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ultiplex PCR을 이용한 은행나무 수나무 식별용 SCAR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SCAR Marker for Identifying Male Trees of Ginkgo biloba using Multiplex PCR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4, 2016년, pp.422 - 428  

홍용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과) ,  이제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은행나무는 이식성이 좋고 열악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도심 가로수나 조경수로 매우 적합한 수종이다. 은행나무는 암수딴그루 식물로 수나무와 암나무의 생식기관(수꽃과 암꽃)의 비교를 통하여 성을 식별할 수 있으나, 꽃이 달리기까지 약 20년 이상이 필요하다. 가로수용 은행나무는 주로 꽃이 생성되기 이전에 식재되기 때문에 암나무와 수나무 구분 없이 가로수로 식재되어왔다. 가로수로 식재된 암나무에서 열리는 은행나무 열매는 악취를 발산하고 거리 오염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시에 수나무를 선별하기 위하여 기존에 보고된 수나무 특이 RAPD 변이체염기서열을 기반으로 수나무에서만 675 bp의 PCR 산물을 증폭하는 SCAR 마커(SCAR-GBM)를 개발하였다. SCAR-GBM 마커의 우성 마커 특성에 기인한 위음성(false-negative)문제를 해결하고 식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SCAR-GBM 마커와 mtDNA의 atp1 영역을 증폭하는 범용 프라이머를 동시에 적용하는 multiplex PCR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암나무와 수나무에서 공히 atp1 영역에 해당하는 1,039 bp의 PCR 산물이 증폭되었으며, 수나무에서만 특이적으로 SCAR-GBM 마커가 증폭되었다. 전국 8개 지역에서 채취된 암나무와 수나무 각 80개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SCAR-GBM 마커와 multiplex PCR 방법의 재현성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nkgo (Ginkgo biloba L.) is one of the most appropriate roadside trees because of a good transplantation nature and ability to grow well in urban environment. Ginkgo is a dioecious species. Sex discrimination of ginkgo is possible through comparing morphological characters of reproductive organs.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Gradient PCR 반응은 PCR 반응기(C1000 TouchTM Thermal Cycler, BIO-RAD, USA)를 이용하여 94 ℃에서 5분간 주형 DNA를 변성시킨 후, 94 ℃에서 1분간 변성, 40~70 ℃ 범위에서(Table 1) 1분간 어닐링 및 72 ℃에서 1분간 합성(extension)을 총 35회 반복 수행하였고, 마지막으로 72 ℃에서 10분간 합성을 마무리하였다.
  • 제2 프라이머는 식물체의 세포질 DNA를 증폭하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였다(Table 1). PCR 반응액의 조성과 반응조건은 상기된 SCAR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반응과 동일하였고, 세포질 DNA 증폭용 프라이머를 SCAR 프라이머와 동일한 농도로 첨가하였으며, 어닐링 온도는 gradient PCR에서 탐색된 수나무와 암나무의 식별이 가능한 온도조건을 적용하였다. Taq DNA 중합효소 등의 PCR 반응 시약과, PCR 기기의 종류에 따른 PCR 분석의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른 제조사의 중합효소(RBC Taq DNA polymerase, RBCBioscience, Taiwan)와 PCR 반응기(LifeTouch Thermal Cycler, BIOER Technology, China) 를 이용하여 multiplex PCR 분석을 실시하였다.
  • Gradient PCR 반응은 PCR 반응기(C1000 TouchTM Thermal Cycler, BIO-RAD, USA)를 이용하여 94 ℃에서 5분간 주형 DNA를 변성시킨 후, 94 ℃에서 1분간 변성, 40~70 ℃ 범위에서(Table 1) 1분간 어닐링 및 72 ℃에서 1분간 합성(extension)을 총 35회 반복 수행하였고, 마지막으로 72 ℃에서 10분간 합성을 마무리하였다. PCR 산물은 2% 아가로즈 겔을 이용하여 전기영동 하였으며, EtBr을 이용하여 염색한 후 UV를 조사하여 확인하였다.
