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면봉산 일대의 산림군집분류 및 임분구조 특성 - 경북대학교 청송학술림을 중심으로 -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Community and Character of Stand Structure in Mt. Myeonbong - Focused on Research Forest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heongsong -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4, 2016년, pp.391 - 400  

박병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김재진 (경북대학교 임학과) ,  변준기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천광일 (국립생태원 야외식물부) ,  주성현 (경북대학교 임학과) ,  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경북대학교 청송학술림이 속한 면봉산 일대 임분구조의 특성을 분석하여 학술림의 효과적인 산림 경영 및 보전을 위한 생태적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클러스터분석 결과 총 6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신갈나무-소나무 군집, 소나무 군집, 까치박달 군집, 물푸레나무-고로쇠나무-당단풍나무 군집, 신갈나무-굴참나무 군집, 신갈나무 군집). 중요치 분석결과 소나무군락은 능선부에, 신갈나무군락은 사면부, 물푸레나무, 당단풍나무, 고로쇠나무, 까치박달 등은 계곡부에 주로 우점하고 있다. 종풍부도 분석결과 까치박달 군집, 물푸레나무-고로쇠나무-당단풍나무 군집, 북사면, 계곡부가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해발고도가 높을수록, 경사가 급할수록 종풍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NMS분석 결과, 상층과 중층, 관목층과 초본층 모두 종풍부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t up ecological database for effective forest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KNU Research Forest in Mt. Myeonbong with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stand structures. Following the results of clustering analysis, they were classified under 6 communities (Quercus mong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면봉산 일대 경북대학교 청송학술림을 대상으로 산림군집분류와 임분구조를 파악하여 향후 학술림의 효과적인 산림경영과 보전 그리고 연구대상지 일대 장기모니터링 대상지를 선정하기 위한 생태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있다.
  • 산림생태계를 면밀히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연구 중 하나는 국가장기생태연구(ILTER; International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가 있다. 이는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생태학적 연구를 시행하여 각 국의 network망을 형성하고 각 국가 상호 간의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명목으로 시행되었다. ILTER network 는 1993년 미국 콜로라도 주에서 개최된 장기생태연구 총회에서 창립되어 우리나라를 비릇하여 미국, 영국, 캐나다 등의 30여국이 ILTER network에 가입되어 있다(ILTER, 200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을 다른 군집이나 유형으로 분류하여 어떤 자료로 쓰는가? 산림은 환경요인(지형, 사면방위, 경사 등)에 따라 다양한 임분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우리나라의 산림은 지형조건이 복잡하고 수종구성이 다양하여 복잡한 임분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를 해석하고 산림을 다른 군집이나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은 산림경영에 매우 중요하며(Newton, 2007) 식생과환경요인과의관계를연구하는데기반자료를제공한다.
산림경영의 패러다임 어떤 변화가 있었으며 연구진행 사항은 어떠한가? 산림경영의 패러다임은 자원 확보를 위한 경영에서 점차 생태친화적인 산림관리로 변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목재생산만을 위한 단순림조성 그리고 도시화에 따른 환경오염 등으로 산림황폐화(deforestation)가 가속됨에 따라 산림의 안정성과 보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그후로 산림생태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산림은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는가? 산림은 환경요인(지형, 사면방위, 경사 등)에 따라 다양한 임분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우리나라의 산림은 지형조건이 복잡하고 수종구성이 다양하여 복잡한 임분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를 해석하고 산림을 다른 군집이나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은 산림경영에 매우 중요하며(Newton, 2007) 식생과환경요인과의관계를연구하는데기반자료를제공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n, H.C. and Choo, G.C 2010. Vegetation Structure of the Woongseokbong in the Jirisan(M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5): 547-555. 

  2. An, J.M. Woo, J.C. Yoon, H.Y. Lee, D.S. Lee, S.H. Lee, Y.J. Lee, W.G., and Im, Y.J. 2011. Forest Management. Hyangmunsa. Seoul. pp. 442. 

  3.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fi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 Wien-New York. pp. 865. 

  4. Curtis, J.T. and R.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 476-496. 

  5. Cheon, K.I. Joo, S.H. Sung, J.H. Chun, J.H., and Lee, Y.G. 2012. Understory Vegetation Structure by Altitude and Azimuth Slope and Indicator Species Analysis in Mt Gyebang. Korean Forest Society 103(2): 165-174. 

  6. Cheon, K.I. Jung, S.C. Youn, H.J. Byeon, J.G., and Joo, S.H. 2012.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thunbergii Stand in the Eastern Coast of Gyeongsangbuk-do.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46(4): 57-68. 

  7. Choo, G.C. An, H.C. Cho, H.S. Kim I.K. Park, E.H., and Park, S.B. 2009. Vegetation Structure of the Chilseon Valley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1): 22-29. 

