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뿌리혹선충에 의한 병 발생은 작물수확량의 감소를 초래하여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화학농약의 사용은 선충방제를 위해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로 고려되지만 환경 오염이나 인축에 대한 독성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살선충제 개발에 사용될 수 있는 미생물을 선발하고자,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670여 개의 방선균을 대상으로 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조사하였다. 이들 중 가장 우수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KRA15-528 균주를 선발하였으며,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에 기초하여 S. flavogriseus로 동정하였다. S. flavogriseus KRA15-28 균주 배양여액을 최종농도 10%가 되도록 J2 단계의 유충과 선충알에 각각 처리 시, 48시간 후 71%의 선충 치사율과 9일째에 54%의 선충 알 부화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배양여액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이용하여 용매 분획하여 에틸 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물 추출물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조사한 결과,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로부터만 높은 살선충 활성을 확인하였다. 1,000, 500, $25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91%, 53%, 30%의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이외에도, 오이에 대한 뿌리 혹 선충병 방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배양여액 처리구에서 눈에 띄게 뿌리혹형성이 억제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S. flavogriseus KRA15-528은 뿌리혹선충병을 방제에 사용할 수 있는 미생물제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ant disease caused by root-knot nematode is a major problem in crop production. Using of chemical pesticides, one of the most efficient methods to control nematodes, have raised issues in toxicity to humans and animal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is study, to select actinomycete strains tha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ncognita)에 대한 살선충 활성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가장 우수한 활성을 갖는 Streptomyces flavogriseus KRA15-528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에 대한 in vivo와 in vitro 살선충 활성 조사를 통해 친환경 살선충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화학농약의 사용은 선충방제를위해효과적인방법중의하나로고려되지만환경오염이나 인축에 대한 독성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살선충제 개발에 사용될 수 있는 미생물을 선발하고자,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670여 개의 방선균을 대상으로 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조사하였다. 이들 중 가장 우수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KRA15-528균주를 선발하였으며,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에 기초하여 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뿌리혹선충은 무엇인가?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은 식물 뿌리에 절대기생하며 토마토, 고구마, 참외, 오이 등 주요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는 토양 병원균 중의 하나이다. 전 세계적으로 작물 피해의 약 11%가 선충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McCart, 2009), 국내의 경우에도 경북 성주, 충남 공주 등의 포장에서 뿌리혹선충에 의한 병 발생 피해사례가 보고되고 있다(Park 등, 2011, 2012).
다양한 뿌리혹선충 중 경제적으로 중요한 종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작물 피해의 약 11%가 선충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McCart, 2009), 국내의 경우에도 경북 성주, 충남 공주 등의 포장에서 뿌리혹선충에 의한 병 발생 피해사례가 보고되고 있다(Park 등, 2011, 2012). 현재까지 동정된 약 90여 종 이상의 다양한 뿌리혹선충 중에서도 M. incognita, M. arenaria, M. javanica, M. hapla 등은 넓은 기주 범위를 가지며 작물 수확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중요한 뿌리혹선충으로 간주하고 있다(Kim 등, 2011, 2014; Trudgill과 Blok, 2001). 뿌리혹선충에 의해 감염된 식물체의 뿌리에는 거대한 혹이 형성되며, 이로 인해 식물체는 물과 영양분의 흡수나 미네랄의 이동 등에 방해를 받게 되어 정상적인 생장이 어려워진다(Williamson과 Hussey, 1996).
뿌리혹선충병의화학적방제수단이 가진 문제점은? 뿌리혹선충병의화학적방제수단으로는 메틸 브로마이드(methyl bromide) 등의 훈증제와 포스티아제이트(fosthiazate) 등의살선충제가주로이용되어왔다. 하지만 이러한 화학적 방제는인축에 대한 위험성과 잔류 독성, 환경오염, 생태계 교란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노출하고있으며, 이로 인해 보다 안전한 살선충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환경 친화적으로 식물기생선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식물 추출물이나 미생물, 또는 미생물의 이차 대사산물을 이용한 방법들이고려되고 있으며, 동시에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Akhtar와 Malik, 2000; Kerry, 2000; Oka 등, 2000; Rodriguez-Kabana 등, 1987; Sharon 등,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bbott, W. S. 1925. A method of computing the effectiveness of an insecticide. J. Econ. Entomol. 18: 265-267. 

  2. Akhtar, M. and Malik, A. 2000. Roles of organic soil amendments and soil organisms in the biological control of plant-parasitic nematodes: a review. Bioresour. Technol. 74: 35-47. 

  3. Barker, K. R., Schmitt, D. P. and Imbriani, J. L. 1985. Nematode population dynamics with emphasis on determining damage potential to crops. In: An Advanced Treatise on Meloidogyne, Volume II: Methodology, eds. by K. R. Barker, C. C. Carter and J. N. Sasser, pp. 135-148.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aleigh, NC, USA. 

