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계근에서 분리한 Polyacetylene계 화합물을 이용한 밀 이삭마름병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Head Blight on Wheat by Polyacetylenes Derived from Cirsium japonicum Root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2 no.3, 2016년, pp.145 - 151  

김지인 (전남대학교 농화학과) ,  김기현 (전남대학교 농화학과) ,  박애란 (전남대학교 농화학과) ,  최경자 (한국화학연구원 친환경신물질연구센터) ,  박해웅 (세계김치연구소 신공정발효연구단) ,  김인선 (전남대학교 농화학과) ,  김진철 (전남대학교 농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삭마름병은 지금까지 화학살균제에 의해 방제되어 왔지만 잔류농약 문제로 인하여 합성농약의 사용은 곡류 수확 30일 전까지로 그 처리기간이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수확 직전까지 처리가 가능한 새로운 생물농약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삭마름병 방제를 위하여 F. graminearum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이는 식물추출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총 85과에속하는 225 한약재시료의 ethanol 추출물을 대상으로 F. graminearum 포자발아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높은 억제활성을 가진 대계근을 선발한 후, 용매 분획,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생물검정을 거쳐 F. graminearum 포자발아 억제활성을 가진 두 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두 물질은 질량분석과 핵자기공명분석을 통하여 ciryneol C와 1-heptadecene-11,13-diyne-8,9,10-triol의 polyacetylene계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F. graminearum의 포자발아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IC_{50}$은 1-heptadecene-11,13-diyne-8,9,10-triol이 $3.17{\mu}g/ml$, ciryneol C는 $28.14{\mu}g/ml$로 1-heptadecene-11,13-diyne-8,9,10-triol의 저해활성이 ciryneol C보다 더 높았다. 또한 온실에서의 대계근 EtoAc 추출물 분말수화제의 밀 이삭마름 병방제효과는 250배와 500배희석액처리시각각 78.92%와 31.56%로 유효성분의 농도가 높을수록 방제효과도 높아졌다. 본 연구결과는 polyacetylene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대계근의 조추출물이 이삭마름병 방제를 위한 식물유래 천연물 살균제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mical fungicides have reduced Fusarium head blight (FHB) severity. However, by the effects of fungicide residues, they can only be used up to 30 days before time of harves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new biofungicides that are applicable until harvest is required. In order to select plant ex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graminearum에 대한 항균물질임을 밝혔다. 더욱이 본 연구를 통하여 대계근 추출물을 제형화하고 밀 이삭마름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함으로써 천연물 농약 후보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특히 식물추출물의 약 80% 정도가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연구되었으며, 지방산과 플라보노이드 등의 phenol성 물질, 정유 등의 terpenoid, alkaloid 및 배당체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ng 등, 2010; Kim 등, 2011; Yoon 등, 2011b).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인 항진균 활성물질을 이용한 식물유래 농약소재 개발에 중점을 두었고 특히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시키는 곡류의 이삭마름병을 방제하고자 수행하였다.
  • 따라서 수확직전까지 처리가 가능한 새로운 생물농약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삭마름병방제를 위하여 F. graminearum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이는 식물추출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총 85과에 속하는 225 한약재시료의 ethanol 추출물을 대상으로 F. graminearum 포자발아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높은 억제활성을 가진 대계근을 선발한 후, 용매 분획,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생물검정을 거쳐 F.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usarium graminearum이란 무엇인가? Fusarium graminearum은 밀, 보리, 벼 등에 이삭마름병을, 옥수수에는 이삭썩음병을 일으키는 원인균으로 곡물의 수확량을감소시킬뿐만아니라인간과가축에해로운곰팡이독소인 trichothecenes와 zearalenone을 생성하여 식품과 사료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Desjardins, 2006; Marasas 등, 1984). F.
polyacetylene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대계근 EtoAc추출물 분말수화제의 농도에 따른 밀 이삭마름병 방제효과는? 92%와 31.56%로 유효성분의 농도가 높을수록 방제효과도 높아졌다. 본 연구결과는 polyacetylene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대계 근의 조추출물이 이삭마름병 방제를 위한 식물유래 천연물 살균제로사용이가능하다는것을제시하고있다.
Fusarium graminearum이 생성하는 곰팡이 독소는 무엇인가? Fusarium graminearum은 밀, 보리, 벼 등에 이삭마름병을, 옥수수에는 이삭썩음병을 일으키는 원인균으로 곡물의 수확량을감소시킬뿐만아니라인간과가축에해로운곰팡이독소인 trichothecenes와 zearalenone을 생성하여 식품과 사료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Desjardins, 2006; Marasas 등, 1984). F.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i, G. and Shaner, G. 1994. Scab of wheat: prospects for control. Plant Dis. 78: 760-766. 

