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왕릉 선릉·정릉의 역사문화경관림 실태와 관리 방안
An Actual Condition and Management Plan of Historical Cultural Forest in Joseon Royal Tombs Seolleung and Jeongneung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3, 2019년, pp.13 - 21  

최종희 (배재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선왕릉 선릉·정릉 역사문화경관림의 실태를 파악하고 체계적인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문화경관림 현황의 경우 식생은 갈참나무와 소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갈참나무군락 21.22%, 소나무군락 21.22%, 소나무 식재림 3.69%로 분포하고 있다. 주요 식생 군락은 소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 소나무식재림, 잣나무식재림 등이다. 둘째, 8개 자연림 방형구에서 흉고직경을 측정한 결과 주요 수종은 소나무, 갈참나무, 오리나무였으며, 흉고직경의 최고 분포범위는 소나무 20-25cm, 갈참나무 25-30cm, 오리나무 25-30cm로 나타났다. 셋째, 선릉에는 능의 형식에 맞지 않게 왕릉과 왕비릉 사이에 숲이 조성되어 있으며 정릉에는 능역이 좁아 소나무림이 조성되기에 불리한 환경을 보이고 있으며, 제향공간 좌우의 소나무림이 높이차가 심해 시각적 경관을 저해하고 있다. 넷째, 역사문화경관림의 관리방안으로 외래종인 스트로브잣나무를 제거하고 능선을 따라 소나무림을 조성한다. 선릉의 왕릉과 왕비릉 사이의 숲 제거 후 잔디밭을 조성하고, 정릉 좌우의 소나무림 높이를 조정하고 곡장 가까이에 있는 소나무들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한다. 시각적으로 이질감을 보이는 수목들은 과감하게 정리하고, 경계부는 주변의 낙엽활엽수와 조화되도록 조정하고 10m내외의 완충공간을 유지한다. 본 연구는 역사적 상황이 유사한 조선왕릉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에는 개별 조선왕릉 역사문화경관림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Seolleung and Jeongneung historical cultural landscape forests of Joseon Royal Tombs and to prepare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urrent situation, vegetati...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지조사는 2016년 4월부터 9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식물 군락별 식분이 균질한 지점에 수고와 군락의 크기를 고려하여 10mX20m, 15mX20m, 20mX20m 크기의 방형구 조사를 실시하였다(Figure 3). 각 방형구에 출현하는 교목층과 아교목층의 흉고직경 2cm 이상의 목본에 대해서는 흉고직경(DBH)을 측정하여 현재의 환경이 역사경관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앞으로 식생의 생육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현존식생도에서 식물군락명은 상관과 우점종에 의거하였으며, 최상층에 2개 이상의 수종이 높은 비율로 혼생하고 있을 경우 그중 2개의 종을 우점도의 순위에 따라 연명으로 명명하였다.
  • 본 연구는 조선왕릉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진정성, 완전성을 존중하면서, 조선왕릉 역사문화경관림의 실태를 파악하고 체계적인 보존 ·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중부지구 관리소 산하 선릉, 정릉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집약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위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조선왕릉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 진정성(Authenticity), 완전성(Integrity)을 존중하면서, 조선왕릉 중 선릉 · 정릉의 역사문화경관림 실태를 파악하고 체계적인 보존 ·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릉 · 정릉은 무엇인가? 선릉 · 정릉은 조선 9대 임금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 윤씨의 무덤인 선릉, 11대 임금 중종의 무덤인 정릉으로, 조선시대에는 신성한 왕릉으로 그리고 현대에는 도심의 녹지로서 오랜 시간에 걸쳐 숲이라는 형태로 인간과 자연이 상호작용한 결과로 만들어진 일종의 ‘역사문화경관림2)’이다. 선릉 · 정릉의 역사문화 경관림은 본래 소나무로 이루어진 경관을 갖고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 한국전쟁, 도시화를 거치면서 많은 피해와 변화를 거치게 되면서 많은 소나무가 사라지고 그 위치에 아카시아나무와 리기다소나무와 같은 외래 수목으로 채워졌다.
시대적 변화 속 선,정릉의 역사문화 경관림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가? 선릉 · 정릉은 조선 9대 임금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 윤씨의 무덤인 선릉, 11대 임금 중종의 무덤인 정릉으로, 조선시대에는 신성한 왕릉으로 그리고 현대에는 도심의 녹지로서 오랜 시간에 걸쳐 숲이라는 형태로 인간과 자연이 상호작용한 결과로 만들어진 일종의 ‘역사문화경관림2)’이다. 선릉 · 정릉의 역사문화 경관림은 본래 소나무로 이루어진 경관을 갖고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 한국전쟁, 도시화를 거치면서 많은 피해와 변화를 거치게 되면서 많은 소나무가 사라지고 그 위치에 아카시아나무와 리기다소나무와 같은 외래 수목으로 채워졌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능침 주변에 소나무를 심고, 외래 수종을 소나무로 대체하였으나 여전히 그 결과는 미흡한 상태이며, 체계 적인 계획 없이 진행되어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3].
중점 관리 지역 내 '동원이강릉'의 형식에 맞지 않는 점은 무엇인가? 셋째, 중점관리지역의 소나무림은 선릉의 경우 능의 형식에 맞지 않게 왕릉과 왕비릉 사이에 숲이 조성되어 있으며 정릉의 경우 능역이 좁아 소나무림이 조성되기에 불리한 환경을 보이고 있으며 제향공간 좌우의 소나무림이 높이차가 심해 시각적 경관을 저해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wang, J. S.(2009). Joseon Royal Tombs, the God's Garden. Seoul: Noonbit. 

