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수준별 거주지 분리와 근린주거환경 격차: 서울시를 사례로
Residential Segregation by Education Attainment and Neighborhood Disparity: A Case Study of Seoul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19 no.4, 2016년, pp.729 - 742  

정수열 (상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이정현 (상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세계화와 산업구조조정으로 인해 가속되는 사회경제적 양극화는 학력자본의 세대 간 대물림으로 고착될 위험에 처해 있다. 본 연구는 학력자본의 대물림은 거주지 분리를 매개로 이루어진다는 인식 하에 중년층의 교육수준별 거주지 분리에 따른 근린주거환경의 격차를 서울시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국지적 거주지 분리 측도를 통해 근린별 거주지 분리를 측정하고 자연, 주택, 지역인구, 생활 편의 교통, 교육, 복지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근린주거환경을 가늠하는 변수들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학력층별 집중-집적지 간에는 뚜렷한 근린주거환경의 격차가 나타났다. 특히 저학력층과 고학력층 집중-집적지 사이에는 주택환경과 교육환경 측면에서 정반대의 성격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도시의 계층별 거주지 분리의 원인에 대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되기도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cio-economic polarization in Korea partly due to recent globalization and industrial restructuring could reduce social mobility significantly through passing down educational achievement to one's children. Under the notion that residential segregation is geographical frame for the reproduction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거주지 분리 측도는 도시마다 하나의 값을 연산함으로써 도시 간 비교를 가능하게 하는 전역적 거주지 분리 측도(global segregation measure)와 도시 내 근린별로 거주지 분리의 정도를 비교할 수 있게 하는 국지적 거주지 분리 측도(local segregation measure)로 나뉜다. 본 연구는 거주지 분리와 근린주거환경 간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국지적 거주지 분리 측도를 사용한다.
  • 개인의 주거 입지는 사회경제적 지위를 보여주는 하나의 표식이며 나아가 향후 지위 변화와 세대 간 재생산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소득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교육수준에 따라 도시민의 거주지가 분리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각 학력층이 어떠한 근린주거환경에 처해 있으며, 다른 학력층과 비교하여 어떤 분야에서 얼마가 격차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현재 한국사회가 사회경제적 양극화와 학력의 대물림으로 사회적 이동성이 낮아지고 신분사회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는 바 이를 완화하는 주거정책을 고안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서울시를 사례로 교육수준별로 거주지가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교육수준별 집단거주지의 근린주거환경적 특성을 파악하고 집단 간 격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로써 교육수준별 거주지 분리가 사회경제적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공간적 토대가 됨을 밝히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서울시를 사례로 교육수준별로 거주지가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교육수준별 집단거주지의 근린주거환경적 특성을 파악하고 집단 간 격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로써 교육수준별 거주지 분리가 사회경제적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공간적 토대가 됨을 밝히고자 한다.
  • 물론 기존에 일부 시도가 있었으나 소수의 한정된 근린주거환경 요소를 고려하는 데 그치거나(한주연, 1989), 모든 계층을 다루지 않고 상위 혹은 하위 계층에만 집중하거나(김창석, 2002; 이영아, 2015), 근린의 특성을 반영하기에는 너무 넓은 지리적 범위로 집계된 통계자료를 활용하는(김창석, 2002) 한계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수준으로 정의된 모든 계층을 대상으로 근린주거환경에 대한 포괄적인 변수를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일례로, Fong and Shibuya(2000)는 센서스 자료를 바탕으로 캐나다 도시에서 빈곤층의 공간적 분리를 분석하였는데 흑인 빈곤층과 아시아 출신 빈곤층의 분리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1) 즉, 동일한 빈곤층이라 할지라도 그 인종/민족성에 따라 분리되어 있는 정도가 달랐다는 것이다. 분리 정도는 도시 전반의 소득 거주지 분리보다 인종/민족별 거주지 분리에 상관되어 있음을 밝혔으며, 특히 도시재개발사업은 흑인 빈곤층의 공간적 분리를 낳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력자본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학력자본은 직업 선택의 폭을 정하고 직업은 임금수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임금이 가구 소득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한국 사회에서 학력자본이 소득수준을 결정한다.
학력자본의 대물림 현상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특히 임금이 가구 소득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한국 사회에서 학력자본이 소득수준을 결정한다. 결국 학력자본의 대물림 현상은 단순히 예전과 달리 교육이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의 방편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세대가 거듭될수록 사회경제적 격차가 더 심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처럼 사회경제적 양극화의 바탕에는 흔히 언급되는 세계화와 산업구조개편뿐만 아니라 학력자본의 대물림이 있다.
근린효과의 사례는 무엇이 있는가? 즉 이웃주민의 평균적 계층 수준이 자신의 사회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효과(neighborhood effect)가 있기에 자신보다 높은 지위를 가진 이웃과 거주하는 사람은 자신의 능력과 노력보다 많은 성과를 얻게 된다. 예로, 고소득자는 다른 고소득자와 이웃해 살면서 자신의 소득만으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보다 나은 주거환경을 누릴 수 있다. 결국 거주지 분리는 사회경제적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공간적 기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권오혁.윤완섭, 1991, "서울시 아파트의 공간적 확산과 주거지 분화", 한국사회사연구회, 한국의 도시문제와 지역사회, 한국사회사연구회 논문집 제29집. 문학과 지성사, 94-132. 

