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한 은행나무 천연기념물의 DNA 지문 분석
DNA Fingerprinting Analysis of Natural Monument Gingko Tree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6 no.4, 2017년, pp.408 - 416  

이제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과) ,  이민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과) ,  안지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과) ,  홍경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과) ,  백승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과) ,  김상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천연기념물 은행나무 23개체를 대상으로 8개의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하여 DNA 지문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평균 대립유전자수는 6.875개, 평균 이형접합도 관찰치와 기대치는 각각 0.711과 0.710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동일한 마커로 일본 및 중국 은행나무에서 분석된 기존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분석된 8개 마커의 다형성 정보량(PIC) 값 및 개체식별력(PD)은 각각 0.677과 0.9999로 높은 개체식별 효율을 나타내었다. 실제 유전형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모든 천연기념물 은행나무와 추가로 분석된 일반 은행나무 13개체가 모두 식별되었다. 천연기념물 은행나무에서 계산된 PIC 값을 기준으로 상위 3개의 마커(Ging06, Gb60, Gb61)에서 계산된 개체인식력과 개체식별력이 각각 $8.045{\times}10^{-5}$ 및 99.99%로 계산되므로, 이들 3개의 마커가 은행나무 개체식별을 위한 DNA 지문 분석에 우선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의 DNA 지문 분석 결과는 천연기념물 은행나무의 관리와 후계목 육성 및 은행나무 선발 개체의 유전적 동일성 검정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scribes DNA fingerprinting analysis of twenty-three natural monument individuals of Ginkgo biloba using eight microsatellite markers. The average number of observed alleles was 6.875, and the expected heterozygosity and the observed heterozygosity were 0.711 and 0.710, respectively.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5). 본 연구는 국내 천연기념물 은행나무의 보존 및 관리 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하여 천연기념물 은행나무의 개체 간 다양성과 유연관계를 분석하고 개체식별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기념물이란 무엇인가? 천연기념물은 독특한 자연환경에 적응한 동ㆍ식물과 장시간에 걸쳐 형성된 특이한 지형, 지물, 지질, 광물, 동굴, 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Lee et al., 2000), 오랜 역사와 문화, 경관 및 학술적 가치가 높이 평가된다(Kim, 2012a). 생명력이 없는 사물 또는 지형과 같은 천연기념물은 천재지변과 인위적인 피해가 없다면, 장기간 보존될 가능성이 있다.
은행나무가 지구에 출현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는? 은행나무(Ginkgo biloba)는 현존하는 수목류 중 출현 기간이 가장 오래된 식물로 약 3억 년 전 중생대에 지구상에 출현하여 현재까지도 원시적 종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Go, 2010; Shen et al., 2005).
비생물 천연기념물보다 생물 천연기념물을 보존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생명력이 없는 사물 또는 지형과 같은 천연기념물은 천재지변과 인위적인 피해가 없다면, 장기간 보존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생물 천연기념물은 수명이 다하여 자연사로 소실될 우려가 있고, 환경변화에 따라 생존에 위협이 되는 상황에 처해지는 경우 비생물 천연기념물에 비해 보존이 쉽지 않다. 그러므로 생물 천연기념물을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H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otstein, D., White, R.L., Skolnick, M. and Davis, R.W. 1980. Construction of a genetic linkage map in man using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32: 314. 

  2. Chang, C.S., Kim, H. and Chang, K.S. 2011.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43. Woody plants. Design Post. Gyeonggido. Korea. pp. 511. 

  3. Cho, B.W., Jung, J.H., Kim, S.U., Kim, H.S., Lee, H.G., Jo, G.J. and Song, K.D. 2007. Establishment of genetic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identification system using microsatellite loci in Jeju native horse. Jounal of Life Science 17: 1441-1446. 

  4. Echenard, V., Lefort, F., Calmin, G., Perroulaz, R. and Belhahri, L. 2008. A new and improved automated technology for early sex determination of Gingo biloba. Arboriculture and Urban Forestry 34(5): 300-307. 

  5. Go, G.H. 2010. Our trees that we should protect. 3. Ginkgo trees. Dasan Books. Seoul, Korea. pp. 161. 

  6. Gong, W., Zeng, Z., Chen, Y.Y., Chen, C., Qiu, Y.X. and Fu, C.X. 2008. Glacial refugia of Gingko biloba and human impact on its genetic diversity: evidence from chloroplast DNA. Journal of Integrative Plant Biology 50(3): 368-374. 

  7. Hildebrand, W.H., Madrigal, J.A., Little, A.M. and Parham, P. 1992. HLA-Bw22: a family of moleculues with identity to HLA-B7 in the alpha 1-helix. Journal of Immunology 148(4): 1155-1162. 

  8. Hong, Y.P., Cho, K.J., Hong, K.N. and Shin, E.M. 2001. Diversity of I-SSR variants in Gingko biloba L. planted in 6 regions of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0(2): 169-175. 

  9. Hong, Y.P., Kim, Y.M., Ahn, J.Y., Yang, B.H. and Hur, S.D. 2009. DNA fingerprinting of old big trees of natural monument. pp. 230-231 In: Korean Forest Society. Proceedings of Korean Forest Society. Donggu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10. Jacobs, B.P. and Browner, W.S. 2000. Ginkgo biloba: a living fossil.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08: 341-342. 

  11. Kalia, R.K., Rai, M.K., Kalia, S., Singh, R. and Dhawan, A.K. 2010. Microsatellite markers: an overview of the recent progress in plants. Euphytica 177: 309-334. 