  • SCAR 프라이머는 수나무와 암나무를 식별할 수 있는 RAPD 변이체의 염기서열 정보(GenBank Accession No. FI136224, Echenard et al., 2008)를 기반으로 Primer3(Untergasser et al., 201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 PCR 반응액의 조성과 반응조건은 상기된 SCAR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반응과 동일하였고, 세포질 DNA 증폭용 프라이머를 SCAR 프라이머와 동일한 농도로 첨가하였으며, 어닐링 온도는 gradient PCR에서 탐색된 수나무와 암나무의 식별이 가능한 온도조건을 적용하였다. Taq DNA 중합효소 등의 PCR 반응 시약과, PCR 기기의 종류에 따른 PCR 분석의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른 제조사의 중합효소(RBC Taq DNA polymerase, RBCBioscience, Taiwan)와 PCR 반응기(LifeTouch Thermal Cycler, BIOER Technology, China) 를 이용하여 multiplex PCR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은행나무 수나무와 암나무 식별을 위한 SCAR 마커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천, 상주(경북), 청주(충북), 춘천(강원), 나주(전남), 세종(충남), 오산(경기), 진주(경남)의 8개 지역에 식재된 은행나무를 대상으로 개화기에 수꽃과 암꽃의 형태를 확인한 수나무와 암나무 각 10개체(총 160개체)를 이용하였다(Figure 1). 각 개체로부터 채취된 잎으로부터 DNA 추출 Kit(ExgeneTM Plant SV mini, GeneAll, Kore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사용법에 따라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DNA는 분광측정기(Nanodrop 2000, Thermo Scientific, USA)을 이용하여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5 ng/µL로 희석시켜서 분석에 이용하였다.
  • , 1997). 따라서 본 연구의 multiplex PCR은 SCARGBM 프라이머 만을 이용한 독립적인 PCR 조건을 동일하게 적용하면서 미토콘드리아 DNA 증폭용 프라이머를 동일한 농도로 추가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SCARGBM/atp1 조합에서 예상된 증폭 결과가 안정적으로 확인되었으며(Figure 3B and Figure 4), gradient PCR에서도 50~64.
  • 본 연구는 화기 형태 등 외부 형태를 기준으로 은행나무의 성을 식별하는 방법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수나무와 암나무의 활용 목적에 따른 적절한 식재를 위하여, 은행나무 성식별 DNA 마커(SCAR 마커)를 개발하였으며, 식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multiplex PCR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 프라이머의 길이는 18~22 nucleotieds, 최적 Tm 값은 57~63℃의 범위에서 60 ℃로 조정하였다. 새롭게 설계된 SCAR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수나무와 암나무를 식별할 수 있는 RAPD 변이체와 동일한 식별 양상을 나타내는 PCR 온도 조건을 탐색하기 위하여 gradient PCR을 실시하였다. PCR 반응액은 전체 12 µL 당 10 ng주형 DNA, 1X PCR reaction buffer, 0.
  • , 201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염기서열 내 프라이머의 설계 위치는 RAPD 프라이머 영역(10 nucleotieds)의 일부를 포함하기 위하여 프라이머의 시작 위치를 염기서열 양 말단의 10 nucleotieds 이내로 설정하였다. 프라이머의 길이는 18~22 nucleotieds, 최적 Tm 값은 57~63℃의 범위에서 60 ℃로 조정하였다.
  • 은행나무 암수식별을 위한 SCAR 마커 적용 시 우성 마커 특성에 따른 위음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나무 특이적인 SCAR 프라이머와 함께 암·수 여부와 상관없이모든 은행나무 개체에서 DNA가 증폭되는 제2의 프라이 머를 동시에 적용하는 mutiplex PCR을 수행하였다.
  • , 201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나무 또는 암나무 여부와 관계없이 분석된 모든 개체에서 PCR 증폭이 가능한 프라이머 세트를 추가하여 SCAR-GBM 마커와 함께 적용하는 multiplex PCR을 수행하였다.
