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와 주택시스템의 자본주의적 전환: 개혁개방 이후 중국 주택체제의 성격 분석
Capitalistic Transition of Housing System Under Socialist Market Economy: Characteristics of Chinese Housing Regime After Reform and Opening-up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19 no.4, 2016년, pp.743 - 763  

이성호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개혁개방 이후 형성된 사회주의 시장경제 하 중국 주택체제의 성격을 중국의 공공주택 정책인 보장성 주택 정책을 중심으로 주택시스템 비교연구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중국 주택시스템의 전환은 시장기능의 도입과 사회주의 토지공유제의 약화라는 점에서 차별적인 '사회주의 시장경제 주택시스템'의 형성이 아닌, 자본주의 주택시스템의 하위유형으로 전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기존 정부 공급형 계획의 사회주의 방식이 정부의 간접적인 개입과 조정에 따라 시장요소를 통해 주택이 공급되는 정부 주도형 시장화의 방식으로 전환한 것이며, 정부가 가지는 시장주도력은 사회주의적 토지소유의 유산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properties of housing system under the socialist market economy, which is formed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up.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housing system under socialist market economy are actually a subtype of capitalist housing model because of the exist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개혁개방 이후 형성된 사회주의 시장경제 하의 중국 주택시스템이 어떠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가를 중국의 공공주택 제도인 보장성주택 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체제가 왜 전국민에게 상대적으로 평등한 주거권을 보장한다는 나름의 의미를 가진 기존 사회주의 주택시스템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살리지 못한 채 자본주의적 주택문제의 양상을 그대로 노출하고 있는가를 국가 주택시스템의 성격 전환의 측면에서 밝혀보고자 한다.
  • 중국의 사회주의 시장경제 주택시스템이 이미 시장을 전면적으로 도입한 자본주의적 전환이 이루어졌고, 가장 핵심적인 차별성인 토지공유제 역시 유명무실화 되었다고 하더라도, 중국이 여전히 ‘사회주의 국가’를 주창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가관과 정책노선을 반영하는 공공주택 정책의 측면에 서는 또 다른 양상을 보일 수도 있다. 따라서 중국의 공공주택 정책이자, 시장요소 도입에 대한 보완장치로 시행되고 있는 보장성주택 정책의 성격을 통해 자본주의의 하위 주택모델로서 중국의 주택시스템이 기존의 자본주의 주택모델들과 가지는 차별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앞서 주택시스템 주요 분류기준으로 도출하였던 공공주택의 규모와 목표대상, 주택의 점유형태, 정부의 정책개입 정도라는 3가지 기준에서 중국 주택시스 템의 성격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 중국의 체제에 대한 논란 속에서 중국이 사회주의 국가임에 대한 근거로 제시되는 것이 토지가 개인이 아닌 국가의 소유라는 점이다. 본 연구는 중국이 여전히 사회주의의 도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왜 다른 자본주의 국가들과 유사한 주택문제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것은 중국 주택시스템의 어떠한 측면에서 기인한 것인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중국의 체제전환에 따라 새롭게 나타난 사회주의 시장경제 하의 중국 주택시스템이 자본주의 주택시스 템으로 전환의 성격을 가짐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택시스템이란?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광의의 차원에서 주택시스템 (housing system)3)에 대한 논의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주택시스템이란 국가의 주택정책을 포함하여 주택을 중심으로 다양한 행위자와 제도들이 결합된 종합적인 틀로 정의하는데, 한 나라의 주택과 관련된 제도, 문화를 그 정치·경제·사회 시스템과 연관지어 설명하려는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Drudy and Punch, 2002; 이석희·김수현, 2014). 국가가 주택문제에 개입하는 방식은 주택과 관련된 이해집단 간의 관계에 큰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들이 상호 연관되는 방식은 특정한 사회정치적(socio-political) 맥락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에서 국가별로 서로 차별화된 주택시스템이 형성된다(Ball and Harloe, 1992; 하성규, 2010; Lund, 2011).
주택정책이란? 주택정책은 국가가 자국의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개입하는 과정, 즉 정부가 사회적 목표의 달성을 위해 주택시장을 조절하는 것 이라고 볼 수 있다. Donnison and Ungerson(1982)의 경우 주택정책을 ‘주택의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고안된 지속적인 행위의 과정’으로 정의 하면서, 주택문제가 복잡한 사회적 관계들 속에서 형성되는 만큼 주택정책의 범위를 정부의 직접적 행위로만 한정지어서는 안 된다고 보았다.
중국의 주택문제는 자본주의 국가들이 경험하고 있는 주택문제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중국이 여전히 사회주의에 기반하고 있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개혁개방 이후 특히 1998년의 주택상품화 조치 이후 등장한 새로운 주택체제는 급격한 부동산 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오히려 빈부격차의 확대에 기여하면서 도시 불평등, 계층 불평등을 확대시키고 주택소비의 계급화를 통해 사회갈등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2)에서 중국의 주택문제는 자본주의 국가들이 경험하고 있는 주택문제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공식적 주택시장에 진입하지 못하는 농민공(农民工)들은 주거비가 저렴한 곳을 찾아 기본적인 기반시설마저 갖추지 못한 도시 주변의 성중촌(城中村)에 비공식적, 비제도적 집단거주지를 형성하고 있으며(Tang and Chung, 2002), 정규 주택시장에 진입하였거나 진입하려고 하는 중산계층은 주택가격의 급격한 상승에서 기인한 구매력의 문제로 인해 방노(房奴, 하우스 푸어)와 협심층(夹心层, 샌드위치 계층)으로 전락하고 있다. 이처럼 주택문제의 양상이 소득수준이나 지위에 따라 계층화되어 나타나며, 주택의 배분유형이 사회집단 간의 갈등을 유발한다는 점, 즉 주택의 소유관계와 소비 자체에 있어서의 주택 계급(housing class)화 자체가 사회주의 주택시스 템에서는 이론적으로 나타날 수 없다는 점을 고려 할 때 중국 도시 주택문제의 양상이 자본주의 주택문제화 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강승호, 2011, "중국 지방정부의 렌트추구와 성장패턴", 동북아경제연구 23(3), pp.135-162. 