  12. Kang, K.H., Chong, Y.J. and Kim, H.N. 1999. The genetic relationship of Zelkova serrata registered the natural monument using RAPD marker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7(1): 89-94. 

  13. Kim, H.J. 2011. Growth conditions of natural monument old big trees in Gyeongsangnamdo, Korea.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4: 103-112. 

  14. Kim, H.J. 2012a. The status and the characteristic of natural resources in UNESCO sacred natural site,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 492-501. 

  15. Kim, H.J. 2012b. Soil status and management of natural monument plants: focusing on the big old tree of Chungnambu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0: 41-50. 

  16. Kim, Y.M., Hong, K.N., Park, Y.J., Hong, Y. P. and Park, J.I. 2015. Estimating the parameters of pollen flow and mating system in Pinus densiflora Population in Buan, South Korea,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8(1): 101-110 

  17. KCHA (Kore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1. A study on genetic diversity in Korean natural monuments long-tailed goral (Naemorhedus caudatus). pp. 30. 

  18. KCHA (Kore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5. A study on nurturing progeny of Korean natural monuments big old trees. pp. 246. 

  19. KCHA (Kore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6. A study on drawing up measure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orean natural monuments fauna species. pp. 238. 

  20. Lee, J.H., Han, S.Y., Choi, K. and Cho, H.J. 2000. Measuring preservation value of oriental arber forest in Taegu City. Journal of Forest Recreation 4: 55-66. 

  21. Lee, J.W., Baek, S.H., Hong, K.N., Hong, Y.P., Lee, S.W. and Ahn, J.Y. 2015.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chloroplast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in Pinus koraiensi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4(4): 549-557. 

  22. Lee, K.J. 2006. Natural monument in Korea. Big old tress. Academy. Seoul, Korea. pp. 390. 

  23. Lee, K.M., Kim, Y.Y. and Chung, J.M. 2009. Genetic diversity of natural populations of Populus maximowiczii Henry in Korea based on microsatellite marker analysis. Proceeding of Journal of Korea Forest Society pp. 259-260. 

  24. Lee, K.M., Kim, Y.Y. and Jung, O.H. 2011. Genetic variation in populations of Populus davidiana Dode based on microsatellite marker analysis. Genes and Genomics 33: 163-171. 

  25. Liu, K. and Muse, S.V. 2005. PowerMarker: an integrated analysis environment for genetic marker analysis. Bioinformatics 21(9): 2128-2129. 

  26. Nybom, H. 2004. Comparison of different nuclear DNA markers for estimating intraspecific genetic diversity in Plants. Molecular Ecology 13: 1143-1155. 

  27. Park, S.J. 2009. Exploration of cultural trees in Korea. Wangeuiseojae. Seoul, pp. 411. 

  28. Park, W.K., Oh, J.A., Kim, Y.J., Kim, S.K., Park, S.Y., Son, B.H. and Choi, S.I. 2010. Species of wooden buddhist statu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Jeollado. South Korea. Korea Furniture Society 21(1): 72-82. 

  29. Peakall, R. and Smouse, P.E. 2006. GeneAlex 6: genetic analysis in Excel. population genetic software for teaching and research. Molecular. Ecology Notes 6: 288-295. 

  30. Perrier, X., Flori, A. and Bonnot, F. 2003. Data analysis methods. pp. 43-76. In: Hamon P., Seguin, M., Perrier, X. and Glaszmann, J.C. (ed). Genetic diversity of cultivated tropical plants. Enfield Science Publishers. Montpellier. France. 

  31. Shen, L., Chen, X.Y., Zhang, X., Li, Y.Y., Fu, C.X. and Qiu, Y.X. 2005. Genetic variation of Ginkgo biloba L. (Ginkgoaceae) based on cpDNA PCR-RFLPs: inference of glacial refugia. Heredity 94: 396-401. 

  32. Soh, W.Y. and Yoon, S. 2011. Science, culture and mystery of ginkgo. S-wave Science. Seoul, Republic of Korea. pp. 204. 

  33. Son, J.W., Shin, J.H. and Lee, J.J. 2016. An analysis on vitality status of big old trees preserved as natural monuments based on artificial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0(3): 415-422. 

  34. Varshney, R.K., Graner, A. and Sorrells, M.E. 2005. Genic microsatellite markers in plants: features and applications. TRENDS in Biotechnology 23: 48-55. 

  35. Yan, X.F., Lian, C.L. and Hogetsu, T. 2006. Development of microsatellite markers in ginkgo (Ginkgo biloba L.). Molecular Ecology Notes 6: 301-302. 

  36. Yan, X.L., Chen, Y.Y., Guan, B.C. and Fu, C.X. 2009. Eleven novel microsatellite markers developed from the living fossil Ginkgo biloba (Ginkgoaceae). Conservation Genetics 10: 1277-1279. 

  37. Yoo, M.H., Kim, Y.S., Rho, J.R. and Kim, J.T. 2008. Phylogenetic study of the Korean goral by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b gene sequence analysis. Laboratory Animal Research 24: 33-37. 

  38. Waits, L.P., Luikart, G. and Taberlet, P. 2001. Estimating the probability of identity among genotypes in natural populations: cautions and guidelines. Molecular Ecology 10: 249-256. 

  39. Zhao, Y., Paule, J., Fu, C. and Koch, M.A. 2010. Out of China: distribution history of Gingko biloba L. TAXON 59(2): 495-5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