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딸기 시설재배 주산단지 토양 내의 주요 식물기생선충 감염 현황
Incidence of Major Plant-parasitic Nematodes in Main Producing Areas of Strawberry in Korea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2 no.4, 2016년, pp.249 - 256  

고형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작물보호과) ,  이민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작물보호과) ,  김은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작물보호과) ,  김세종 (투엠바이오) ,  이재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작물보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딸기 주산단지의 시설재배지 170개 포장으로부터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식물기생선충을 조사한 결과, 농업적으로 중요한 뿌리썩이선충이 96개포장(56.5%), 뿌리혹선충이 63개 포장(37.1%)에서 검출되었다. 이 중 44개 포장은 뿌리썩이선충과 뿌리혹선충이 복합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뿌리썩이선충과 뿌리혹선충의 도별 발생은 경남지역이 각각 68%와 46%, 시 군별로는 진주시가 81%와 54%로 가장 높았다. 국내 최대의 딸기 수출재배단지이자 식물기생선충의 검출률이 가장 높았던 진주시의 뿌리썩이선충과 뿌리혹선충의 종 동정 결과, 사과뿌리썩이선충(P. vulnus), 당근뿌리혹선충(M. hapla)이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plant-parasitic nematodes from plastic-house fields of strawberry, 170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main producing area of strawberry in Korea from 2014 to 2015. Based on the investigation, root-lesion nematode (RLN; Pratylenchus spp.) and root-knot nematod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딸기 작부형태가 시설재배로 전환된 이래로 식물기생선충의 발생실태에 관해 연구된 바가 미흡하며, 딸기 시설재배에서 발생하는 기생선충의 종류및 피해조사와 피해경감을 위한 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딸기 주산단지 시설재배지에 발생하는 식물기생선충의 종류와 분포 및 우점종을 조사하여 종합적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딸기는 어떻게 활용되는가? 딸기는 생과일이나 잼, 음료 등과 같은 먹거리뿐만 아니라 케이크 등의 장식용 재료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딸기의 국내 시설재배면적은 2012년 6,290 ha로 전체 시설재배 과채류 가운데 3순위, 생산량은 수박 등 박과작물에 이어 4순위로 나타났다(Hur, 2013).
딸기 재배지에서 경제적으로 손실을 일으키는 기생선충은 무엇인가? 딸기 재배지에서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일으키는 식물 기생선충으로는 뿌리혹선충(Meloidogyne), 뿌리썩이선충 (Pratylenchus), 잎선충(Aphelenchoides), 창선충(Xiphinema), 바늘선충(Longidorus), 주름선충(Criconematoides) 등이 알려져 있다(Brown 등, 1993; Esnard와 Zukerman, 1998). 국내에서도 Choi (1977)에 의해 1970년대 노지재배 딸기의 문제 선충으로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이 보고된 바 있다.
딸기가 농가의 안정적인 수입원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딸기의 국내 시설재배면적은 2012년 6,290 ha로 전체 시설재배 과채류 가운데 3순위, 생산량은 수박 등 박과작물에 이어 4순위로 나타났다(Hur, 2013). 반면, 총 생산액은 2012년 경상가격 기준 1조 1,888억 원으로 전체 과채류 가운데 가장 큰시장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저온에서도 생육이 가능하여 난방비가 적게 들며 연도별 가격 편차가 적기 때문에 농가의 안정적인 수입원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rker, K. R., Carter, C. C. and Sasser, J. N. 1985. An Advanced Treatise on Meloidogyne. Volume II: Methodology. Department of Plant Pathology,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aleigh, NC, USA. 223 pp. 

  2. Brown, D. J. F., Dalmasso, A. and Trudgill, D. L. 1993. Nematode pests of soft fruits and vines. In: Plant Parasitic Nematodes in Temperate Agriculture, eds. by K. Evans, D. L. Trudgill and J. M. Webster, pp. 427-462.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3. Cho, M. R., Lee, B. C., Kim, D. S., Jeon, H. Y., Yiem, M. S. and Lee, J. O. 2000. Distribution of plant-parasitic nematodes in fruit vegetable production areas in Korea and identification of root-knot nematodes by enzyme phenotypes. Korean J. Appl. Entomol. 39: 123-129. 

  4. Cho, M. R., Lee, Y. G., Kim, J. S. and Yoo, D. L. 2006. Occurrence of plant-parasitic nematodes in major potato production areas and PCR identification of root-knot nematodes. Korean J. Appl. Entomol. 45: 79-85. 

  5. Choi, Y. E. 1977. Studies on plant-parasitic nematodes associated with strawberry. Res. Rev. Kyungpook Natl. Univ. 23: 309-316. 

  6. Choi, Y. E. 2001. Economic Insects of Korea 20: Tylenchida, Aphelenchida (Nematoda).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Suwon, Korea. 391 pp. 

  7. Dickerson, O. J., Blake, J. H. and Lewis, S. A. 2000. Nematode Guidelines for South Carolina. Clemson Extension, Clemson, SC, USA. 36 pp. 