  4. Berdy, J. 2005. Bioactive microbial metabolites. J. Antibiot. 58: 1-26. 

  5. Burg, R. W., Miller, B. M., Baker, E. E., Birnbaum, J., Currie, S. A., Hartman, R., Kong, Y. L., Monaghan, R. L., Olson, G., Putter, I., Tunac, J. B., Wallick, H., Stapley, E. O., Oiwa, R. and Omura, S. 1979. Avermectins, new family of potent anthelmintic agents: producing organism and fermentation.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5: 361-367. 

  6. Caillaud, M. C., Dubreuil, G., Quentin, M., Perfus-Barbeoch, L., Lecomte, P., de Almeida Engler, J., Abad, P., Rosso, M. N. and Favery, B. 2008. Root-knot nematodes manipulate plant cell functions during a compatible interaction. J. Plant Physiol. 165: 104-113. 

  7. Dezfully, N. K. and Ramanayaka, J. G. 2015.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Streptomyces flavogriseus, strain ACTK2 from soil sample of Kodagu, Karnataka State (India). Jundishapur J. Microbiol. 8: e15107. 

  8. Ghorbel, S., Kammoun, M., Soltana, H., Nasri, M. and Hmidet, N. 2014. Streptomyces flavogriseus HS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proteases and their compatibility with laundry detergents. BioMed Res. Int. 2014: 345980. 

  9. Hesseltine, C. W., Benedict, R. G. and Pridham, T. G. 1954. Useful criteria for species differentiation in the genus Streptomyces. Ann. N. Y. Acad. Sci. 60: 136-151. 

  10. Hwang, S. M., Park, M. S., Kim, J. C., Jang, K. S., Choi, Y. H. and Choi, G. J. 2014. Occurrence of Meloidogyne incognita infecting resistant cultivars and development of an efficient screening method for resistant tomato to the Mi-virulent nematode.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2: 217-226. (In Korean) 

  11. Jang, J. Y., Choi, Y. H., Joo, Y. J., Kim, H., Choi, G. J., Jang, K. S., Kim, C. J., Cha, B., Park, H. W. and Kim, J. C. 2015. Characterization of Streptomyces netropsis showing a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Meloidogyne incognita. Res. Plant Dis. 21: 50-57. (In Korean) 

  12. Jang, J. Y., Choi, Y. H., Shin, T. S., Kim, T. H., Shin, K. S., Park, H. W., Kim, Y. H., Kim, H., Choi, G. J., Jang, K. S., Cha, B., Kim, I. S., Myung, E. J. and Kim, J. C. 2016. Biological control of Meloidogyne incognita by Aspergillus niger F22 producing oxalic acid. PLoS One 11: e0156230. 

  13. Kerry, B. R. 2000. Rhizosphere interactions and the exploitation of microbial agents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plant-parasitic nematodes. Annu. Rev. Phytopathol. 38: 423-441. 

  14. Kim, K. H., Joe, Y. A., Choi, S. R. and Goo, Y. M. 1989. Comparative studies on streptomycin producing strains and media. Korean J. Biotechnol. Bioeng. 4: 162-166. 

  15. Kim, S. J., Yu, Y. M. and Whang, K. S. 2014. Molecular identification of Meloidogyne spp. in soils from fruit and vegetable greenhouses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53: 85-91. 

  16. Kim, S. S., Kang, S. I., Kim, J. S., Lee, Y. S., Hong, S. H., Naing, K. W. and Kim, K. Y. 2011. Biological control of root-knot nematode by Streptomyces sampsonii KK1024. Korean J. Soil Sci. Fertil. 44: 1150-1157. 

  17. Lacey, E., Gill, J. H., Power, M. L., Rickards, R. W., O'Shea, M. G. and Rothschild, J. M. 1995. Bafilolides, potent inhibitors of the motility and development of the free-living stages of parasitic nematodes. Int. J. Parasitol. 25: 349-357. 

  18. Larkin, M. A., Blackshields, G., Brown, N. P., Chenna, R., McGettigan, P. A., McWilliam, H., Valetin, F., Wallace, I. M., Wilm, A., Lopez, R., Thompson, J. D., Gibson, T. J. and Higgins, D. G. 2007. Clustal W and Clustal X version 2.0. Bioinformatics 23: 2947-2948. 

  19. Lasota, J. A. and Dybas, R. A. 1991. Avermectins, a novel class of compounds: implications for use in arthropod pest control. Annu. Rev. Entomol. 36: 91-117. 

  20. McCart, J. P. 2009. Molecular approaches toward resistance to plant-parasitic nematdoes. In: Cell Biology of Plant Nematode Parasitism, eds. by R. H. Berg and C. G. Tayor, pp. 239-267. Springer, St. Louis, MO, USA. 