  2. Choi, J. H., Lee, C. H., Hwang, K. M. and Kim, K. Y.(2017). A Study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Joseon Royal Tomb's System: Focused on Joseon Royal Tombs of Middle District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5(4): 43-55. 

  3. Joseon Royal Tombs Management Office(2016). Historical Cultural Landscape Forest Resource Research of Joeseon Royal Tombs.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4. Mok, E. S.(1988). Goryeo Joseon Royal Tombs Documents. Seoul: Munseongdang. 

  5. Jeong, S. H.(1993). The Charateristics of the Goryeo Royal Tombs. Master's Thesis.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6. Park, J. G.(1982). A Study on the Characters of Archetypal Space Found in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Traditional Royal Mausoleum. Master's Degre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7. Lee, Y.(1992). A Study on the Architecture and Site Layout of the Royal Tomb Area in Chosun Period. Ph.D. The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8. Lee, C. H.(1998).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ce Composition of the Joseon Royal Tombs. Ph.D. Thesis of Sungkyunkwan University. 

  9. Sim, W. K., Kim, S. A., Ryu, K. M. and Choi, J. H.(2007).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of the Royal Tombs Yung and Ker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4): 65-75. 

  10. Kim, H. N., Sim, W. K. and Choi, J. H.(2007).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of the Royal Tombs Hongneung and Yureu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3): 92-104. 

  11. Kim, K. Y., Jung, K. H. and Choi, J. H.(2011). A Study on the Type of Sinro . Eoro in Joseon Royal Tombs: Focused on the Type of Irregular Sinro.Eor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1): 38-49 

  12. Yu, Y. G.(1976). A Study of the Stone Man and Stone Animal in the Late Joseon Royal Tombs. Master's Thesis of Hongik University. 

  13. Bae, Y. S.(1976). A Study on the Stone Animals of the Royal Tombs in the Yi Dynasty. Master's Thesis of Ewha Womans University. 

  14. Eun, K. J.(1985). The Stone Figure of Royal Tomb of Yi Dynasty. Seoul: Minsokhwa. 

  15. Lee, J. H.(1997). A Study on the Arrangement and Moulding Character of Stone Status at Tombs of the first half of Chosun dynasty: Based on the Man-Stone Sta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5(2): 1-20. 

  16. Lee, C. H., Jung, J. S., Lee, W. H. and Choi, J. H.(2010).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Focused on Gimpo Jareu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8(2): 86-97. 

  17. Lee, C. H., Jung, J. S., Lee, W. H. and Choi, J. H.(2010).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Focused on Ureung . Gunreu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8(3): 39-52. 

  18. Lee, C. H., Kim, K. Y., Kim, D. G. and Choi, J. H.(2014). A Study on Intervention of the Tomb's System in Joseon Royal Tombs, the World Cultural Heritage of UNESC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4): 94-104. 

  19. Lee, K. J., Yu, C. H. and Woo, J. S.(1991). A Study on the Vegetational Landscape Structure and Administration Planning of Younguan Royal Tomb Fores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9(3): 41-54. 

  20. Lee, S. and Kim, Y. M.(2004). The Planting and the Maintenance around the Royal Tombs of the Josen Dynasty: Focusing on the Seo-O-Reu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1): 88-101. 

  21. Cho, A. Y.(2008). A Research on the Vegetation Management Criteria for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Focused on Donggureung, Gwangneung, and Seooreung. Master's Thesis of Sangmyung University. 

  22. Ahn, H. Y.(2016). A Study on the Location of Joseon Royal Tombs and Ecological Interpretation. Master's Thesis of Korea University. 

  23. Joseon Royal Tombs Homepage(http://royaltombs.cha.go.kr/) 

  24.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omepage(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 

  25. Chungwantonggo(http://e-kyujanggak.snu.ac.kr/home/main.do?siteCdKYU) 

  26. Uigwe(http://www.museum.go.kr/uigwe/home) 

  27. Seonwonbogam Publishing Committee(1998). Seonwonbogam. Seoul: Gyemyeongsa. 

  28. Daedongyeojido(http://mirror.puzzlet.org/ddy/) 

  29. ICOMOS-KOREA(2010). Charters and Declarations of ICOMOS. ICOMOS-KOREA. 

  30.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18). 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