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유농업 전문가 양성을 위한 정책 우선순위 분석
Analysis of Policy Priorities for Training Agro-healing Experts Using the AHP Method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3 no.4, 2016년, pp.419 - 429  

홍지영 (농정연구센터) ,  이병오 (강원대학교 농업자원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the policy priorities for training agro-healing experts. Training agro-healing experts is an important task that should boost local community in rural areas. In order to make an efficient decision making, the study analyses priority of relevant policies using the AHP(Analytic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치유농업 전문가 양성 체계, 특히 국내에서 진행 중인 ‘치유농업 지도자 과정’의 운영현황 및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 또한 강원도농업기술원의 치유농업 지도자 과정과 홍성군, 태안군, 고창군의 치유농업 교육⋅양성과정 운영 사례를 통해 치유농업 전문가 양성을 위한 현황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 이용한 계층분석법(AHP)은 1970년대 초반 Saaty 교수가(Saaty, 1980; Saaty, 1983) 미 국무부의 군비축소 및 무기통제에 대한 의사결정을 능률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개발하였다. 뒤이어 행정학, 정책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주로 쓰이는 방법으로 다속성, 다목적의 의사결정을 다루는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 분석기법 중의 하나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이제 시작단계인 우리나라에서 치유농업이 더욱 효율적으로 확산되고 정착되기 위해서는 인적자원인 치유농업 전문가의 양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 하에 계층분석법(AHP)을 이용하여 정책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적자원의 하나로서 특정한 분야에 고도의 기술과 깊은 지식을 지닌 사람을 뜻하는 ‘전문가(experts)’를 규정하였으며 전문가 양성과 활용⋅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이들의 역량을 제고시키는 것이 조직에 미치는 효과와 성과를 증대시킨다고 제시하고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인식에 입각하여 치유농업 전문가 양성을 위한 정책 우선순위를 계층분석법(AHP)을 통해 도출하여 제시하자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치유농업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능한 치유농업 전문가들이 많이 양성되어 우리나라 치유농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인식에 입각하여 치유농업 전문가 양성을 위한 정책 우선순위를 계층분석법(AHP)을 통해 도출하여 제시하자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치유농업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능한 치유농업 전문가들이 많이 양성되어 우리나라 치유농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정순진 등(2016)은 네덜란드의 치유농장 대표와의 직접적인 면담을 통하여 농장의 실질적인 전문 인력에 대한 자격 체계의 흐름을 파악하고, 치유농업 전문 인력에 대한 자격체계인 MBO(1-4) 과정의 교육훈련 기관(Groenewelle, wellantcollege, nordwincollege), BEZINN(네덜란드 치유농업 지역 네트워크)의 내용을 조사⋅분석하였다. 이어서 국내 치유농업 분야의 고용 창출 및 치유농업 전문가 양성 체계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유농업 전문가 양성을 위한 우리나라의 노력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필요성에서 2013년 강원도농업기술원에서 치유농업 지도자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1년간 운영한 바 있고, 충남 홍성군 농업기술센터에서도 2015년 「홍성농업대학」을 운영하면서 치유농업 과정을 개설하는 등 치유농업 전문가 양성을 위한 노력들이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들은 임시적인 수단에 머무르고 있으며, 치유농업 전문가 양성을 위한 활동이 본격화 되었다고는 보기 어렵다.
치유농업을 이끌어 나갈 전문가에게 다양한 관련 영역 융합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치유농업의 수요증대에 대응하여 공급도 적절히 확대되어야 하지만, 우리나라 치유농업의 공급 수준은 아직 속도가 느리고 시스템도 미비한 실정이다. 치유농업은 심신이 취약한 사람들, 어린이,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할 때 농학의 지식이나 농사기술에 국한되지 않고 의학, 교육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등 다양한 관련 영역이 함께 융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을 가지고 치유농업을 이끌어 나갈 전문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
유럽과 미국 등에서는 치유농업이 어떻게 불리는가? 유럽과 미국 등에서는 치유농업이 ‘건강을 위한 농업 (farming for health)’, ‘사회적 농업(social farming)’, ‘녹색치유농업(green care farming)’ 등으로 불리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농업의 복지력(福祉力)’, ‘복지농장’, ‘원예치료’ 등의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유럽, 미국, 일본 모두 ‘치유⋅치료⋅복지를 위한 농업⋅농촌 자원의 활용’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의 정의와 큰 차이가 없다고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강원도농업기술원. (2013). 치유농업 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 춘천: 강원도농업기술원. 

  2. 김경미, 문지혜, 정순진, & 이상미. (2013). 한국 치유 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0(4), 909-936. 

  3. 김기태, & 조봉순. (2008). 인적자원관리와 조직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16(1), 115-157. 

  4. 김남선. (2014). 마을평생교육지도자 양성과정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리더십유형과 프로그램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농촌지도와 개발, 21(1), 177-217. 

  5. 김남선, & 안현숙. (2016). 마을평생교육지도자의 특성에 따른 마을 평생교육 실천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3(1), 89-99. 