  2. 김수한, 2009, "중국 공공주택모델 전환에 관한 연구: 경제적용주택과 저가임대주택을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 10(2), pp.123-154. 

  3. 김수한.조영관, 2010, "중국과 러시아의 주택 사유화와 주택개혁 비교 연구", 중소연구 34(1), pp.137-174. 

  4. 박시종 옮김, 2007, 복지 자본주의의 세 가지 세계,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Esping-Andersen, G., 1990,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Cambridge: Polity Press). 

  5. 박인성, 2001, "상하이시의 주택 및 신도시개발정책에 관한 고찰: 서울 경험과의 비교를 통하여", 국토연구 31, pp.15-24. 

  6. 박인성.조성찬, 2011, 중국의 토지개혁 경험: 북한 토지 개혁의 거울, 파주: 한울. 

  7. 서우석, 1999, "사회주의 국가들의 주택정책 전개과정과 비교한 북한의 주택부문에 대한 평가", 주택연구 7(2), pp.51-74. 

  8. 신금미, 2015, "중국 토지 공유제하에서 부동산 보유세 징수 가능 여부에 관한 연구", 조세학술논집 31(2), pp.215-251. 

  9. 안재섭, 2002, "중국 경제개발구의 설치와 운영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5(1), pp.89-104. 

  10. 유희문 옮김, 1995, 중국사회주의시장경제론, 서울: 진명문화사 (中???院?展?究中心, 中?社?科?院 ?, 1993, 中?社?主?市????, 北京: 中??展出版社). 

  11. 이석희.김수현, 2014, "한국 주택체제의 성격과 변화: 동아시아 발전주의 국가의 특성을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24(2), pp.5-37. 

  12. 이승욱, 2016,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특구전략: 영역화, 분권화, 그리고 중국식 개혁개방?",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pp.122-142. 

  13. 이원호, 2005, "1990년대 중국 사영기업의 성장과 지역발전", 한국경제지리학회지 8(2), pp.285-299. 

  14. 이중희, 2004, "단위체제의 변화: 배경, 결과 및 전망", 전성홍 엮음, 전환기의 중국 사회 II, 서울: 오름, pp.183-218. 

  15. 임길진.이만형, 1991, 사회주의 중국의 주택정책, 서울: 나남. 

  16. 임반석, 2003, 중국 주택상품화 연구, 서울: 해남. 

  17. 전현택, 2001, 북경시 주택상품화의 전개과정과 공간적 패턴,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8. 정수열, 2015, "사회경제적 양극화와 도시 내 계층별 거주지 분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1), pp.1-16. 

