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중구 감소성 발열을 보이는 소아 암 환자에서의 요로감염에 대한 연구
Urinary tract infections in pediatric oncology patients with febrile neutropenia 원문보기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 영남의대학술지, v.33 no.2, 2016년, pp.105 - 111  

서규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박선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세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재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Neutropenic fever is one of the most common and potentially severe complications of chemotherapy in pediatric oncology patients, while urinary tract infection (UTI)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bacterial infections in these patient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아 호중구 감소성 발열 환자군 내에서 요로감염 환자군의 특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조군으로 설정한 비요로감염군은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긴 했으나, 발열을 일으키는 원인, 감염된 부위 등에 있어서 이질성이 높은 집단이다.
  • 소아의 호중구 감소성 발열의 원인들 중 요로감염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많지 않으며, 임상양상 및 예후에 대한 연구가 일부 보고된 바 있다[7,8]. 이에 저자들은 호중구 감소증이 있는 환자의 요로감염의 진단과 임상증상 및 예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비요로감염군에서 호중구 감소성 발열의 원인이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아서 정확한 비교가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호중구 감소성 발열의 원인으로 세균감염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감염 및 진균감염 등이 있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세균감염에 대한 후향적 연구만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요로감염군보다 비요로감염군에서 발열기간이 짧았던 이유는 요로감염군에서 세균감염이 더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암 환자의 호중구 감소성 발열 중 감여의 병소로 흔하게 보고되는 부위는 어디인가? 여러 연구에 따르면, 소아암 환자의 호중구 감소성 발열 중 감염의 병소로 흔하게 보고되는 부위는 호흡기, 소화기, 혈액과 비뇨기이다. 이 중 요로감염의 빈도는 약 10-25%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3,4].
소변검사 및 소변 침사 현미경 검사 시 호중구 감소증 기간 중에 발열이 발생하면 어떤 결과가 생기는가? 따라서 소변배양검사 결과를 확인하기 전 소변검사 및 소변 침사 현미경 검사가 요로감염의 추정진단을 위한 선별검사로 사용되고 있다[5]. 하지만 호중구 감소증 기간 중에 발열이 발생하면, 염증반응의 저하로 인하여 증상과 징후가 잘 동반되지 않고[6] 요로 감염의 경우에도 소변 검사 및 소변 현미경 침사검사에서 농뇨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
요로감염의 진단 중 소변 배양검사의 특징은 무엇인가? 요로감염의 진단에는 소변 배양검사가 확진 방법이지만,결과 확인까지 최소 48시간 이상 경과해야 하고, 검체를 이송,보관하는 과정에서 오염이 생길 소지가 있다. 따라서 소변배양검사 결과를 확인하기 전 소변검사 및 소변 침사 현미경 검사가 요로감염의 추정진단을 위한 선별검사로 사용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hrnbecher T, Phillips R, Alexander S, Alvaro F, Carlesse F, Fisher B, et al.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fever and neutropenia in children with cancer and/or undergoing hematopoietic stem-cell transplantation. J Clin Oncol 2012;30:4427-38. 

  2. Miedema KG, Tissing WJ, Abbink FC, Ball LM, Michiels EM, van Vliet MJ, et al. Risk-adapted approach for fever and neutropenia in paediatric cancer patients--a national multicentre study. Eur J Cancer 2016;53:16-24. 

  3. Tezcan G, Kupesiz A, Ozturk F, Ogunc D, Gultekin M, Yesilipek A, et al. Episodes of fever and neutropenia in children with cancer in a tertiary care medical center in Turkey. Pediatr Hematol Oncol 2006;23:217-29. 

  4. Bakhshi S, Padmanjali KS, Arya LS. Infections in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n analysis of 222 febrile neutropenic episodes. Pediatr Hematol Oncol 2008;25:385-92. 

  5. Lohr JA, Portilla MG, Geuder TG, Dunn ML, Dudley SM. Making a presumptive diagnosis of urinary tract infection by using a urinalysis performed in an on-site laboratory. J Pediatr 1993;122:22-5. 

  6. Urabe A. Clinical features of the neutropenic host: definitions and initial evaluation. Clin Infect Dis 2004;39(Suppl 1):S53-5. 