  21. Nonaka, K., Tsukiyama, T., Okamoto, Y., Sato, K., Kumasaka, C., Yammoto, T., Maruyama, F. and Yoshikawa, H. 2000. New milbemycins from Streptomyces hygroscopicus subsp. aureolacrimosus: fermantation, isolation and strucutre elucidation. J. Antibiot. 53: 694-704. 

  22. Oka, Y., Koltai, H., Bar-Eyal, M., Mor, M., Sharon, E., Chet, I. and Spiegel, Y. 2000. New strategies for the control of plant-parasitic nematodes. Pest Manag. Sci. 56: 983-988. 

  23. Park, M. H., Kim, J. K., Choi, W. H. and Yoon, M. H. 2011. Nematicidal effec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by biological nematicide. Korean J. Soil Sci. Fertil. 44: 228-235. 

  24. Park, M. H., Walpola, B. C., Kim, S. J. and Yoon, M. H. 2012. Control effec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by biological nematicide. Korean J. Soil Sci. Fertil. 45: 162-168. 

  25. Perry, R. N. and Moens, M. 2006. Plant Nematology. 2nd ed. CABI, Boston, MA, USA. 74 pp. 

  26. Putter, I., Mac Connell, J. G., Preiser, F. A., Haidri, A. A., Ristich, S. S. and Dybas, R. A. 1981. Avermectins: novel insecticides, acaricides and nematicides from a soil microorganism. Experientia 37: 963-964. 

  27. Roberts, T. R. and Hutson, D. H. 1999. Metabolic Pathways of Agrochemicals, Part 2: Insecticides and Fungicides. Royal Society of Chemistry, Cambridge, UK. pp. 741-743. 

  28. Rodriguez-Kabana, R., Morgan-Jones, G. and Chet, I. 1987. Biological control of nematodes: soil amendments and microbial antagonists. Plant Soil 100: 237-247. 

  29. Ruanpanun, P., Laatsch, H., Tangchitsomkid, N. and Lumyong, S. 2011. Nematicidal activity of fervenulin isolated from a nematicidal actinomycete, Streptomyces sp. CMU-MH021, on Meloidogyne incognita.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7: 1373-1380. 

  30. Sahebani, N. and Hadavi, N. 2008. Biological control of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javanica by Trichoderma harzianum. Soil Biol. Biochem. 40: 2016-2020. 

  31. Saitou, N. and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32. Sharon, E., Bar-Eyal, M., Chet, I., Herrera-Estrella, A., Kleifeld, O. and Spiegel, Y. 2001. Biological control of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javanica by Trichoderma harzianum. Phytopathology 91: 687-693. 

  33. Siddiqui, I. A. and Shaukat, S. S. 2003. Suppression of root-knot disease by Pseudomonas fluorescens CHA0 in tomato: importance of bacterial secondary metabolite, 2, 4-diacetylpholoroglucinol. Soil Biol. Biochem. 35: 1615-1623. 

  34. Siddiqui, Z. A. and Mahmood, I. 1999. Role of bacteria in the management of plant parasitic nematodes: a review. Bioresour. Technol. 69: 167-179. 

  35. Southey, J. F. 1986. Laboratory Methods for Work with Plant and Soil Nematodes. Ministry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od, Her Majesty's Stationary Office, London, UK. 202 pp. 

  36.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and Kumar, S.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30: 2725-2729. 

  37. Taylor, A. L. and Sasser, J. N. 1978. Biology, Identification and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ecies). Department Plant Pathology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and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Raleigh, NC, USA. 111 pp. 

  38. Tripathi, G. and Rawal, S. K. 1998. Simple and efficient protocol for isol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DNA from Streptomyces aureofaciens. Biotechnol. Tech. 12: 629-631. 

  39. Trudgill, D. L. and Blok, V. C. 2001. Apomictic, polyphagous rootknot nematodes: exceptionally successful and damaging biotrophic root pathogens. Annu. Rev. Phytopathol. 39: 53-77. 

  40. Watve, M. G., Tickoo, R., Jog, M. M. and Bhole, B. D. 2001. How many antibiotics are produced by the genus Streptomyces? Arch. Microbiol. 176: 386-390. 

  41. Williams, S. T. and Davies, F. L. 1967. Use of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or the examination of actinomycetes. J. Gen. Microbiol. 48: 171-177. 

  42. Williamson, V. M. and Hussey, R. S. 1996. Nematode pathogenesis and resistance in plants. Plant Cell 8: 1735-1745. 

  43. Zeng, Q., Huang, H., Zhu, J., Fang, Z., Sun, Q. and Bao, S. 2013. A new nematicidal compound produced by Streptomyces albogriseolus HA10002. Antonie Van Leeuwenhoek 103: 1107-1111. 

  44. Zhao, Z. H., Li, J. Y., Yang, X. Y. and Chu, Y. W. 2003. SIIA-C2191-A and B, novel polycyclic xanthone antibiotics produced by Streptomyces flavogriseus I. Taxonomy, fermentation, isol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Chin. J. Antibiot. 28: 627-6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