이루어졌는데 이는 유교의 위계질서가 반영되도록 능역을 조성한 것이다. 공간구성요소에서는 건축, 조경, 석물, 역사경관림에서 유교사상, 불교사상, 도교사상이 각각 혹은 결합되어 나타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제례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유교적 예법에 따라 행해지는 제례의식을 통해 조선왕릉의 조영의도, 이념, 사상에 연결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contribution studied constructional intentions, ideas, though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Joseon Royal Tombs regarding its location, spatial organization and elements. A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a field study have been carried out, and the royal tomb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Shi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선시대에 일반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이념과 사상, 미의식을 조선왕릉 공간과 대응시켜 보았다. 즉, 조선왕릉의 인문학적 요소가 실질적인 공간에 어떻게 투영되었는가를 살펴보았으며, 그 구분은 조선왕릉의 입지, 배치 및 공간구성, 구성요소로 이루어졌으며, 구성요소의 경우 건축, 조경, 석물, 역사경관림으로 구분하여 각 요소의 개별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 현상학적 접근으로 연구대상 왕릉을 답사하면서 조선왕릉의 조영의도, 이념과 사상, 미의식과 장소의 명백한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세계유산으로서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진정성, 완전성을 지닌 조선 왕릉의 입지, 배치 및 공간구성, 구성요소(건축, 조경, 석물, 조각)등에 내재되어 있는 조영의도, 이념, 사상, 미의식 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세계유산 조선왕릉 40기를 연구대상으로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선왕릉에서 나타나는 조영의도, 이념, 사상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를 살피기 위해 조선왕릉 뿐만 아니라 고려시대의 왕릉과 통일신라시대의 왕릉도 살펴보았다.
  •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세계유산으로서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진정성, 완전성을 지닌 조선왕릉의 입지, 배치 및 공간구성, 구성요소(건축, 조경, 석물, 조각) 등에 내재되어 있는 조영의도, 이념, 사상, 미의식1)을 구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관고고학 분야에서의 현상학적 접근을 기본적인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조선왕릉의 입지, 배치 및 공간구성, 공간구성요소를 대상으로 경관해석적 관점에서의 조영의도, 이념, 사상, 미의식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오프라인 및 온라인상의 왕릉조영관련 지식과 정보의 조사를 위해 선행연구 및 고문헌 등을 고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분석 방법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왕릉이란 무엇인가? 조선왕릉은 조선왕조(1392-1910) 519년을 통하여 동일한 조형원리로 조성된 신의 정원으로서, 조선 최상류층의 문화와 역사가 오랜 시간에 걸쳐 쌓인 삶의 흔적이다. 이러한 시간의 켜들은 과거에만 속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에도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서, 그 속에 내재된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은 우리에게 많은 이야기를 전해준다.
조선 왕조 왕실 구성원의 무덤은 피장자의 신분에 따라 호칭이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조선 왕릉은 1392년 왕조를 개창한 이래 1910년까지 519년간 총 27대의 왕과 왕비가 존재했었고, 북한에 있는 것을 포함 하여 총 42기가 있으며, 남한의 왕릉은 영월의 장릉을 제외하면 한양을 중심으로 10리 밖 100리 이내에 입지하고 있다. 조선 왕조 왕실 구성원의 무덤은 피장자의 신분에 따라 그 호칭에 릉(陵), 원(園), 묘(墓)로 구별되는 바, ‘릉’은 국왕과 왕비의 무덤이며, 왕세자와 왕세자빈, 국왕의 사친(私親 왕의 자리에 오른 왕의 친부모)이나 추존된 국왕의 사친으로서 선왕의 후궁 등의 무덤은 ‘원’이라 하고, 왕자와 공주, 옹주, 일반 후궁, 폐위된 왕들의 무덤을 이르는 용어로는 일반적 분묘와 마찬가지로 ‘묘’로 불린다. 연구대상지의 묘호 및 능호는 다음과 같다(Table 1).
한반도에서 무덤에 대한 기록의 기원은? 한반도에서 무덤에 대한 기록은 오래전부터 시작되었다. 그 기원은 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에 거려 나타나는 지석묘(고인돌)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것이 제도로 정립된 시기는 삼국시대부터이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가 각기 고유한 장묘문화를 형성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 M. H., Jang, H. D., Kim, Y. M., Choi, G. H., Lee, W. B., and Lee, E. H. (2013), Looking for Korean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2.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2006). Master Plan of Landscape Architectural Improvement of Jongmyo.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3.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2007). Nomination of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for Inscription on the World Heritage List.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4.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2009). A Study on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e of the Joseon Royal Tombs Keeper's House.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5.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2009). World Heritage :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6.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2010). The Master Plan of Restoring to the Joseon Royal Tombs.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7. Google Image (https://www.google.com) 

  8. http://korean.visitkorea.or.kr 

  9. http://royaltombs.cha.go.kr 

  10. K.Heritage.tv (http://www.k-heritage.tv) 

  11. Kim, W. R. (1996). A Study on the Korean Aesthetics. Yeolhwadang. 

  12.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9). Synthesize Investigation Report on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I.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3.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1). Synthesize Investigation Report on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II.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4.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2). Synthesize Investigation Report on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III.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3). Synthesize Investigation Report on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IV.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6.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3). Synthesize Investigation Report on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V.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7.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4). Synthesize Investigation Report on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VI.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8.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4). Synthesize Investigation Report on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VII.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9. Naver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 

  20. UNESCO WHC (http://whc.unesco.org) 

  21. Wikipedia (https://ko.wikipedia.org/wiki)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