  6. 김용렬. (2013). 시대변화에 따른 농업.농촌의 공익적.경제적 가치 재조명.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김용렬, 김태곤, & 허주녕. (2014). 농업의 6차산업 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김홍기, & 이종원. (2013). 자원기반 이론과 AHP 방법을 활용한 민간 경호경비 기업의 전략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통권 36호, 177-200. 

  9. 김희동, 박정운, 이석원, & 양성범. (2012). 녹색치유농업에 대한 참여의사 및 지불의사추정: 직무 스트레스가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호텔리조트연구, 21(3), 245-262. 

  10.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2013). 치유농업정착을 위한 전략 개발. 수원: 농촌진흥청. 

  11. 박석돈. (2011). 미국재활상담사의 다면적 역할 고찰.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4(3), 49-67. 

  12. 박우성. (2002). 역량중심의 인적자원관리. 세종: 한국노동연구원. 

  13. 백성준, 강일규, 류장수, & 윤성. (2005). 지역인적자원 개발 거버넌스 체제 구축 방안 연구. 세종: 한국 직업능력개발원. 

  14. 서윤정, 박정운, 한상연, 황대용, & 양정현. (2013). 6차 산업화 경영체 경영.기술수준 평가지표 개발: AHP 분석을 적용하여. 벤처창업연구, 8(4), 177-191. 

  15. 송근원, & 이영. (2013). AHP의 일관성 향상을 위한 척도 재구성. 사회과학연구, 29(2), 271-288. 

  16. 유나연(2016). 원예치료사의 직업 전문화를 위한 직무 실태 분석.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유현실, & 김창대. (2011). 진로상담전문가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2(2), 241-268. 

  18. 윤덕찬. (2010). AHP분석을 통한 장애인생활시설의 경쟁력 예측요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 이경아, &김경희. (2006). 평생교육사 전문성 구인 타당화 및 전문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에 관한 실증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2(2), 91-119. 

  20. 이민선, 백태선, 신희성, 이왕림, 박수진, 박찬우, et al. (2013). 통합 의료적 관점에서 바라 본 산림치유 지도사 양성 교육과정 개발안. 디지털융복합연구, 11(8), 227-234. 

  21. 이민우. (2008). 고성과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층분석 및 매개 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11(2), 215-236. 

  22. 이상문. (2016).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교육 개선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3. 이석원. (2013). 녹색치유농업의 해외 실태 및 국내도입 전략 개발. 부천: 유한대학교. 

  24. 이동철. (2012). 외식 프랜차이즈 슈퍼바이저의 핵심 역량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AHP분석을 이용하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장용선, 김민수, 이강민, & 조대환(2014). 중소기업의 고몰입 인적자원관리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19(3), 103-114. 

  26. 정순진, 김경미, 유은하, 장윤아, 이상미, & Jan Hassink. (2016). 네덜란드 치유농업 인력 양성 체계 분석을 통한 국내 치유농업 활용방안 모색. 원예과학기술지. 34(별호II), 228-229. 

  27. 최승일. (2011). AHP 분석을 이용한 금융기관 운영리스크 측정. 한국경영과학회지. 28(3), 73-82. 

  28. Qi,Ting, 이연숙, & 장재우.(2014). 노인복지를 위한 그린 케어 파밍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4(1), 122-124. 

  29. 濱田 健司. (2013). 福祉農業のとりくみの?がりとその可能性. 農業と??. 79(10), 5-17. 

  30. Barney, J. B. (1991).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17(1), 99-120. 

  31. Barney, J. B., & Wright, P. M. (1998). On becoming a strategic partner: The role of human resources in gaining competitive advantage. Human Resource Management, 37(1), 31-46. 

  32. Dyer, J. S. (1990). Remark 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nagement Science, 36(3), 249-258. 

  33. Eweg, H. P. A., & Hassink, J. (2009). Business models of green care in the netherlands. Paper Presented at Special Session on Care Farming VII. Brazil: International PENSA Conference. 

  34. Hassink, J., & Van Dijk, M. (2006). Farming for health: Green-care farming acros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Vol. 13).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5. Hine, R., Peacock, j., & Pretty, J. N.(2008). Care farming in the UK: Evidence and Opportunities. Report for the National Care Farmin Initiative UK : University of Essex. 

  36. Sat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New York: McGraw-Hill. 

  37. Saaty, T. L. (1983). Priority setting in complex problems.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30(3), 140-155. 

  38. Satty, T. L. (2001). Decision making for leader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decision in a complex world. Pittsburgh: RWS Publications. cop. 

  39. Takeuchi, R., Lepak, D. P., Wang, H., & Takeuchi, K. (2007).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mechanisms mediating between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and the performance of japanese organiz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4), 1069-1083. 

  40. Tone, K. (1989).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decision making. Tokyo: Japanese scientific and technical press. 

  41. Zahedi, F. (1986).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 survey of the method and its applications. INFORMS, 16(4), 96-1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