  7. Klaassen IL, de Haas V, van Wijk JA, Kaspers GJ, Bijlsma M, Bokenkamp A. Pyuria is absent during urinary tract infections in neutropenic patients. Pediatr Blood Cancer 2011;56:868-70. 

  8. Sandoval C, Sinaki B, Weiss R, Munoz J, Ozkaynak MF, Tugal O, et al. Urinary tract infections in pediatric oncology patients with fever and neutropenia. Pediatr Hematol Oncol 2012;29:68-72. 

  9. Hughes WT, Armstrong D, Bodey GP, Bow EJ, Brown AE, Calandra T, et al. 2002 guidelines for the use of antimicrobial agents in neutropenic patients with cancer. Clin Infect Dis 2002;34:730-51. 

  10. Santolaya ME, Alvarez AM, Aviles CL, Becker A, Cofre J, Enriquez N, et al. Prospective evaluation of a model of prediction of invasive bacterial infection risk among children with cancer, fever, and neutropenia. Clin Infect Dis 2002;35:678-83. 

  11. Wald E. Urinary tract infections in infants and children: a comprehensive overview. Curr Opin Pediatr 2004;16:85-8. 

  12. Choi L, Cho SE, Yim HE, Yoo KH, Hong YS, Lee JW. Clinical significance of pyuria in pediatric patients with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11;15:66-75. Korean. 

  13. Mulinde J, Joshi M. The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roach to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the neutropenic patient. J Antimicrob Chemother 1998;41(Suppl D):51-5. 

  14. Mori R, Yonemoto N, Fitzgerald A, Tullus K, Verrier-Jones K, Lakhanpaul M. Diagnostic performance of urine dipstick testing in children with suspected UTI: a systematic review of relationship with age and comparison with microscopy. Acta Paediatr 2010;99:581-4. 

  15. Savory DJ. Reference ranges for serum creatinine in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Ann Clin Biochem 1990;27:99-101. 

  16. Clark LC Jr, Thompson HL, Beck EI, Jacobson W. Excretion of creatine and creatinine by children. AMA Am J Dis Child 1951;81:774-83. 

  17. Ahlstrom A, Tallgren M, Peltonen S, Pettila V. Evolution and predictive power of serum cystatin C in acute renal failure. Clin Nephrol 2004;62:344-50. 

  18. Haase-Fielitz A, Bellomo R, Devarajan P, Story D, Matalanis G, Dragun D, et al. Novel and conventional serum biomarkers predicting acute kidney injury in adult cardiac surgery--a prospective cohort study. Crit Care Med 2009;37:553-60. 

  19. Herrero-Morin JD, Malaga S, Fernandez N, Rey C, Dieguez MA, Solis G, et al. Cystatin C and beta2-microglobulin: markers of glomerular filtration in critically ill children. Crit Care 2007;11:R59. 

  20. Yim HE, Yim H, Bae ES, Woo SU, Yoo KH. Predictive value of urinary and serum biomarkers in young children with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s. Pediatr Nephrol 2014;29:2181-9. 

  21. Sim JH, Yim HE, Yoo KH. Correlation between serum cystatin c levels and clinical parameters in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s.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14;18:85-91. Korean. 

  22. Ikezumi Y, Honda M, Matsuyama T, Ishikura K, Hataya H, Yata N, et al. Establishment of a normal reference value for serum ${\beta}2$ microglobulin in Japanese children: reevaluation of its clinical usefulness. Clin Exp Nephrol 2013;17:99-105. 

  23. Jo YJ, Lee EJ, Choi KM, Eun YM, Yoo HJ, Kim CH, et al. Causative organisms of community acquired urinary tract infection and their antibiotic susceptibility at a secondary hospital in Korea.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10;17:30-5. Korean. 

  24. Johnson JR, Vincent LM, Wang K, Roberts PL, Stamm WE. Renal ultrasonographic correlates of acute pyelonephritis. Clin Infect Dis 1992;14:15-22. 

  25. Choi JY, Cho JH, Park YH. Power Doppler sonography for the upper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Yeungnam Univ J Med 2007;24:179-85.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