  19. 최병두, 2011, "신자유주의적 도시화와 기업주의 도시 프로젝트",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3), pp.263-285. 

  20. 하성규, 2010, 주택정책론 제4전정 증보판, 서울: 박영사. 

  21. 한삼인.김상명, 2007, "중국의 부동산에 관한 물권법의 주요내용과 전망", 토지법학 23(2), pp.61-81. 

  22. 裴健?, 2009, "目前??适用房政策的??及深?原因分析", ?代??信息 2009年 21期, pp.304-305. 

  23. ?燕云 主?, 2012, 中?的住房改革及成效, 北京: ??管理出版社. 

  24. ?宇, 2012, 我???适用住房政策的效果????展前景?究, 北京: 中??展出版社. 

  25. 宋炳?, 2011, "住宅建?用地使用??期之法理分析及完善路?", ?土?源情? 2011年 第8期, pp.26-30. 

  26. 朱?新, 2012, "?住宅建?用地使用?自??期及其?系效?", 法商?究 2012年 第2期, pp.3-12. 

  27. 住房和城?建?部政策?究中心 中冶置?集?有限公司?合???, 2011, 求索公共租?住房之路, 北京: 中?建筑工?出版社. 

  28. Amin, S., 2005, "China, Market Socialism and U.S. Hegemony", Review 28(3), pp.259-279. 

  29. Andrusz, G., 1985,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in the USSR,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0. Balchin, P. and Rhoden, M., 2002, Housing Policy: An Introduction 4th Edi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31. Ball, M. and Harloe, M., 1992, "Rhetorical Barriers to Understanding Housing Provision", Housing Studies 7(1), pp.3-15. 

  32. Bourne, L. S., 1981, The Geography of Houing, London:. Edward Arnold. 

  33. Chen, J., Yang, Z. and Wang Y.P., 2014, "The New Chinese Model of Public Housing: A Step Forward or Backward?", Housing Studies 29(4), pp.534-550. 

  34. Chiu. R., 2008, "Government Interventiion in Housing: Convergence and Divergence of the Asian Dragons", Urban Policy and Research 26(3), pp.249-269. 

  35. Di, Z. X., Deng, L. and Hu, H., 2009, Three Models of Public Housing in the 20th Century: Cases in the U.S., China and Singapore, in Hammond, E. P. and Noyes A. D. (eds.), Housing: Socioeconomic, Availability and Development Issues, New York.: Nova Science Publishers Inc. 

  36. Doling, J., 1997, Comparative Housing Policy: Government and Housing in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New York: St. Martin's Press. 

  37. Donnison, D. and Ungerson, C., 1982, Housing Policy, Harmondsworth: Penguin Books. 

  38. Drudy, P. J. and Punch, M., 2002, "Housing Models and Inequality: Perspectives on Recent Irish Experience", Housing Studies 17(4), pp.657-672. 

  39. Goodman, R., White, G and Kwon, H. J., 1998, The East Asian Welfare Model: Welfare Orientalism and the Stat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40. Harloe, M., 1995, The People's Home?: Social Rented Housing in Europe and America, Oxford UK and Cambridge USA: Blackwell. 

  41. Kemeny, J., 1995, From Public Housing to Social Renting: Rental Policy Strategy in Comparative Perspective, London: Routledge. 

  42. Kemeny, J., 2006, "Corporatism and Housing Regimes", Housing, Theory and Society 23(1), pp.1-18. 

  43. Khan, A. R. and Carl Riskin C., 2001, Inequality and Poverty in China in the Age of Globaliza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44. Lund, B., 2011, Understanding Housing Policy, 2nd Edition, Bristol(UK) and Portland(OR): Policy Press. 

  45. Schwartz, H. M. and Seabrooke, L.(eds.), 2009, The Politics of Housing Booms and Busts,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46. Stephens, M., 2010, "Locating Chinese Urban Housing Policy in an International Context", Urban Studies 47(14), pp.2965-2982. 

  47. Tang, W. and Chung H., 2002, "Rural-Urban Transition in China: Illegal Land Use and Construction", Asia Pacific Viewpoint 43(1), pp.43-62. 

  48. Wang, Y. P. and Murie, A., 2011, "The New Affordable and Social Housing Provision System in China: Implications for Comparative Housing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Housing Policy 11(3), pp.237-254. 

  49. Zou, Y., 2014, "Contradictions in China's affordable housing policy: Goal vs. structure", Habitat International 41, pp.8-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