  8. ILTER(International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2014. http://www.ilternet.edu/(2014. 11.). 

  9. Jang, K.K. and Song, H.K. 1997. Study on the DBH Analysis and Forest Successio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Forests. Korean Forest Society 86(2): 223-232. 

  10. Jung, B.G. and Oh, C.H. 2013. Analysis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in the Baekdudaegan Mountains by Elevatio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4): 449-461. 

  11. Jung, J.C. Jang, G.G., and Choi, J.H. 1996. Vertic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Unjang. Wonkwang University 31(2): 117-126. 

  12. Kim, G.T. Kim J.S Choo G.C., and Um, T.W. 1994.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Nature Conservation Area in Tokyu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7(2): 164-171. 

  13. Kim, G.T. Kim J.S, Choo G.C., and Um, T.W. 1995.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Nature Conservation Area in Chuwangsan National Park. 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8(2): 135-141. 

  14. Kim, G.T. and Choo G.C. 2003.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Nogodan to Goribong in Baekdudaeg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6(4): 441-448. 

  15. Kim, G.T. Choo G.C., and Baek, G.J. 2000. Studies on the St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Myungsunbong, Tokpyongbong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 -Abies koreana Fores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3(4): 299-308. 

  16. Kim, G.T. Choo G.C. and Um, T.W. 1997.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Cheonwangbong - Deokpyungbong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Forest Society 86(2): 146-157. 

  17. Kim, J.H. and Jung, S.H. 2013.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Cover Types by Consecutive Application of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in the Natural Forest of Western Mt. Jiri. Korean Journal of Forest Society 102(3): 407-414. 

  18. Kim, J.S. and Kim, T.Y. 2012.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aegae. Paju. pp. 688. 

  19. Kim, J.W. and Lee, Y.G.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es. World science. Seoul. pp. 240. 

  20. Kim, S.B, Kwak, K.H., and Jeoung W.H. 2003. Mountainous Rural Economy and University Forest of CNU. Korean Forest Economics Society 11(2): 60-66. 

  21. Ko, D.W and Lee, D.W. 2013. Dendroecological reconstruction of the disturbance dynamics and human legacy in an old-growth hardwood forest in Kore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302: 43-53. 

  22.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pp. 399. 

  2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4. Climatological data. http://www.kma.go.kr(2014. 12.). 

  24.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14. Geological Information Reserach System. http://www.kigam.re.kr/ (2014.11). 

  25.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10. The list of National standard plant. http://www.nature.go.kr/kpni(2014.12). 

  26. Lee, G.J. Han, S.S. Kim, J.H., and Kim, E.S. 2007. Forest Ecology. Hyangmunsa. Seoul. pp. 396. 

  27. Lee, I.K. and M. Monsi. 1963. Ecological studies on Pinus densiflora forest 1: Effects of Plant Substances on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the Undergrowth. Botanical Society of Japan 76: 400-413. 

  28. Lee, M.S. 1999. A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Deciduous Broas-Leaved Forest by Physiographic Feature in Kangwon-do Province. The Research Bulletin of Natural Sceince Institute 8: 87-99. 

  29. Lee, Y.M. 2002. statistical ec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262. 

  30. Lee, T.B. 2009. Dendrology. Hyangmunsa. Seoul. pp. 332. 

  31.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1 Volimes. Hyangmunsa. Seoul. pp. 914. 

  32.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2 Volimes. Hyangmunsa. Seoul. pp. 910. 

  33. McCune, B. and Grace, J.B. 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es.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pp. 300. 

  34. Newton, A.C. 2007. Forest Ecology and Conser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Inc. Newyork, USA. pp. 454. 

  35. Rowe, J.S. 1984. Forest land classification : limitations of the use of vegetation. in Forestland Classification : Experiences probles. Perspectives. J. Bockheim (ed). Proc. Symp. Univ., Wisconsin. pp. 276. 

  36. Son. Y.H. 1997.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Importance and Approaches. Natural Resources research 5: 29-42. 

  37. Stevens, G.C. 1992. The elevational gradient in altitudinal range: an extension of Rapoport's latitudinal rule to altitude. The American Naturalist 140(6): 893-911. 

  38. Wang, Z. Tang, Z., and Fangm J. 2007. Altitudinal patterns of seed plant richness in the Gaoligong Mountains, southeast Tibet, China. Diversity and Distribution 13: 845-854. 

  39. Yang, H.M. and Kim, J.H. 2002. Analysis and Comparison of Community Structural Attributes by Topographic Positions and Aspect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Journal of Forest Science 18: 73-86. 

  40. ZOU Mi, ZHU Kai-hua, Yin Jin-zhu, and GU Bin. 2012. Analysis on Slope Revegetation Diversity in Different Habitats. Procedia Earth and Planetary Science 5: 180-1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