  • 이러한 환경오염 문제의 해결책은 수나무와 암나무를 사용 목적에 맞게 사전에 선별하여 식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CAR 마커 기술을 이용하여 은행나무 수나무에서만 특이적인 DNA 밴드를 증폭하는 SCAR-GBM 마커를 개발하였으며, multiplex PCR 기법을 이용하여 단일 SCAR 마커 분석 과정에서 우성마커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위음성 오류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연구의 은행나무 암수식별 방법은 현재 국내와 중국에 특허로 등록(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4; 2015)되어 있으며, 향후 유시 생장 단계에서 은행나무의 성을 식별함으로써 은행나무를 성별에 맞게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 또한, SCAR-GBM/trnV 인트론 프라이머 조합은 수나무 특이적인 DNA 밴드는 거의 증폭되지 않았고, trnV 인트론에 해당하는 암·수 공통의 DNA 밴드만 증폭되어 암·수 여부를 명확히 식별할 수 없었다. 최종적으로 SCAR-GBM/atp1 프라이머 조합을 이용한 multipex PCR의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국 8개 지역에서 채취된 은행나무 수나무와 암나무 각 10개체씩을 대상으로 multiplex 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나무 80개체에서 모두 2개의 DNA 밴드가 증폭되었고, 암나무 80개체에서 모두 1개의 DNA 밴드가 증폭되었다.
  • 추출된 DNA는 분광측정기(Nanodrop 2000, Thermo Scientific, USA)을 이용하여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5 ng/µL로 희석시켜서 분석에 이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Figure 4. Multiplex PCR products, amplified with SCAR-GBM/atp1 primer combination, from 10 individuals of each male (M) and female (F) trees. PCR reactions were conducted at 63 ℃ annealing temperature.
  • 은행나무 수나무와 암나무 식별을 위한 SCAR 마커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천, 상주(경북), 청주(충북), 춘천(강원), 나주(전남), 세종(충남), 오산(경기), 진주(경남)의 8개 지역에 식재된 은행나무를 대상으로 개화기에 수꽃과 암꽃의 형태를 확인한 수나무와 암나무 각 10개체(총 160개체)를 이용하였다(Figure 1). 각 개체로부터 채취된 잎으로부터 DNA 추출 Kit(ExgeneTM Plant SV mini, GeneAll, Kore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사용법에 따라 DNA를 추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은행나무는 언제부터 지구에 살기 시작했는가? 은행나무(Ginkgo biloba L.)는 고생대 페름기(2억 8천 ~2억 3천 년 경)에 지구상에 출현하여 중생대 쥬라기에 가장 번성하였으며, 살이 있는 화석으로 불리기도 한다(Major, 1967). 은행나무는 높이가 60 m, 지름 4 m에 달하는 낙엽 교목으로 암수의 생식기관 및 생식세포가 각각의 다른 개체에서 발생하는 암수딴그루(자웅이주, dioecism) 식물이다(Lee, 2003).
은행나무 열매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은행나무 열매(이하 은행)는 암나무에서만 열리며 독특한 악취를 발산하는데(Wada and Haga, 1997), 가로수로 암나무가 식재된 경우 가을철 은행의 악취와 낙과로 인한 거리오염으로 도시 미관이 저해되고 사람들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가 발생해왔다. 은행나무의 성은 생식기관 즉, 꽃의 형태나 열매의 결실 여부로 식별될 수 있으나, 성목이 되어 생식기관이 출현하는데 까지 약 20~30년이 소요 되는데(Singh et al.
PCR 기반의 분자마커 기술인 RAPD 마커의 단점은 무엇인가? (2008)은 PCR 기반의 분자마커 기술인 RAPD 마커를 이용하여 암나무와 수나무 식별이 가능한 DNA 변이체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핵형분석은 실험과정이 복잡하고 고도의 분석기술을 요하는 단점이 있으며, PCR 기반의 RAPD 마커는 핵형분석과 비교하여 실험이 단순하지만 무작위로 선정된 10개의 뉴클레오 타이드로 구성된 짧은 임의 프라이머(random primer)를 이용하므로 다수의 DNA 조각이 증폭되어 동시에 분석되기 때문에 개체별로 암수 특이 DNA 조각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암수식별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amberlain, J.S., Gibbs, R.A., Rainer, J.E., Nguyen, P.N., and Thomas, C. 1988. Deletion screening of the Duchenne muscular dystrophy locus via multiplex DNA amplification. Nucleic Acids Research 16: 11141-11156. 