  8. Dropkin, V. H. 1980. Introduction to Plant Nemat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NY, USA. 293 pp. 

  9. Edwards, W. H., Jones, R. K. and Schmitt, D. P. 1985. Host suitability and parasitism of selected strawberry cultivars by Meloidogyne hapla and M. incognita. Plant Dis. 69: 40-42. 

  10. Eisenback, J. D., Hirschmann, H., Sasser, J. N. and Triantaphyllou, A. C. 1981. A Guide to the Four Most Common Species of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p.), with a Pictorial Key.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and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Raleigh, NC, USA. 111 pp. 

  11. Esnard, J. and Zukerman, B. M. 1998. Small fruits. In: Plant and Nematode Interactions, eds. by K. R. Barker, G. A. Pederson and G. L. Windham, pp. 685-725.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Madison, WI, USA. 

  12. Han, H. R., Cho, M. R., Jeon, H. Y., Lim, C. K. and Jang, H. I. 2004. PCR-RFLP identification of three major Meloidogyne species in Korea. J. Asia-Pacific Entomol. 7: 171-175. 

  13. Han, H., Lee, J. K., Choi, D. R., Han, M. J. and Park, B. Y. 2006. Occurrence of plant parasitic nematodes in chrysanthemum and ITS and D3-28S rDNA characterization of Pratylenchus spp. Korean J. Appl. Entomol. 45: 293-299. 

  14. Handoo, Z. A. and Golden, A. M. 1989. A key and diagnostic compendium to the species of the genus Pratylenchus Filipjev, 1936 (lesion nematodes). J. Nematol. 21: 202-218. 

  15. Humphreys-Pereira, D. A., Flores-Chaves, L., Gomez, M., Salazar, L., Gomez-Alpizar, L. and Elling, A. A. 2014. Meloidogyne lopezi n. sp. (Nematoda: Meloidogynidae), a new root-knot nematode associated with coffee (Coffea arabica L.) in Costa Rica, its diagnosi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with other coffeeparasitising Meloidogyne species. Nematology 16: 643-661. 

  16. Hur, T. W. 2013.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s Yearbook.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oul, Korea. 387 pp. 

  17. Iwahori, H., Kanzaki, N. and Futai, K. 2000. A simple,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aided diagnosis method for pine wilt disease. For. Pathol. 30: 157-164. 

  18. Kim, D. G. 2001. Occurrence of root-knot nematodes on fruit vegetable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in Korea. Res. Plant Dis. 7: 69-79. 

  19. Lamondia, J. A. 2002. Seasonal populations of Pratylenchus penetrans and Meloidogyne hapla in strawberry roots. J. Nematol. 34: 409-413. 

  20. Luca, F. D., Troccoli, A., Duncan, L. W., Subbotin, S. A., Waeyenberge, L., Coyne, D. L., Brentu, F. C. and Inserra, R. N. 2012. Pratylenchus speijeri n. sp. (Nematoda: Pratylenchidae), a new root-lesion nematode pest of plantain in West Africa. Nematology 14: 987-1004. 

  21. Nunn, G. B. 1992. Nematode molecular evolution. An investigation of evolutionary patterns among nematodes based upon DNA sequences. Ph.D. thesis. University of Nottingham, Nottingham, UK. 187 pp. 

  22. Palomares-Rius, J. E., Castillo, P., Liebanas, G., Vovlas, N., Landa, B. B., Navas-Cortes, J. A. and Subbotin, S. A. 2010. Description of Pratylenchus hispaniensis n. sp. from Spain and considerations on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among selected genera in the family Pratylenchidae. Nematology 12: 429-451. 

  23. Park, S. J. 1979. Effect of soil moisture and temperature on the survival of the root-knot neamtodes (Meloidogyne incognita, Meloidogyne arenaria and Meloidogyne hapla). J. Korean Soc. Tob. Sci. 1: 39-45. 

  24. Peetz, A. B. and Zasada, I. A. 2016. Species-specific diagnostics using a ${\beta}$ -1,4-endoglucanase gene for Pratylenchus spp. occurring in the Pacific Northwest of North America. Nematology 18: 1219-1229. 

  25. Powers, T. O. and Harris, T. S. 1993. A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five major Meloidogyne species. J. Nematol. 25: 1-6. 

  26. Taylor, D. P. and Jenkins, W. R. 1957. Variation within the nematode genus Pratylenchus with the descriptions of P. hexincisus n. sp. and P. subpenetrans n. sp. Nematologica 2: 159-174. 

  27. Vovlas, N., Vovlas, A., Leonetti, P., Leibanas, G., Castillo, P., Subbotin, S. A. and Rius, J. E. P. 2015. Parasitism effects on white clover by root-knot and cyst nematodes and molecular separation of Heterodera daverti from H. trifolii. Eur. J. Plant Pathol. 143: 833-845. 

  28. Xu, J., Liu, P., Meng, Q. and Long, H. 2004. Characterisation of Meloidogyne species from China using isozyme phenotypes and amplified mitochondrial DNA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Eur. J. Plant Pathol. 110: 309-315.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