  2. Barnard, C., Padgitt, M. and Uri, N. D. 1997. Pesticide use and its measurement. Int. Pest Control 39: 161-164. 

  3. Bowden, R. L. and Leslie, J. F. 1999. Sexual recombination in Gibberella zeae. Phytopathology 89: 182-188. 

  4. Cappellini, R. A. and Peterson, J. L. 1965. Macroconidium formation in submerged cultures by a non-sporulating strain of Gibberella zeae. Mycologia 57: 962-966. 

  5. Chung, H. S. 1975. Cereal scab causing mycotoxicoses in Korea and present status of mycotoxin researches. Korean J. Mycol. 3: 31-36. 

  6. Copping, L. G. and Menn, J. J. 2000. Biopesticides: a review of their action, applications and efficacy. Pest Manag. Sci. 56: 651-676. 

  7. Del Ponte, E. M., Fernandes, J. M. C. and Bergstrom, G. C. 2007. Influence of growth stage on Fusarium head blight and deoxynivalenol production in wheat. J. Phytopathol. 155: 577-581. 

  8. Desjardins, A. E. 2006. Fusarium Mycotoxins: Chemistry, Genetics, and Biology. APS Press, St. Paul, MN, USA. 260 pp. 

  9. Kang, M. A., Kim, M. B., Kim, J. H., Ko, Y. H. and Lim, S. B. 2010. Integral antioxidative capac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ressurized liquid extracts from 40 selected plant spec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249-1256. (In Korean) 

  10. Kim, B. R. and Kim, K. J. 2010. The effect of silibinin extracted from Cirsium Japonicum on allergic inflammation. J. Korean Orient.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3: 44-58. (In Korean) 

  11. Kim, J. Y., Yoon, W. J., Yim, E. Y., Park, S. Y., Kim, Y. J. and Song, G. P. 2011.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4: 200-207. (In Korean) 

  12. Leonard, K. J. and Bushnell, W. 2003. Fusarium Head Blight of Wheat and Barley. APS Press, St. Paul, MN, USA. 

  13. Leslie, J. F., Summerell, B. A. and Bullock, S. 2006. The Fusarium Laboratory Manual. Blackwell Publishing, Ames, IA, USA. 

  14. Liao, Z., Chen, X. and Wu, M. 2010. Antidiabetic effect of flavones from Cirsium japonicum DC in diabetic rats. Arch. Pharm. Res. 33: 353-362. 

  15. Marasas, W. F. O., Nelson, P. E. and Toussoun, T. A. 1984. Toxigenic Fusarium Species. Identity and Mycotoxicology.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University Park, PA, USA. 

  16. Ryu, J. G., Lee, S., Lee, S. H., Son, S. W., Nam, Y. J., Kim, M., Lee, T. and Yun, J. C. 2011. Natural occurrence of Fusarium head blight and its mycotoxins in 2010-harvested barley and wheat grains in Korea. Res. Plant Dis. 17: 272-279. (In Korean) 

  17. Steffens, J. J., Pell, E. J. and Tien, M. 1996. Mechanisms of fungicide resistance in phytopathogenic fungi. Curr. Opin. Biotechnol. 7: 348-355. 

  18. Ujvary, I. 2002. Transforming natural products into natural pesticides-experience and expectations. Phytoparasitica 30: 439-442. 

  19. Yin, J., Heo, S. I. and Wang, M. H. 2008.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irsium japonicum roots. Nutr. Res. Pract. 2: 247-251. 

  20. Yoon, M. Y., Choi, G. J., Choi, Y. H., Jang, K. S., Cha, B. and Kim, J. C. 2011a. Antifungal activity of polyacetylenes isolated from Cirsium japonicum roots against various phytopathogenic fungi. Ind. Crops Prod. 34: 882-887. 

  21. Yoon, M. Y., Choi, G. J., Choi, Y. H., Jang, K. S., Park, M. S., Cha, B. and Kim, J. C. 2010. Effect of polyacetylenic acids from Prunella vulgaris on various plant pathogens. Lett. Appl. Microbiol. 51: 511-517. 

  22. Yoon, M. Y., Kim, Y. S., Choi, G. J., Jang, K. S., Choi, Y. H., Cha, B. J. and Kim, J. C. 2011b. Antifungal activity of decursinol angelate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roots against Puccinia recondita. Res. Plant Dis. 17: 25-31.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