  2. Dellaporta, S.L. and Calderon, U.A. 1993. Sex determination in flowering plants. Plant Cell 5: 1241-1251. 

  3. Echenard, V., Lefort, F., Calmin, G., Perroulaz, R., and Belhahri, L. 2008. A new and improved automated technology for early sex determination of Ginkgo biloba. Arboriculture and Urban Forestry 34: 300-307. 

  4. Henegariu, O., Heerema, N.A., Dlouhy, S.R., Vance, G.H., and Vogt, P.H. 1997. Multiplex PCR: critical parameters and step-by-step protocol. Biotechniques 23: 504-511. 

  5. Jiang, L., You, R.L., Li, M.X., and Shi, C. 2003. Identification of a sex-associated RAPD marker in Ginkgo biloba. Acta Botanica Sinica 45(6): 742-747. 

  6. Korea Forest Service. 2015. Statictical Yearbook of Forestry. pp. 405. 

  7. Lee, J.W., Kim, Y.C., Jo, I.H., Seo, A.Y., Lee, J.H., Kim, O.T., Hyun, D.Y., Cha, S.W., Bang, K.H., and Cho, J.H. 2011. Development of an ISSR-derived SCAR marker in Korean ginseng cultivars (Panax ginseng C. A. Meyer). Journal of Ginseng Research 35: 52-59. 

  8.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 Mun Sa, Seoul,Korea. pp. 910. 

  9. Liao, L., Liu, J., Dai, Y., Li, Q., Xie, M., Chen, Q., Yin, H., Qiu, G., and Liu, X.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AR markers for sex identification in the dioecious species Ginkgo biloba L. Euphytica 169: 49-55. 

  10. Ma, J. and Zhao, Y. 2009. Ginkgo biloba: the precious qualities of a "fossil" tree. Child's Nervous System 25(7): 777-778. 

  11. Major, R.T. 1967. The ginkgo, the most ancient living tree. Science 157: 1270-1273. 

  12. Mastan, S.G., Sudheer, P.D., Rahman, H., Reddy, M.P., and Chikara, J. 2012. Development of SCAR marker specific to non-toxic Jatropha curcas L. and designing a novel multiplexing PCR along with nrDNA ITS primers to circumvent the false negative detection. Molecular biotechnology. 50(1): 57-61. 

  13.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Korea. 2014. Method for Identifying the Gender of Ginkgo biloba Using a Molecular Marker. Korea Patent 10-1395343. 

  14.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Korea. 2015. Sex Identification of Ginkgo biloba Using Molecular Marker. China Patent. ZL201310133068.2. 

  15. Nakao, Y., Taira, T., Horiuchi, S., Kawase, K., and Mukai, Y. 2005. Chromosomal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rees of Ginkgo biloba Examined by Karyotype Analysis and Mapping of rDNA on the Chromosomes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Journal of Japanese Society for Horticlutural Science 74(4): 275-280. 

  16. Singh, B., Kaur, P., Singh, R.D., and Ahuja, P.S. 2008. Biology and chemistry of Ginkgo biloba. Fitoterapia 79(6): 401-418. 

  17. Untergasser, A., Cutcutache, I., Koressaar, T., Ye, J., Faircloth, B.C., Remm, M., and Rozen, S.G. 2012. Primer3-new capabilities and interfaces. Nucleic Acids Rresearch 40(15): e115-e115. 

  18. Wada, K. and Haga, M. 1997. Food poisoning by Ginkgo biloba seeds. In Ginkgo Biloba A Global Treasure (pp. 309-321). Springer Japan. 

  19. Wang, X.R., Tsumura, Y., Yoshimaru, H., Nagasaka, K., and Szmidt, A.E. 1999.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Eurasian pines (Pinus, Pinaceae) based on chloroplast rbcL, matK, rpl20-rps18 spacer, and trnV intron sequences. American Journal of Botany 86(12): 1742-1753. 

  20. Wu, J., Krutovskii, K.V., and Strauss, S.H. 1998. Abundant mitochondrial genome diversity, population differentiation and convergent evolution in pines. Genetics 150(4): 1605-1614. 

  21. Xu, J., Miao, H., Wu, H., Huang, W., Tang, R., Qiu, M., Wen, J., Zhu, S., and Li, Y. 2006. Screen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using multiplex-PCR coupled with oligonucleotide microarray. Biosens Bioelectron 22: 7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