  2. 김동현.임업, 2010, "인적자본의 거주지 분리에 관한 탐색적 공간자료 분석", 지역연구 26(2), 41-53. 

  3. 김창석, 2002, "서울시 상류계층(파워엘리트)의 주거지역 분포특성과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65-85. 

  4. 김희삼, 2015, "사회 이동성 복원을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 KDI FOCUS 통권 제54호, 1-8. 

  5. 도경선, 1994, "서울시의 사회계층별 거주지분화에 관한 연구", 지리학논총 23(2), 25-48. 

  6. 류주현, 2009, "외국인 통근 특성에 따른 지역 유형별 비교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4(3), 207-429. 

  7. 박배균.정건화, 2004, "세계화와 "잊어버림"의 정치: 안산시 원곡동의 외국인 거주지역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4), 800-823. 

  8. 박세훈.정소양, 2010, "외국인 주거지의 공간분포 특성과 정책함의", 국토연구 64, 59-76. 

  9. 이영아, 2015, "한국의 빈곤층 밀집 지역 분포 및 형성 과정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1), 45-56. 

  10. 정수열, 2008, "인종민족별 거주지 분화 이론에 대한 고찰과 평가 - 미국 시카고 아시아인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43(4), 511-525. 

  11. 정수열, 2010, "이민자의 주거 집중이 자영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국토지리학회지 44(1), 25-34. 

  12. 정수열, 2015, "계층별 거주지 분화와 경제적 양극화",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4), 1-16. 

  13. 최은영, 2004, 서울의 거주지 분리 심화와 교육환경의 차별화,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최은영.조대헌, 2005, "서울 강남구의 경제적 장벽과 인구이동 특성", 서울도시연구 6(4), 1-20. 

  15. 최재헌.강민조, 2003, "외국인 거주지 분석을 통한 서울시 국제적 부문의 형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6(1), 17-30쪽. 

  16. 한주연, 1989, "서울시의 직업별 거주지 분리현상에 관한 연구", 지리교육논집 21, 32-70. 

  17. Brown, L.A. and S-Y Chung, 2006, "Spatial Segregation, Segregation Indices, and the Geographic Perspective", Population, Space, and Place (form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Population Geography) 12, 125-143. 

  18. Brown, L.A. and S-Y Chung, 2008, "Market-Led Pluralism: Re-Thinking Our Understanding of Racial/Ethnic Spatial Patterning in US Cities",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98, 180-212. 

  19. Chung, S-Y and L.A. Brown, 2007, "Racial/Ethnic Residential Sorting in Spatial Context: Testing the Explanatory Frameworks", Urban Geography 28, 312-339. 

  20. Chung, S-Y, 2009,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of Racial/Ethnic Segregation in U.S. Cities",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3(4), 497-514. (정수열, 2009, 근린성격 분석을 통해 살펴본 미국 인종민족별 거주지분화, 국토지리학회지 43(4), 497-514.) 

  21. Fong, E. and K. Shibuya, 2000, "The Spatial Separation of the Poor in Canadian Cities, Demography, 37(4), 449-459. 

  22. Massey, D.S. and N.A. Denton, 1988, "The Dimensions of Residential Segregation", Social Forces 67, 281-315. 

  23. Massey, D.S., M.J. White, V. Phua, 1996, "The Dimension of Segregation Revisited",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25, 172-206. 

  24. Reardon and Bischoff, 2011, "Income Inequality and Income Segrega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16(4), 1092-1153. 

  25. Townshend and Walker, 2002, The Structure of Income Residential Segregation in Canadian Metropolitan Areas, Canadian Journal of Regional Science, 25,1, 25-52. 

  26. Yim, S.H. and Y.W. Lee, 2002, "Social Polarization and its Spatial Characteristics(사회적 양극화와 공간적 특성)",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y(도시지리학회지) 8(2), 270-2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